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최윤성,김종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uctively learning effects of virtual field trips(VFTs) programs develop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theme of minerals and rocks, focusing on learning in virtual geological components. Ten students attending 'H' elementa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rder to develop a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pre-actual outdoor geological field trips were conducted and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were developed. In this process, written data of students observing, all video recording and voice recording materials of the course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d, VR development data, and post-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focusing on four areas(cognitive, psychological, geography, and technical components) of learning in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s.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learning effects for students in four area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ot just participants in virtual learning, but rather developed classes for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which ha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authentic inquiry. 이 연구의 목적은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초등학생들이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관찰되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귀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수도권 소재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0 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가상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을 위해 사전에 실제로 야외지질답사를 실행하고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서면 자료와 비디오 녹화 영상, 음성 자료, 그리고 모든 연구가 종료된이후 진행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구성 요소 중 네 가지 영역(인지, 심리, 지리,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네 가지 요소, 인지, 지리, 심리, 기술 영역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상 야외지질학습에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가상 야외지질답사모듈 수업 개발자로서 참탐구의 측면에서 지질학 학습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인식 탐색

        최윤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pre-serviceteachers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Methods: A total of 13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urvey, including 92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rom A Education University, 42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mong the participants, 12pre-service teachers, including thre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nine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agreed to additional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meetings. Result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a tendency among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to emphasize the aspect of knowledge acquisition when defining earth science learning. Theperception of "good" and "bad" classes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the presence orabse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ast experiences with Earth Science,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 of experiences related to knowledgeacquisition in classroom settings, whil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of experience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s. In terms of envisioning future Earth Scienceinstructio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implicit understanding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cluding knowledge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knowledge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dicator of the perceptions heldby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serving asfundamental data with academic value that can be utilized in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on Earth Scien ce education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학습에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 교육대학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92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중인 42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총 134명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결과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정의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지식 습득의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좋은' 및 '나쁜' 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유무가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지구과학에 대한 과거 경험에서 초등 예비교사는 교실 환경에서 지식 습득 경험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천문관측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미래 지구과학을 지도하는 모습에서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교과내용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비대면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등)에 대해 암묵적인 이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학습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보여줄 수 있는 지표이자 향후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국제비교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써학술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영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임상적 특성과 자연 소실율

        최윤성,김지혜,심윤희,이승주,Choi, Youn-Sung,Kim, Ji-Hye,Shim, Yoon-Hee,Lee, Seung-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1

        목적 : 소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대부분 요로감염 후에 진단되고, 여아에서 흔하며 역류와 신반흔의 정도가 다양하고 심한 역류에서는 자연 소실율이 낮다. 반면 최근에 태아 수신증으로부터 진단된 신생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남아에서 흔하고, 역류와 신반흔의 정도가 심하며 심한 역류에서도 자연 소실율이 높은 점 등 상반된 특징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기와 소아기의 이행기인 영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임상적 특성과 자연 소실율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서 요로감염 치료 후에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로 진단된 영아에서 매년 동위원소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로 3년간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던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의 연령은 $4.7{\pm}3.8$개월(남아 $4.2{\pm}3.5$개월, 여아 $5.6{\pm}4.8$개월)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임상적 특성으로 성별, 역류의 정도, 신반흔의 정도 등을 조사하였고, 자연 소실율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영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남아가 76명(79.2%), 여아가 20명(20.8%)으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많았고(P<0.05) 역류성 요관도 남아가 99단위(77.3%), 여아가 29단위(22.7%)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역류 등급의 분포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반흔의 동반율은 남아 31.3%(31/99), 여아 17.2%(5/29)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위축신의 동반율은 남아에서 17.2%(17/99)로 여아 3.4%(1/2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역류성 요관의 3년 누적 자연 소실율은 89.1% (114/128)로 매우 높았으며 성별과 역류의 등급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 첫해, 중증 역류성 요관(3-5등급)의 자연 소실율이 남아에서 46.2%로, 여아의 7.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정상 신장을 동반한 경우의 자연 소실율이 76.6%로 위축신을 동반한 경우의 2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영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남아에서 많았고 특히 남아에서 위축신의 동반율이 높았다. 3년 누적 자연 소실율은 매우 높았고 중증 역류와 위축신을 동반한 경우에도 높았다. 즉, 영아기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위축신을 동반한 심한 역류에서도 수술요법보다 내과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권장된다. Purpose : Childhood primary VUR is generally diagnosed after urinary tract infection, is more prevalent among girls and has a low spontaneous resolution rate in cases of severe VU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ge and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infantile primary VUR.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96 infants with primary VUR, diagnosed after their first UT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1995-2004).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the degree of VUR and presence of renal scars were evaluated.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and contributing factors were also analyzed Results : Infantile primary VUR was more prevalent in males than females. The percentage of atrophic scarred kidne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females(17.2% vs 3.4%) (P<0.05). The cumulativ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in 3 years was very high(89.1%),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 and among VUR grades. But in the first year,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severe refluxing uret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46.2% vs 7.1%)(P<0.05) and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refluxing ureters with no scarred kidney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ssociated with atrophic scarred kidneys(76.6% vs 20%)(P<0.05). Conclusion : Infantile Primary VUR was more prevalent among males and tends to be associated with atrophic scarred kidneys In male infants. The cumulativ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in 3 years was very high, even in high-grade VUR and associated atrophic scarred kidneys. In infantile primary VUR, surgery should be withheld even in infants with high-grade VUR with atrophic scarred kidneys.

      • KCI등재

        ‘광물과 암석’ 관련 야외지질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 - 생소한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최윤성,김종욱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geological field trip conducted under the theme ‘minerals and rocks’, focusing on novelty space. A total of 10 six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eld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part of after-school club activities. Students observed mineral and rock samples in a classroom and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The authors collected activity papers (texts, drawing), researchers’ participation notes, video and audio recordings containing the study participants’ activities, and post-interview data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cognitive domain of students, the observation analysis framework for rock classification of Remmen and Frøyland (2020) and the rock description analysis framework of Oh (2020) were used. Additionally,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reas, students’ drawings, texts, discourses, and interview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demonstrated ‘everyday’ and ‘transitional’ observations in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while in the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school playground, community-based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transitional’ and ‘scientific’ observations. Moreover, as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age progressed, more types of descriptive words for rocks were used.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spects, students showed their selection of places to explore familiar outdoor learning environments, positive perceptions of outdoor learning, and aesthetic appreciation. Finally, this study not only discussed novelty space as a tool for analyzing students’ learning effects bu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n academic approach considering new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learning through virtual field trips.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진행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자율 동아리 활동 형식으로 서울의 한 공립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본 프로그램에 6학년 학생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광물과 암석 표본을, 야외 학습 환경에서 노두에 노출되었거나 정원석 등으로 쓰이고 있는 광물과 암석을 각각 관찰하였다. 저자들은 각 차시별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활동지(글, 그림), 연구자 참여 노트, 연구 참여자의 활동이 담긴 영상 및 음성 자료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emmen and Frøyland (2020)의 암석 분류를 위한 관찰 분석틀과 Oh (2020)의 암석 기술어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심리 및 지리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의 그림과 담화 및 면담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일상적’, ‘과도기적’ 관찰 양상을 보였으며 야외 학습 환경에서(학교 운동장, 지역사회)는 ‘과도기적’ 및 ‘과학적’ 관찰 단계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덧붙여 과학적 관찰 단계로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암석 기술어가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심리, 지리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익숙한 야외 학습 환경으로의 답사 장소 선정,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미적 감상 등을 표현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생소한 경험 공간 개념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아울러 가상야외지질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환경을 고려하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Dual-Arm Robot Motion Planning for Collision Avoidance using B-Spline Curve

        최윤성,김동형,황순웅,김현국,김남운,한창수 한국정밀공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8 No.6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trajectory planning of dual-arm robot. Since the original collision-free path obtained in a probabilistic way is unnecessarily jerky, it may induce a high acceleration to robot’s actuator so we regard this as a low quality path.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h, we propose the B-spline trajectory planning algorithm that transforms the path into the collision-free and smooth trajectory. And as a specific example of application, we applied our proposed algorithm on cell-phone assembly task using the dual-arm robo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mooth and collision-free trajectories for the task can be generated with our motion planning simulator.

      • SCOPUSKCI등재

        Xylanase 처리가 재생섬유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윤성,원종명 한국펄프종이공학회 1998 펄프.종이기술 Vol.30 No.3

        It is well known that the recycling of pulp generates a lot of fines, and cause the hornification of fiber. Both phenomena have been contributed to a limited use of recycled fiber. Among several means which can improve the properties of recycled fiber, enzymatic treatments ar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ans. Thus the effects of xylanase on the properties of recycled pulp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Xylanase treatment showed some refining effect at a small dosage while the fines and fibrils were reduced at higher dosage as shown in the treatment with cellulase-hemicellulase. Th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WRV of recycled fiber treated with xylanase was higher than that treated with the mixture of cellulase and hemicellulase. Breaking length and tear index of recycled fiber treated with xylanase were also higher.

      • KCI등재

        Four-Dimensional Real-Time Cine Images of Wrist Joint Kinematics Using Dual Source CT with Minimal Time Increment Scanning

        최윤성,이영한,김성준,조희우,송호택,서진석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3 Yonsei medical journal Vol.54 No.4

        Purpose: To validate the feasibility of real time kinematography with four-dimensional (4D) dynamic functional wrist joint imaging using dual source CT. Materials and Methods: Two healthy volunteers performed radioulnar deviation and pronation-supination wrist motions for 10 s and 4 s per cycle in a dual source CT scanner. Scan and reconstruction protocols were set to optimize temporal resolution. Cine images of the reconstructed carpal bone of the moving wrist were recorded. The quality of the images and radiation dosage were evaluated. Results: The 4D cine images obtained during 4 s and 10 s of radioulnar motion showed a smooth stream of movement with good quality and little noise or artifact. Images from the pronation-supination motion showed noise with a masked surface contour. The temporal resolution was optimized at 0.28 s. Conclusion: Using dual source CT, 4D cine images of in vivo kinematics of wrist joint movement were obtained and found to have a shorter scan time, improved temporal resolution and lower radiation dosages compared with those previously reported.

      • KCI등재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개발

        최윤성,박진희,김주용,Choi, Yoon-Seung,Park, Jin-hee,Kim, Joo-yong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손목움직임 측정을 위해 스트레치 센서를 손목에 부착하여 배굴, 저굴 그리고 랜딩동작을 게이지율, 인장강도 그리고 신장회복률을 척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CNT 분산액을 이용한 전도성 센서를 개발하고 E-band에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함침을 각각 한 번, 두 번, 그리고 세 번한 같은 크기의 5종, 15가지 센서를 만능재료시험기(Dacell dn-fg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활용해 게이지율(Gauge Factor)을 측정하였다. 두 번 함침한 센서가 게이지율이 가장 우수했으며, 게이지율과 인장강도가 높은 세 가지 센서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였다. 아두이노에 연결하여 동작테스트를 한 결과,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이 가장 높은 시료 1이 세 가지 동작에서 일정한 파장이 유지되었다. 시료 2,3은 배굴과 저굴에서는 일정한 파장을 나타내었지만, 랜딩동작에서는 신호 노이즈가 나타났다. 이는, 랜딩동작에서는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에 따라 파장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손목의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제작시에 필요한 조건들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루어낚시용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