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적 내러티브와 시점의 변이형

        최지영 한국독어학회 2016 독어학 Vol.33 No.-

        Im autobiographischen Erzählen kommen die doppelten Zeit- und Darstellungsperpektiven vor, die nach Engelhardt (1990) ,das erzählende Ich‘ und ,das erzählte Ich‘ genannt werden. Die beiden Ichs unterscheiden sich u.a. darin, dass das erzählte Ich seine Perspektive so darstellt, als ob der Weitergang des Geschehens noch ungewiss wäre, während das erzählende Ich das Geschehen retrospektiv und distanziert wiedergibt. Lucius-Hoene & Deppermann (2004) vertreten die Ansicht, dass die Perspektive des erzählenden Ichs entsprechend dem Zwang zur reflexiven Zuwendung zur Lebensgeschichte in den meisten Interviews bei weitem den größten Raum einnimmt. Die Analyse der auf die Webseite von deutschen und koreanischen DIPEx (Database of Individual Patient’s Experience) hochgeladenen Interview-Texte, die in dieser Arbeit vorgenommen wurde, hat jedoch ergeben, dass dies nur in den deutschen Texten bedingt der Fall ist; in den koreanischen Interview-Texten verlegten sich mehr Erzähler vorrangig auf die Darstellungformen des erzählten Ichs. Dies steht mit den Ergebnissen der vorangehenden Untersuchungen von dem Bereich der Raum- und Sozialdeixis im Einklang, insofern die Perspektive des erzählenden Ichs der deiktischen Perspektive entspricht, während die Perpektive des erzählten Ichs der intrinsischen Perspektive zukommt. Abgesehen von dieser sprach- und kulturspezifischen Präferenz ließen sich noch in Bezug auf die Perspektivierung im autobiographischen Erzählen vier verschiedene Typen feststellen. Die ersten zwei Typen werden jeweils von einer der beiden Varianten dominiert, nämlich entweder vom erzählten Ich oder vom erzählenden Ich. Zu den letzteren zwei Typen gehören die ,Rahmenstruktur‘-Perspektive, in der die Darstellung nach dem erzählten Ich von der des erzählten Ichs eingerahmt wird, und der Typ der ,Wechselperspektive‘, in der die beiden Darstellungsperspektiven abwechselnd gegeneinander ausgetauscht werden. 자전적 이야기는 화자가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사건이나 상황을 이야기로서 재생하는 것이다. 이야기의 소재가 되는 경험은 과거에 겪었던 일이고, 그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은 현재 진행 중인 행위인 관계로 자전적 이야기에는이중적인 시간시점 Zeitperspektive이 존재한다 (Martinez/Scheffel 1991: 119). 이중적인 시간시점은 곧 이중적인 서술시점으로 직결되는데, 이는 화자가 과거 사건을 겪던 당시의 감정과 생각, 행동의 동기 등을 기억하고 이를 이야기로 풀어가면서도 동시에 그 이후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식견이나 인식이 더해진 시각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Deppermann/Lucius-Hoene 2004: 24). 이와 같은 화자의 이중적인 서술시점은 Engelhardt (1990)에 의해 현재 이야기하는 상황의 ‘이야기하는 나’ das erzählende Ich (이하 ‘ED-Ich’)와 ‘이야기되어진 나’ das erzählte Ich (이하 ‘ET-Ich’)로 구별되어 자전적 이야기에 내재되어 있는 두 가지의 시점, 즉 두 가지의 상이한 서술태도를 대변하게 된다. ED-Ich 시점과 ET-Ich 시점이 각기 어떠한 서술태도를 보이고 있는지와더불어 그 구체적인 언어적 실현 양상에 대해서는 최지영 (2015)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바 있다.1) 자전적 이야기의 서술시점과 관련해서는 대다수의 자전적 이야기 텍스트가 전반적으로 평가적이고 회고적인 서술태도, 즉 ED-Ich 시점을 보인다는주장이 있다. 이는 생애사를 보다 응축적으로 기술해야 할 경제적 필요성과더불어 지나간 삶을 회고하는 성찰적인 자세가 자전적 이야기의 전형적인 서술 태도라는 생각이다. 이러한 견해에 의하면 과거 사건을 경험하던 당시의인식을 기준으로 ‘재연출’ Re-Inszenierung 하는 시점, 즉 ET-Ich로의 변환은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는 핵심적 경험이나 일화 형식으로 도입되는 에피소드에 국한된다고 한다 (Lucius-Höhne/Deppermann 2004: 117).2) 그러나 이 논문의 분석 대상인 DIPEx (Database of Individual Patient’s Experience) international에서 구축한 ‘질병체험 이야기’ 데이터 중 독일과 한국웹사이트 (www.krankheitserfahrungen.de, www.healthstory4u.co.kr)에 탑재된 텍스트를 서술시점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ET-Ich 시점이 지배적인 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을 볼 때, ED-Ich 시점이 지배적인 경우가 대다수를차지한다는 위의 주장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동일 화자의 동일한 인터뷰 텍스트 내에서 여러 차례 시점의 변화를 보이는 예시들 또한 발견되면서 자전적 이야기의 서술시점이 전개되는 양상에 여러 가지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서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빈도 내지는 선호도에 있어서 독일과 한국의 텍스트 간의 간과할 수 없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드러났다. 이러한 관찰 결과를 근거로 해서 이 논문에서는 우선 자전적 이야기의 텍스트에서 시점이 전개되는 양상에 따라 네 가지 시점 전개의 유형을 분류하려 한다 (2장). 나아가서는 독일어와 한국어 텍스트에서 언어별로 특정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있는지를 가려 (3장), 이러한 경향성이 공간직시, 사회직시 등 관련 분야의 선행연구 결과와 갖는 연계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4장).여기서 특정 시점의 등장이 언어별 선호도가 아닌 별도의 요인, 예를 들어인터뷰의 주제 영역과 상관성이 있을 수 있는 가능성도 고려해야 했다.3) 이러한 요인이 간여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독일과 한국 DIPEx에서 ...

      • KCI등재

        캐나다 데본기 비투멘 탄산염암의 무기 및 유기 지화학적 특성 연구

        최지영,김지훈,길영우,이성동,박명호,Choi, Ji-young,Kim, Ji-Hoon,Kil, Yong-Woo,Lee, Sung-Dong,Park, Myong-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1

        이 연구는 캐나다 Core Research Center 시추코어 Saleski 03-34-88-20w4와 Saleski 08-01-88-20w4를 이용하여 Rock-Eval 열분석, 원소분석, 바이오마커 (biomarker) 분석을 실시하여 비투벤을 함유한 캐나다 앨버타주 데본기 탄산염암의 무기 및 유가 지화학적 특정을 규명하고, 탄산염 저류층에 대한 지화학적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 분석된 시료의 총무기탄소 함량은 높고 총질소와 총황의 함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Rock-Eval 열분석 결과는 산화부분에서 돌로마이트를 많이 함유할 때 나타나는 이산화탄소 이중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투멘을 함유한 퇴석암이 속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도로마이트로 주로 구성된 타산염암임을 의미한다. 비투멘을 함유한 돌로마이트는 대부분 반자형 내지 타형의 결정구조를 보이며, 간혹 자형의 결정체를 띠기도 한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비투멘 추출 결과, Saleski 03-34-88-20w4는 3.6~19.0%. Saleski 08-01-88-20w4는 5.0~16.4%의 비투멘 함량분포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두 코어에서 시료의 색상이 어두울수록 비투멘과 총유기탄소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 레진 (resins)과 아스팔텐 (asphaltenes)의 함유량이 포화 탄화수소 (saturated hydrocarbon)의 함유량보다 5~28%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비투멘이 강한 생분해작용 (biodegradation)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비투벤의 각 성분에 대한 탄소 동위원소 분석결과 아스팔텐에서 가장 높은 탄소 동위원소 비를 보이고 포화 탄화수소에서 가장 낮은 탄소 동위원소 비를 보였지만 각 성분의 분석값은 거의 일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든 원유에서 탄소 동위원소 비는 -18~-30‰입 좁은 범위를 가지며, 시추코어 Saleski 03-34-88-20w4와 Saleski 08-01-88-20w4의 분석값도 이 범위 딴에서 변하였다. Inorganic and organic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evonian bitumen carbonates in Alberta were studied using two drilling cores, Saleski 03-34-88-20w4 and Saleski 08-01-88-20w4, taken from the Core Research Center of Canada. The results of elements analyses showed high Total Inorganic Carbon, low Total Nitrogen and Total Sulfur, and Rock-Eval pyrolysis showed double $CO_2$ peaks in the oxidation part. These mean that the Devonian bitumen carbonates are mainly composed of dolomite formed by diagenesis, and its crystal texture is dominantly subhedral to anhedral but often euhedral. Bitumen contents were 3.6~19.0% in Saleski 3-34-88-20w4 and 5.0~16.4% in Saleski 08-01-88-20w4, respectively. As samples color become dark, bitumen and Total Organic Carbon contents are generally increasing in two cores. The results of biomarker analyse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resins and asphaltenes were 5~28% higher than those of saturated hydrocarbon, interring that the bitumen has been heavily biodegrad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rbon isotope analyses in each component of bitumen, asphaltenes had highest values and the others had constant values. However, their values were varied in the range of normal crude oil (-18~-30‰).

      • KCI등재

        Compression suits with and without films and their effects on EMG during isokinetic exercise

        최지영,홍경희 한국의류학회 2019 Fashion and Textiles Vol.6 No.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EMG of thigh among film-welded compression suits (WCS), film-free compression suit (CS) and a loose sportswear during knee joint exercise. To differentiate the effect of clothing variable accurately, two types of compression suits were made elaborately using the same material and 3D pattern. Difference in two compression suits is only whether film was welded or not. EMG was observed during isokinetic exercise of flexion and extension, comprising four sets of maximum contraction of thigh at the angular velocity of 60, 180 and 240°/s using Cybex 660. When the WCS was worn, the mean muscle activities of the anterior thigh was generally higher during extension, especially in the left rectus femoris (RF) and right vastus oblique medialis (VMO) throughout the exercise. Wearing WCS enhanced mean muscle activities and decreased muscle fatigue of VL and VMO at each angular velocity, however, it did not support the mean muscle activity nor the fatigue of the hamstrings in almost all conditions of exercise. Muscle-specific EMG implies that filmwelded compression suit designed in this study is beneficial to VMO, inducing high muscle activity with less fatigue during knee extension.

      • KCI등재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이유・원인 표현 연구: ‘-아/어서, -(으)니까’와 ‘потому что, так как’

        최지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러시아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의 이유・원인 표현 학습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원인・이유 표현의 대조를 통해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 빈도가 높은 ‘-아/어서, -(으)니까’와 ‘потому, что, так как’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징을 선행 연구와 예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미론적으로 ‘-아/어서’와 ‘так как’는 객관성의 의미 기능이 있고 ‘-(으)니까’와 ‘потому, что’는 주관성의 의미 기능이 있다. 또한 ‘-아/어서’와 ‘потому, что’는 화제의 초점 역할을 한다. 통사론적으로 러시아어가 한국어보다 제약이 적다. 화용론적으로 ‘-아/어서’와 ‘так как’는 문어에서 더 선호되고 ‘-(으)니까’와 ‘потому, что’는 구어에서 더 선호되며 인사말의 표현 방법은 두 언어가 다르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 관계 표현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by contrasting the cause and reason expressions of Korean and Russian as a basic study for learning the reasons and cau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of Russian speakers. To this end,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of ‘-아/어서, -(으)니까’, ‘так как, потому, что’, which are frequently used, were reviewed through prior studies and examples. As a result, semantically, ‘-아/어서’ and ‘так как’ have objectivity and ‘-(으니까)’ and ‘потому что’ have a subjective. ‘-아/어서’ and ‘потому что’ serve as the focus of the topic. Syntactically Russian is less restrictive than Korean. Pragmatically ‘-아/어서’ and ‘так как’ are more preferred in written language, ‘-(으)니까’ and ‘потому что’ are more preferred spoken language in spoken language. And the way the greeting is expressed is different in two languag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effectively learning the causal expression of Russian speaker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 KCI등재

        동기체계와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최지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motivational systems and perceived maternal control on social anxie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youths at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and 80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we have confirmed th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at behavior inhibition of adolesc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 can increase social anxiety.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of behavior activation weakens social anxiety among adolescents and that parental behavior control plays a role in reducing social anxiety in female students. Third, in the case of female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aternal control and the motivational system, which increase the neg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ol as the level of behavior activation increased, were also identified.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behavioral control on social anxiety in light of gender differences as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동기체계와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80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먼저 동기체계의 ‘행동억제’와 ‘행동활성화’ 체계의 수준, 부모 통제의 2가지 하위 요인인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통제’의 수준, 그리고 사회불안의 일반적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상반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2가지 동기체계와 2가지 어머니 통제의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동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행동활성화 체계는 남녀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약화시키고 부모의 행동통제는 여학생들에게 있어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에는 행동활성화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통제의 부정적 영향이 증가하는 동기체계와 어머니 통제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차를 고려하여 사회불안의 생물학적, 환경적 보호요인으로서 행동활성화 체계와 행동통제의 영향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었으며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Listener anxiety and listening strategies on multiple-choice items of EFL learners

        최지영,전유아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4 영어교과교육 Vol.13 No.4

        Anxiety has been known to be a general trai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but listening skill-specific anxiety has been less researched in understanding the listening process of EFL learners. Concomitantly, it is the employment of strategies that will help learners compensate for their listening problems, and it was within the interest of the present study to seek how anxiety may have facilitative-debilitative aspects on the learners’ use of strategies. Also, there was need to be highlight listening strategies on multiple-choice questions since the learners’ listening tasks are often associated with testing.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21 adolescent high school learners who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on anxiety felt towards concern for insufficient prior knowledge, lack of self-confidence, and testing. There was attention to cognitive and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ies which the learners retrospectively reported after solving three multiple-choice items. There was reduced levels of anxiety with more proficient learners whereas testing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 of listening strategies overall. Also, with any interaction among listening strategies, listening proficiency, and item typ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ly between strategies and listening proficiency. Implications for teaching L2 listening are suggested.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을 통한 대중 음악 문화의 발전 방향 연구

        최지영,장민호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현존하는 대형 메타버스 플랫폼들의 특징과 음악적 이슈 분석 방법을 통해 아티스트들이 메타버스 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진입 경로의 범위 및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대형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불리는 로블록스, 제페토, 포트나이트, 마인크래프트, 동물의 숲을 분석한 결과 연구자는 로블록스 진입이 가장 현실적인 경로라 판단하였다. 일반 아티스트들이 메타버스에 진출하기 위해 대형 엔터테인먼트처럼 거액을 들여 플랫폼과 계약관계를 맺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또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례적인 메타버스 돌풍과 비교해 기술적 발전이 더디고 미래형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지 않은 현시점에서 플랫폼 로블록스와 아티스트의 세계관 콘텐츠 융합은 대중 문화 시장에서 효용 가치와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로블록스 내의 맵들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게임으로 유저들을 유도하여플랫폼 내에서 음악을 구입하게 할 수 있으며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맵을 구축해 유저들의 관심을 이끌 수 있다. 아티스트 개인의 창작 능력과 창의성이 개입된 세계관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창작은 변화하는 음악 시장의 흐름에서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메타버스에 진입할 수 있는 적합한 경로이다. 예전부터 소수의 대중음악가들이 부를 획득한 적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음악가의 삶은 풍요롭지 못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세계관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창작 권유로 다양한아티스트가 변화하는 메타버스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