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지표를 통한 오미자 기술 동향 연구

        최지원,김정은,김수연,배영석,김창국 한국자원식물학회 201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0 No.4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is a fruit native to northeast Asia that is cultivated in South Korea and China. Using 1,938 valid patents of 6 group countries, we analyzed the patent trend based on year, countries, applicants, and technology. The technologies are categorized the 10 sub-technologies such as medicine, quasi-drugs, food, feed, cosmetics, cultivation, genome, manufacture, preprocessing, and etc. The technology level and competitiveness are analyzed using patent index such as cites per patent, patent impact index, patent family size and technology strength. In Korea, patent number rapidly increasing and individual technical level is lower than other countries. However, overall technical competitiveness is estimated high due to multiple patents. We suggest that cosmetics and cultivation fields are most likely to be developed in future omiza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Our study will provides to the information of technical trend to support performing of new projects for Omija plant.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국내 최대 생산량을 갖는 약용작물로서 음료, 기능성 식품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우리는 오미자와 관련된 한국의 객관적인 기술수준과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6개국(그룹)의 1,938건 유효특허를 수집하고 10분야의 핵심기술로 분류하였다. 오미자관련기술은 한국이 1,182건으로 가장 많은 출원을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출원건수와 출원인수가 함께 증가하는 성장기 단계에해당하였다. 특허 포트폴리오 모델, 지식재산권 부상도 분석 및특허지표에 의하여 평가된 국내 기술수준과 경쟁력은 개별적인질적 기술수준은 낮지만 특허출원건수가 많아 전체적인 기술경쟁력은 높다고 분석되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오미자의 산업화 및 관련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한국에서 미래 선점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술 분야는 공백기술이 많고, 발전성은 높으며, 장벽성은 보통인 화장품과 재배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KCI등재

        수확 후 CO2처리가 느타리버섯 곤지7호의 OPP 포장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지원,이지현,김창국,신일섭,배영석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1

        느타리버섯 곤지7호의 수확 후 CO2 처리에 의한 품질 유지 효과 및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확한 버섯을 3°C에서 1일간 예냉 후에 CO2 농도 0, 30 및 50%에서 3시간 처리한 다음 20 μm 두께 OPP필름 봉지에 밀봉하여 3°C에 21일 저장하였다. 30% CO2 처리에서 대조직의 경도가 저장 21일까지 높게 유지 되었고, 대조직의 색은 명도(CIE L*값)가 30% CO2 처리 한 느타리버섯이 저장 14일, 21일에 높고 황색도(CIE b* 값)가 저장 2일, 7일에 낮게 나타났으며 외관품위가 저장 7일부터 저장기간 내내 대조구와 50% CO2 처리에 비해 높았으며 3°C 저장 중 17일까지 느타리버섯 곤지7호의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30% CO2 농도로 3시간 처리가 느타리버섯 곤지7호의 저온저장 중 품질 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수확 후 처리방법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harvest CO2 treatment on the quality of the ‘Gonji-7ho’ oyster mushroom. The harvested mushrooms were pre-cooled at 3oC for 1 day and placed in a gas-tight chamber with 0%, 30%, or 50% of CO2 concentration for 3 hours at 3oC. Next, 400 g of the oyster mushroom sample was packaged into 20-μm thick oriented polypropylene (OPP) film bags and stored at 4oC for 21 days. Treatment with 30% of CO2 treatment maintained the highest stipe firmness of the oyster mushrooms during storage. The stipe lightness (CIE L*) was the highest at 14 and 21 days, while the stipe yellowness (CIE b*) was the lowest at 2 and 7 days of storag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30% CO2 treatment maintained the overall visual quality of the ‘Gonji-7ho’ oyster mushroom until 17 days of storage at 3oC.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helf life of ‘Gonji-7ho’ oyster mushroom could be extended by the postharvest application of 30% CO2 for 3 hour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KCI등재

        TV토론 진행자의 진행 스타일이 진행자에 대한 공신력과 수용자의 태도 및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남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지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본 연구는 TV토론 진행자의 진행 스타일이 진행자의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자의 태도 변화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TV토론 진행자의 진행 스타일을 기계적 진행 스타일과 적극적 진행 스타일로 구분하였다. 또한 게임중독법에 관련된 논제로 토론 대본을 작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편의 토론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TV토론 진행자의 진행 스타일이 진행자의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벌로 등이 개발한 공신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안정성, 신뢰성 및 역동성을 측정하는 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용자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게임 중독에 대 한 인지적, 감정적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용자의 시 청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내용 만족과 과정 만족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 진행 스타일을 보인 진행자가 기계적 진행 스타일을 보인 진행자보다 더 높은 공신력이 있는 나타났다. 또한 기계적 진행 스타일을 보인 경우 시청자의 태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적극적 진행 스타일을 보인 경우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계 적 진행 스타일보다 적극적 진행 스타일이 TV토론에 대한 시청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 히 동일한 토론 내용이라도 진행자가 적극적 진행 스타일을 구사할 경우 토론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 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TV토론 진행자의 진행 스타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진행 스타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 시도에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의 논의와 한계를 지적하여 향후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osting style of TV debate show hosts on their credibility, the attitude change of viewers and their satisfaction. The hosting styles of TV debate program hosts were classified into two based on a previous study. One was a mechanical style that was to proceed within the show to moderate the flow of the program. For examples, giving a chance to speak, controlling time, and having participants refrain from speaking what had nothing to do with the given theme were all categorized into this style. The other was an active style that actively controlled the flow of the program. For examples, posing a question, summarizing speech contents, asking a question about or confirming speech contents, fleshing out speech contents or asking for explanation were all categorized into this style. After a topic for discussion that was related to the selected experimental group was chosen, a script was prepared, and two debate video clips were produced. The two video clips were the same in the speech contents and style of the debaters, bu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peech and style of the hosts. The host of one video clip proceeded with the program in a mechanical manner, and the host of the other video clip did that in an active manner. The credibility inventory by Berlo, et al. was us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hosting style of the TV debate show hosts on their credibility. This inventory was composed of the safety, qualification, and dynamism dimensions. and a five-point scale was employed. To assess the attitude of the viewers, items were prepared from the selected three aspects of game addicti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nes, and a five-point scale was utilized. Finally, the items were modified to assess viewer satisfaction based on an earlier study that found the two dimensions of the viewer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and the satisfaction with process. A five-point scale was employed as well. The research question 1 was about the impact of the hosting style of the TV debate show hosts on their credibility,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active style was found to gain higher credibility than the mechanical style. The research question 2 was about the influence of the hosting style of the TV debate show hosts on the attitude change of the viewers,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mechanical style brough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o the attitude of the viewers. In contrast, the active style made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The research question 3 was about the influence of the hosting style of the TV debate show hosts on viewer satisfaction, and the result shows that view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active style than the mechanical style. In particular,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when the host had the active style, even though the contents of the debate were the same.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hosting style of TV debate show hosts so far, and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hosting style of TV debate show host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as well, which is expected to be of use for future research efforts.

      • KCI등재

        방송 프로그램에 나타난 충청도 소통 스타일의 체면 연구

        최지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2

        본 연구는 암시적이며 비유적인 스타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충청도 소통 스타일의 체면위협 정도를 파악하여 현재의 충청도 소통 스타일을 한국인의 소통 스타일과 비교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체면 복구와 체면 부여, 그리고 공손 이론에서 제시된 체면위협의 5단계를 분석의 틀로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충남서북부지역을 충청도 고유의 언어(방언)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방송을 통해 나타난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대화 중 체면 부여하기와 체면 복구하기가 엇비슷하게 나타나 충청도 지역은 집단주의 성향이 강해 체면 부여하기가 더욱 잦은 빈도로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과 달랐다. 또한 체면위협 행위 중 노골적인 체면위협이 19%, 친근함과 유대를 강조하는 적극적 체면위협이 40%, 걱정과 존중을 표현하는 소극적 체면위협이 19%, 암시적으로 에두르며 최면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이 11%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방송을 통해 나타난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은 더 이상 에두르는 스타일로 대표되지 않으며 건설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송을 통해 표출된 충청도 소통 스타일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결과는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에 국한된 현상이라기보다는 현재 한국인의 소통 스타일이 더 이상 집단주의 문화권에 머물러 있지 않다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타 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일반화할 수 없으며 방송을 통한 관찰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이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의 소통 스타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사회적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했으며 향후 지역별 소통 스타일 연구를 위한 최소한의 기준점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e-threatening levels of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which represented as being suggestive and figurative, and compared it with the over all Korean communication styles. We utilized a framework of the face restoration and face-giving of Ting-Toomey and Kuroki, and the five levels of face-threatening proposed in the Politeness Theory by Brown and Levinson. The Naepo cultural zone in the northwest of Chungnam Province was selected for its good preservation of unique dialects of Chungcheong. A total of 63 sequential dialogue styles were collected after reviewing the episodes of a broadcasting program, ‘Hometown Report’ aired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5 to analyze the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ace-giving and face restoration accounted for 47.6% and 52.4% of the entire dialogue styles,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not expected because the Chungnam province was considered a region preserving a prominent tendency of traditional collectivism. Out of the face-threatening acts, the bald face-threatening accounted for 19%, the positive face-threatening of emphasizing familiarity and bond accounted for 40%, the negative face-threatening of expressing concerns and respect accounted for 19%, and the face-threatening minimization of suggestive off the record equivocation accounted for 1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was no longer represented by the equivocation style but was based on the constructive communication. The findings led us to suspect that the current Korean communication style still remains in the cultural zone of collectivism. Some limitations were recognized and some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신선 표고의 수확 후 유통수명 연장을 위한 예냉조건 구명

        최지원,이지현,김창국,박미희,최현진,임수연,엄향란,장민선,홍윤표 한국버섯학회 2022 한국버섯학회지 Vol.20 No.3

        To optimize initial cooling conditions, forced-air cooling was applied to freshly harvested oak mushrooms at 2 levels (0oC for 30 minutes, at 0oC for 1 hour) followed by room cooling at 3 levels (-3oC for 1 day, 0oC for 1 day, 3oC for 1 day). After initial cooling, the oak mushrooms were packaged with PVC film, then held in a storage room at 1oC for 6 week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ercentage marketability were then investigated. As a control, Mushrooms were placed in storage with no initial cooling. The quality factors impacting marketability of fresh oak mushrooms were color change and appearance of decay. Off-odor did not occur or developed only slightly, so it did not affect oak mushroom quality within 6 weeks of low temperature storage. In all treatment groups, the shelf life in which 100% marketability was maintained was up to 3 weeks. At week 5, percent marketability of the 3 treatment groups 1 hour room cooling treatment at 0°C, 1 hour forced air cooling, and control was 100%. 80% In the group that underwent 30 min forced air cooling retained 80% marketability, and the group exposed to 1 day in room cooling at -3oC retained 86.7% marketability. At week 6 of 1oC storage, the marketability ratio was 80% in the 1 day room cooling at 0oC group, 66.7% in the 1 day room cooling at 3oC group, 46.7% in the 1 hour forced air cooling group, and 33% or less in all other treatment groups. Therefore, the most suitable initial cooling parameter to extend shelf-life of oak mushrooms is 1 day of in room cooling at 0oC immediately after harvest.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 : 하얼빈시(哈尔滨市)

        최지원,오종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4 지역 기초자료 Vol.2014 No.-

        ▶ 헤이룽장(黑龙江)성의 성도인 하얼빈시는 중국 동북지역의 주요 도시이자 대러시아 교역의 핵심지임. - 2014년 중앙정부가 하얼빈시를 러시아 협력의 중심도시로 지정하면서 양측간 교류·협력이 다시 확대되고 있음. - 중국정부는 동북진흥(东北振兴) 전략의 일환으로 하얼빈시의 대외개방 및 협력 증진, 인프라 구축, 산업구조 개혁 등을 추진하고 있음. ▶ 하얼빈시는 헤이룽장성에서 경제, 소비시장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중이 가장 큰 도시이나, 동북지역의 선양, 다롄, 창춘에 비해 경제규모가 작고, 1차 및 3차 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큼. - 하얼빈시는 헤이룽장성 GRDP의 약 35%, 소비시장의 약 44%, FDI의 49%를 차지하나, 동북지역의 다른 도시와 비교 할 때 경제, 산업, 소비시장 규모가 가장 작음. - 3차 산업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유통, 외식, 숙박 등 전통 서비스업 외에 금융, 물류업, IT 서비스(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육성할 계획임. ▶ 하얼빈시는 헤이룽장성에서 가장 크고 발달된 소비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상권으로 중양따제(中央大街) 상권과 치우린(秋林) 상권이 대표적임. - 하얼빈시의 주요 상권은 주변 지역민 및 외국인의 쇼핑 명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 - 하얼빈시의 내구소비재 보급수준은 중국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하나(냉장고, 세탁기 제외) PC, 휴대전화, 승용차의 보급수준이 빠르게 제고되고 있음. - 하얼빈시 상무국은 2020년까지 도심 중심상권을 통합하여 동북지역 북부에 대규모 상권을 구축할 계획임. ▶ 하얼빈시의 주요 교역국은 유럽, 아시아 국가로, 특히 러시아와의 교역 비중이 높은 반면, 한국과의 교류·협력은 규모 면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임. - 2012년 하얼빈 제1의 교역상대국은 러시아였으며, 하얼빈시가 러시아 교역 중심도시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종합적인 교류·협력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한국과 하얼빈시의 무역액은 정점인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하얼빈시 대외무역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축소되고 있음. ▶ 하얼빈시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기업은 경쟁력 있는 업종 모색과 안정된 교류 채널 확보가 필요하며, 향후 하얼빈시 진출을 통해 러시아와의 사업기회 확대도 도모할 수 있음. - 하얼빈시에서 한국기업의 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나, 하얼빈시의 부존자원 및 개발정책 등을 활용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 한국의 중소기업은 현지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교류 등을 통해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확대할 수 있음. - 하얼빈시의 정책 및 대외협력의 가장 큰 특징이 러시아와의 협력 강화인 만큼, 하얼빈시로의 진출은 향후 러시아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될 수 있음.

      • KCI등재

        허세와 내숭의 측정 척도 개발

        최지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easures for tapping Heose and Naesoong. Heose and Naesoong represent a bluffing strategy and a pretending innocence strategy respectively although the nuance of the two concepts in Korean society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society. The questions were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ideas derived from the concepts of bluffing and feigning innocence, and analyses of Namuwiki and Naver blogs. After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 formulated a total of 14 questions to tap the act of Heose and a total of 11 questions to tap the act of Naesoong.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main research study, We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The two factors of Heose were the bluffing to show off and the appearing endurance, and three factors of Naesoong were the making excuses, the being humble, and the protecting respectively.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including additional validating processes was discussed thereafter. 본 연구는 목적은 허세와 내숭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즈니스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허세(bluffing)와 상담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자기은폐(self-concealment) 개념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분석한 후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허세와 내숭 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문항은 허세와 내숭의사전적 개념, 인상 관리 전략 중 슈츠(1998)가 구분하여 제시한 적극적 전략과 보호적전략 측정 문항, 나무위키와 네이버 블로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일상적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예비 문항을 통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허세를 측정하는 문항은 자신의 특성이나 소유한 물건, 성과 등을 자랑하기 위한 과시적 허세와 힘들고 불편한 것을내색하지 않는 인내적 허세로 구분되었다. 내숭 측정 문항은 상황을 해명하는 변명적내숭,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겸양적 내숭,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적 내숭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큰느타리의 품질 등급, 손질 및 포장 방법에 따른 유통 수명

        최지원,이지현,오인호,임수연,임지훈,양해조,최현진,신일섭,홍윤표,Choi, Ji-Weon,Lee, Ji Hyun,Oh, In-Ho,Lim, Sooyeon,Im, Ji-Hoon,Yang, Hae Jo,Choi, Hyunjin,Shin, Sheob,Hong, Yoon Pyo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큰느타리의 수출시 유통 기한 연장을 목적으로 수확시 품질 등급, 대와 자실체 사이를 잘라낸 손질 처리 유무, 그리고 관행 OPP 봉지에 끈묶음한 포장 방법을 개선시켜 트레이용기에 넣은 후 밀봉처리시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수확시 품질 등급은 수확전 재배사의 온도를 9~11℃ 낮추어 적응시킨 버섯을 특품으로, 관행 13~15℃로 적응시킨 버섯을 상품으로 설정하였다. 선별한 특품과 상품 버섯을 이용하여 손질 및 포장방법으로 3처리구를 두었다. 첫째는 절단 손질 후 OPP 봉지에 넣어 끈묶음한 포장(Cut & OPP), 둘째는 손질하지 않고 OPP 봉지에 넣어 끈묶음한 포장(Uncut & OPP), 마지막으로 개선포장방법으로 절단 손질한 후 트레이용기에 넣고 밀봉한 포장(Cut & Tray)이었다. 포장 완료한 버섯 처리구를 0℃ 저장고에 42일간 보관하면서 포장 내부의 기체 조성, 품질 요인의 변화, 신선 품질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품과 상품의 버섯 모두 Cut & Tray, Cut & OPP, 그리고 Uncut & OPP 처리 순으로 전반적으로 신선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특품 버섯의 유통 수명은 Cut & Tray 처리의 경우 30일, Cut & OPP 처리의 경우 28일, Uncut & OPP 처리의 경우 21일이었고, 상품 버섯의 유통 수명은 Cut & Tray 처리시 22일, Cut & OPP 처리시 17일, 그리고 Uncut & OPP 처리시 14 일이었다. 신선 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갓과 대의 갈변과 부패 지수였다. 특히, 버섯 대의 아랫부분의 갈변과 그에 연관된 표피색 a<sup>*</sup>값과 b<sup>*</sup>값의 변화가 품질 저하의 주요인이었다. To extend the shelf life of king oyster mushrooms for export, w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mushroom quality grade, fruiting body trimming, and packaging method (tray container sealed packaging vs string-tied OPP bag packaging). Quality is divided into two grades: 1<sup>st</sup> grade, which is mushrooms adapted by lowering the cultivation temperature to 9~11℃, and 2<sup>nd</sup> grade, mushrooms held at 13~15℃ prior to harvest. Using selected 1<sup>st</sup> and 2<sup>nd</sup> grade mushrooms, 3 treatmen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effects of trimming and packaging method. Test groups included 1) trimming plus string-tied OPP bag packaging (Cut & OPP), 2) no trimming plus string-tied OPP bag packaging (Uncut & OPP), and 3) trimming plus tray container sealing packaging (Cut & Tray). Gas composition inside the packaging, changes in quality factors, and sensory evaluation for fresh quality were performed over 42 days of 0℃ storage. Overall freshness was best maintained in the following order: Cut & Tray > Cut & OPP > Uncut & OPP for both 1<sup>st</sup> and 2<sup>nd</sup> grade mushrooms. The shelf-life of 1st grade mushrooms was about 30 days for Cut & Tray, 28 days for Cut & OPP, and 21 days for Uncut & OPP. The shelf-life of 2<sup>nd</sup> grade mushrooms was about 22 days for Cut & Tray, 17 ays for Cut & OPP, and 14 days for Uncut & OPP. Factors affecting fresh mushroom quality included browning of cap and stalk, and mushroom decay index. Browning of the lower part of the stalk, with related color change as noted in a<sup>*</sup> and b<sup>*</sup> values were the main factors indicating quality deterioration of king oyster mushrooms.

      • KCI등재

        이야기치료에서의 수퍼비전: 상담자로서의 삶을 의미 있고 풍성하게 만들기

        최지원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는 이야기치료에서의 수퍼비전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을 고찰한 후, 수퍼비전이란 영역이 내담자나 상담자를 위한 교육적인 훈련의 의미뿐 아니라 상담자의삶과 이야기를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드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함의되어 있음을알아보고자 한다. 이야기치료에서의 수퍼비전은 단순히 상담자가 자신의 역할을다할 수 있도록 훈련, 교육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상담자, 즉 수퍼바이지가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잘 해내고 상담자 개인의 삶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다. 본 연구의 본론에서는 수퍼비전과 관련된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이야기치료에서의 수퍼바이저의 역할을 알아보고 수퍼비전의 종류를 나누어 각 영역들에서 활용되는 방법 및 절차와 질문들을 살펴본다. 이런 이야기치료 관점의 수퍼비전이 기독교 상담에 어떻게 적합한지와 임상에서의 활용도에 대해 고찰한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의 성장과 삶의 이야기가 풍성해지기 위해 효과적인 이야기치료의 수퍼비전을 향후 실행할 때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언한다. 상담 분야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상담자의 질적인 성장과 삶의 이야기가 풍성해지는 것은매우 중요한 작업이고 이런 대안적인 이야기는 신앙의 본질과 흡사한 만큼 기독교상담에서 이야기치료를 수퍼비전에 적용하는 추후 연구들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find out the existing implications for the supervision on narrative practices and searching for goals as not only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training for counselor, relationship with clients but also making meaning and rich stories as counselor’s life. Supervision on narrative practice is not limited to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counselors so that you can do is simply to serve as a role of suitable counselor, as well as the rich stories of the life as counselor. The point of this review is extracted different kinds of perspectives, role and method of supervision via previous studies. And further more, It is observed that useful questions and process in each supervision perspectives areas. In these reasons, the supervision on Narrative practices can go along wit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al field.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upervision is set up in the viewpoint of with narrative practices for making meaningful, rich stories of counselor’s life as which this kind of alternative story is based on nature of spiritual life. That’s why the researches for adapting narrative supervision in Christian counseling is needed in the future.

      • COVID-19 상황에서 주변인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위반 행위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친밀함을 조절 변수로

        최지원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위반 행위가 개인 평판 에 일정한 작용을 일으켜 향후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을 가설로 설정하 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위반 행위는 개인에게 혐오와 위 험 인식을 심어줄 것을 예측하고, 만약 친밀함의 정도가 강하다면 위반 행위에 대한 인식이 완화되어 관계지속의도가 조절될 수 있을지 연구문제로 제기하였다 친밀함의 정도는 4단계로 구분해 적용하였다. 먼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위반 행위는 여성보다 남성에게,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자보다는 미혼자에게, 자녀가 있는 경우보다 없는 경우 높은 빈도로 발생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위반 행위가 높게 나타날수록 관계지속의도가 낮아졌다. 친밀함의 정도가 높을수록 향후 관 계지속의도가 높아졌지만 친밀함의 모든 정도는 사회적 거리두기 위반 행위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경계심을 발동해야 하거나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판단과 행동을 조절하는 과정에서는 친밀함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거나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질 병에 감염되는 신체적 위험이 인간 관계가 멀어지는 관계적 위험보다 심각하게 여겨질 수도 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