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최정희 ( Jung Hui Choi ),이길상 ( Gilsa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단위제(unit system)는 20세기 초에 미국에서 창안되고, 정착된 제도로서 교육성과에 대한 양적 평가를 중시하는 미국식 교육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제 교육과정이 발생한 미국적 배경을 검토하고, 이 제도가 일본과 한국에 수용되고 변용되어온 과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현재 미국, 일본, 한국 교육에서 단위제가 지닌 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단위제의 도입과정에서 미국과 일본은 당시 두 나라가 직면해 있던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반면, 한국은 이런 의지와 무관한 형식적 제도 도입에 그쳤다. 미국의 단위제는 큰 변화 없이 20세기 미국의 중등교육을 지배해 온 반면, 일본은 제도 도입 이후 매우 신중하게 개선을 모색하여 왔다. 한국은 도입과 적용에 있어서 신중함이나 지속성 모두 결여되어 있다. 현재 미국은 단위제에 대한 비판, 그리고 새로운 평가 시스템 개발에 매우 적극적이며, 일본은 단위제고등학교를 통해 일본 교육의 병폐를 해소하려는 적극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단위제에 특별한 교육적 이념이나 목표를 부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학습량의 표기 단위로만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동일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일본, 한국은 단위제를 수용하고 활용하는 태도에서 많은 차이점을 보여 왔다. 하나의 혁신으로 출발한 단위제가 미국에서는 20세기 "학교교육의 문법"(a grammar of schooling)이 되었고, 일본에서는 학교교육을 지배해 온 기존 "문법"을 바꾸고자하는 교육혁신의 상징으로 발전했으나, 한국에서는 기존의 학교교육 "문법"의 억압으로 인해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여 왔다. The unit system in secondary education was developed and prolifera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early 20th century.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education which placed much value on quantitative evaluation. The secondary educ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20th century depended much on this system. Based on this system, the evaluation and recording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managed. The unit system has been a part of the grammar of schooling in nearly all high schools. It 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brought about the unit system in the U. S. A.,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dopting and making use of the system by Korea and Japan after World War II. The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unit system in cur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lso were analyzed carefully. Five main differences in the unit system of U. S. A., Japan, and Korea were disclosed in this comparative study. Those are differences in adopting process of the system, in the main groups to cope with the issue, the main purposes assigned on it, impacts on actual education of respective society, and finally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t system. It is suggested as a conclusion that the scaling up of the diversity in high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students` right to select subjects, one of the main ideologies behind the unit system, is advisable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Jung-Hui Choi),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입학생들의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업성취도(GPA)와 학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D대학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2020학년도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전형을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수능으로 세분하였으며,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의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평균비교를 통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시 중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이어서 수시 교과전형 입학생의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입학생의 성취도는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전체 평균은 모든 전형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서 수시와 정시 입학생 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시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가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결과, 교과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상승한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학전형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차원의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s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post-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Methods D University,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enrolled in 2020 according to admissions was conducted. Admission screening was subdivided into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school subject, essay writing, and SAT, and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verage GPA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dmission screening. Next,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in 2019 and 2020 according to the admissions proces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admission processes,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which is a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creening for excellent school subjects showed hig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dmitted with excellent essay writing skills was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students with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mean increased in all types. In terms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an overall difference between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occasional admis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based on the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depart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chool subject records, SAT, and essay screening increased, whil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did not chang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longer-term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make a rational judgment on the effects of admissions typ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입학전형별 대학생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의 차이 분석 : D대학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최정희 ( Choi¸ Jung-hui ),오진오 ( Oh¸ Jin-o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입학전형의 차이가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를 사례로 선정하였고, D대학교에서 개발한 진단 척도를 사용하여 역량을 측정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역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각 역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성별과 학년 내에서 입학전형에 따른 역량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내재된 이원분산분석(nes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역량의 경우 전체적으로 정시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평균 역량이 높은 편이고, 수시전형 입학생의 역량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역량의 경우 대체적으로 정시전형 입학생들의 평균이 높은 편이고,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이 있다. 우선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역량 점수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고려한다면 앞으로 신입생 선발 전형에서 잠재적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나 평가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전공역량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정시전형이나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역량점수가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고려한다면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수시전형 입학생에게 전공 특화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수시전형의 축소 혹은 수시전형에서 역량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형 형식이나 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for admission policy by analyzing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y and majo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by admissions type. Differences in competen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main admission types: Early admis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Early admission based on school grades, and Regular admission based on SAT scores. D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the survey scale developed by D University. As a result of analysis, in the cas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in all competency. Overall, the average competency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Regular and Early admission based on school records was high, and the competency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Early admission based on comprehensive records was low. Research result shows that in 7 out of 10 major competencies- self-directed, knowledge utilization,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challenge, knowledge convergence, and global citizenshi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In general, the average of th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based on SAT scores is high and the average of the students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i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reference in determining the ratio between regular and early admission at university. More effort to confirm potential competency of the admission applicant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competency is required.

      • KCI등재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최정희(Jung-Hui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수도권 D대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 CQI 보고서의 성과 분석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방법 D대학은 2020학년도 2학기부터 CQI 적용 대상을 공학계열을 넘어 공통교양으로 확대하였다. 공학 분야 CQI 보고서를 기반으로 새로운 양식을 개발하였고, D대학교의 환류 기반 교육과정 평가시스템인 DICA와 연계하였다. 교양교육 7개 교과목에 적용된 CQI 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CQI 적용 전후에 실시된 역량진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CQI 적용에 따른 역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020학년도에 비해 2021학년도에 역량 점수의 향상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점수 상승을 보인 역량의 종류 또한 크게 확대되었다. CQI가 역량기반 교육을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였다. CQI 보고서의 형식, 역량진단 방법 등 모든 측면이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렀다고는 할 수 없지만, CQI가 지닌 교수법 개선 도구로서의 잠재력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역량진단 결과의 변화가 CQI 적용의 영향인지 강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검증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3개 학기를 넘어 보다 장기간에 걸쳐 CQI를 적용하고 그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report on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QI report prepared for each of the seven common liberal arts subjects opened at University D,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tudent's competency diagnosi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QI repor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professors about the CQI report has been steadily improving, and as a result, the narrative content of the report has been greatly improv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competency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QI application compared to before, and the number of competencies that showed an increase in scores also increased. Conclusions It turns out that the CQI report is an effective tool in promo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CQI report can be a tool to help improve the curriculum in major subjects as well as common liberal arts subjects, the subject of this study.

      • KCI등재

        미국 국가역사표준의 기대효과와 실제 영향력

        최정희 ( Jung Hui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2

        1996에 채택된 미국의 국가역사표준은 당시 미국에서 진행 중이던 이른바 문화전쟁을 상징하는 문서이다. 많은 논란을 거쳐 채택된 이 문서에 대한 기대의 다양성, 그리고 이 문서가 만들어낸 영향력을 검토함으로써 미국 국가역사표준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가역사표준 채택 당시에 이 문서에 부여되었던 기대효과를 검토한 후, 실제 이 문서가 지닌 영향력을 국가 차원, 주 차원, 그리고 학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국가 차원과 주 차원의 영향력 분석은 기존의 연구 자료를 활용하였고, 학교 차원의 영향력은 직 접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접의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국가 차원에서는 국가역사표준의 채택을 전후하여 이를 둘러싼 논쟁이 정치화함으로써 이 문서를 기피하는 태도(방사능 효과)를 만들어 냈다는 부정적 평가가 일반적이지만 이 표준의 채택을 계기로 미국 사회가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교 교육에서 역사교육의 역동성을 되살리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도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주 차원에서 미국의 국가역사표준은 주사회과 교육에 미친 영향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사회과 표준 설정에 자료로 활용되는 방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수준이었다. 학교 차원에서는 미국의 전통인 교육지방자치 제도의 견고함과 교실 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교사의 강한 자율성으로 인해 국가역사표준의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강조되고 있는 Common Core State Standards 운동의 영향으로 국가역사표준의 영향력 확대를 기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The national history standards adopted in 1996 is a set of documents which represents the so-called cultural war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tandard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impact, or influence of the national standards on history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The expected effect of the national history standards were vary diverse reflecting the various viewpoints to see the standards. The effect is analyzed in this paper on three different levels; state level, national level, and school level. On national level, the impact of the standards was officially not visible, but unofficially their influence was manifest when we consider the fact that the standards for teaching history and the public concern on history teaching were actually raised since the controversy on the national standards. On state level, it appears that the effect of the national history standards was very weak and indirect. The national standards were influential to the extent that they had influenced the states` social studies standards and curriculum. On classroom level, it appears that the strong culture of local control in American education suppressed the influence of national standards on history teaching in classroom.

      • KCI등재

        우리나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의 현황과 해결과제

        최정희(Jung-Hui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마이크로디그리는 전공이나 부전공, 혹은 복수전공이 요구하는 학점보다는 적은 학점을 집중적으로 이수하였을 때 제공되는 자격증이다. 마이크로디그리 제도는 세계적으로 대학 혁신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등장하여,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제도가 더욱 발전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라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방법 마이크로디그리 제도를 경험한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D대학교의 교수 6명과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FGI를 실시하였다. 질문은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전반적 인식, 마이크로디그리의 필요성,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면 과제,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개선방안으로 구성되었고, 응답 결과 또한 이 네 가지 영역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이 제도가 대학생활에 대한 학생들의 적응력을 높임으로써 중도탈락 방지 및 적극적 학습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인식이 강하였다. 둘째, 마이크로디그리는 학생들이 진로를 설계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수와 학생 모두 그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마이크로디그리 제도가 효과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수한 과목으로 구성된 만족도 높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마이크로디그리 간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될 것이다. 넷째, 이 제도가 개선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전담 부서의 설치, 전담 교수제도의 도입, 멘토-멘티제도의 활용, 전용 플랫폼 구축, 적극적 홍보 등이 제안되었다. 결론 마이크로디그리를 구성하는 교과목 수준의 제고와 디그리 간 연계성의 확보, 전담 부서의 설치 및 전담 교수제의 도입, 동료 간 학습지원, 지원 플랫폼의 구축, 적극적인 홍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요구가 제시되었으며, 요구 사항 사이에는 높은 관련성이 있다. 예컨대 교과의 질 관리와 디그리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담 부서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담 부서를 중심으로 양질의 자료가 개발되어야 대학 구성원들에게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질 것이고,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감대 형성 등 동력이 마련될 것이다. 동료 간 학습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멘토-멘티 프로그램은 전담 교수가 주축이 되어 관심을 가져야 실행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s A microdegree is a certificate provided when a student has completed fewer credits than required for a major. The microdegree system has emerged as a core program of university innovation around the world and has been gr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ways to further develop the microdegree system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opinions from professors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microdegree system. FGI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6 professors and 14 students at D University, which operates this system. The questions consisted of the overall perception of microdegree, the need for microdegree, the challenges facing microdegree, and ways to improve microdegree operation,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se four area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that this system would help prevent dropout and form an active learning attitude by increasing student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Second,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microdegree because it can be useful in helping students plan their careers. Third, in order for the microdegree system to be effectively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satisfactory programs composed of excellent subjects. Fourth,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is system were propos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department, introduction of a dedicated professor system, use of the mentor-mentee system,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platform, and active promotion.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subjects that make up the microdegree, secure connectivity between degrees, establish a dedicated department and introduce a dedicated professor system, support learning between colleagues, establish a support platform, and actively promote it. A variety of requirements have been presented, and there is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requirements. For example, a dedicated department will be needed to manage the quality of subjects and ensure connectivity between degrees. In addition, only when high-quality materials are developed centered on a dedicated department will active promotion be carried out to university members and a driving force will be provided, such as forming a consensus for building a platform. A mentor-mentee program that enables peer-to-peer learning support will only be feasible if a dedicated professor takes the lead and takes interest.

      • KCI등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 1950년대 커리큘럼개조운동의 재평가

        최정희 ( Jung-hu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Typical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modern Korean education is that Korea recklessly adopted American educational theory. This study re-evaluated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of the 1950s, and found that, contrary to general understanding, the movement was independent of and deviated from American curriculum theories. First, leading teachers in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believed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conditions of Korean people. They feared that the reckless adoption of western curriculum theories would create discrepancies between the theories and actual educational practices. Thus, focus was given to the shortcomings rather than merits of American educational theories, resulting in a unique reform movement, which was implemented primaril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her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in the US. Most curriculum proposals developed in Korea differ from US proposals in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curricula are combined. In this way,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of Korea attempted to thoughtfully combine child-centered and society-center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