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최정연,남상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revised curiculum of 2015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eacher’s manual in the field of geography with th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Anderson and Krathwohl (2001), and has examined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only the cognitiv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have been analyz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geography, and the instructional objective in the social science teacher’s manual for geography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grades 3 to 6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e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field of geography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examined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out of 26 alignment analysis results, 15 (57.7%) were consistent while 11 (42.3%) were not. This study confirms the necessity to raise alignment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which are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field instructors. It also suggests that a more detailed and concise narrative is needed when propos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n order for instructors to properly achieve the education objectives that the curriculum demands, curriculum developers or researchers need to study the cognitive narrative used in sugges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지리영역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별 수업목표를Anderson and Krathwohl(2001)의 신 Bloom 교육목표분류학으로 분석한 뒤 둘 사이의 정합성을 살펴보았다. 신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특성상 인지적 영역의 성취기준과 수업목표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3~6학년 1, 2학기 사회 교사용 지도서의 지리영역 차시별 수업목표였다. 신 Bloom 교육목표분류학으로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를 분석한 후 둘 사이의 정합성 관계를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체 26개의 정합성 분석 결과 값 중 정합성이 있는 경우는 15개(57.7%), 정합성이 낮은 경우는 11개(42.3%)였다. 이번 연구는 현장 교사의 교육 목표가 되는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을 좀 더 높일필요가 있음을 확인하게 한다. 또한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제시에 있어 좀 더 명확하고 간결한 서술어 사용이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교사와 학생이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교육 목표에 정확하게 도달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개발자(혹은 연구자)는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제시에 사용하는 인지과정 서술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EFL Koreans’ article choice across proficiency in specificity

        최정연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5 중등영어교육 Vol.8 No.3

        Many studies (Ionin, 2003, etc.) have shown that the semantic feature of specific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articleless Korean 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article cho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semantic effect holds across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groups (High and Low Groups; HG and LG). Fifty three college students of each group were allocated to a task and testing took place in a classroom environment for two days. All participants sufficiently focused on each questionnaire for about thirty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HG and LG similarly show the overuses of the in indefinite specific contexts and the overuses of a in definite non-specific contexts. However, HG seemed to be more sensitive to semantic features than LG. EFL Koreans’ article choice is not random, but reflects a systematic semantic distinction (i.e., specificity).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EFL Korean students seemed to generally associate the definite article the with the specificity feature in non-random error patterns. The specificity feature was shown to be responsible for the overuse of the for the HG EFL Koreans. Their errors were traceable to parameter setting (the article choice parameter proposed by Ionin, Ko, & Wexler, 2004), which is not found in their articleless native language (Korean) and the target language (English), but is only available through article semantics in UG (Universal Grammar).

      • KCI등재

        우븐 직물의 감성표현 고찰 -직물 텍스처를 중심으로-

        최정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that is influenced by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aesthetic expression on woven fabric and understand emotional expressions found on the surface of woven fabric. For this study, emotion and trends were considered theoretically, and to examine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among the types of textiles, the internet and specialized periodicals were investigated for case analysis. Nowadays, tendencies against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appear generally in our society. The tendencies are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qualitative value, scarcity value, and human emotion and also nature-friendliness, and they are influencing the society and culture in general reflected as ‘slow’ and ‘analogue’ sentiments. Hereupon, this study analyzed ‘slow’ and ‘analogue’ sentiments from aesthetic perspectives and drew the properties of rarity, scarcity, and ethicality. Based on that, this author examined the cases of aesthetic expressions as the solid texture expressions of woven fabric by limiting textile design to woven fabric. With the cases above, this study came up with such categories as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s, handicraft emotional expressions, and vintage emotional expressions and analyzed emotional texture expressions applied to 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ut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s on woven fabric, the properties of thread’s superficial texture comprising the patterns on the fabric contrast with its ground and expresses both abstract and discriminated fabric texture emotion. Concerning handicraft emotional expressions, weaving or embroidery, the manual technique used to decorate fabric a long time ago, and fabric design created by the handloom are reproduced with modern technique. 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read appropriate for handicraft are highlighted, it provides the sentiments of plainness and playfulness. Regarding vintage emotional expressions, we can find the surface of fabric having a ladder or worn-out part seemingly or loosely woven with nature-derived thread or its edges torn naturally. This arouses the sentiment of easiness, and mostly, nature-derived thread is found to be applie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nsibility in the area of textile, this author has drawn sensibilities corresponding to the needs of contemporaries pursuing the value of scarcity and uniqueness and found that the emotions are expressed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can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sensibility and glance at the endless potential of development in aesthetic expressions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Also, it is positively expected that aesthetic research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will continue from academic perspectives afterwards. 본 연구는 사회 문화 환경에 영향을 받는 감성과이에 따르는 우븐 직물(Woven Fabric)에서의 미적표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븐 직물의 감성적 표현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감성과 트렌드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텍스타일 중 우븐 직물의 텍스처의 감성표현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터넷과 전문 정기간행물을 통하여 사례를 살펴 분석하였다. 오늘날 가속화된 산업화와 디지털화에반하는 경향이 사회전반에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질적가치 중시, 희소가치 중시, 인간정서 중시, 자연친화적인 특징의 성격을 가지고 ‘느림’, ‘아날로그’의감성으로 투영되어 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있었다. 이에 ‘느림’, ‘아날로그’에 대한 감성을 미학적관점에서 분석하여 희귀성, 희소성, 윤리성의 특성을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중에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한정하여 우븐 직물의 입체적 질감표현에 대한 미적 표현사례를 살펴보았다. 위의 사례를 바탕으로 예술적 감성표현, 수공예적 감성표현, 빈티지적 감성표현으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분석하여우븐 직물에 적용된 감성적 텍스처 표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븐 직물의 예술적감성표현은 직물문양을 구성하는 실의 표면질감특성이 직물의 바닥면(Ground)과 대조를 이루면서 추상적이며 차별화된 직물 텍스처 감성으로 표현되고 있었으며, 수공예적 감성표현으로는 오래전 손으로 직물에장식을 하는 테크닉인 엮기, 자수, 수직기를 사용한직물 디자인이 현대의 테크닉으로 재현되면서 수공예에 적합한 실의 형태적 특성이 부각되면서 투박함과유희적 감성을 주었다. 빈티지적 감성표현에서는 직물의 표면에 실의 올이 풀리거나 닳은 표현과 천연 소재의 실로 헐겁게 직조되었거나 직물의 끝 올을 자연스럽게 찢은 것 같은 표현으로 편안함 감성을 주었으며 주로 천연소재의 실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텍스타일 분야에서 감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특함과 희소성의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욕구에 부합되는 감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감성이우븐 직물 텍스처에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감성 트렌드를 이해하고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대한 미적 표현의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엿보았으며,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대한 심미적인 연구가 학술적으로 계속 진행되길 긍정적으로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