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층을 위한 ‘이야기말하기형 진단도구’의 그림체 연구

        최유미,한지윤,박조이,최주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3

        As aging progresses, active senior lose their language processing skills. Therefore, diagnostic tools are being developed to detect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dementia early on. Among them, "storytelling diagnostic tools" for diagnosing language processing skills of active senior are mainly used abroad to think of memories, express them in words, and diagnose language skills. Various studies show that it can be measured much more precisely than conventional diagnostic tools, and if used domestically, it can be very useful in measuring the language processing ability of active senior. However, storytelling diagnostic tools made from overseas stories that are not familiar to active senior in Korea are not suitable for diagnosing the language-recognition abilities of active senior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familiar story for the elderly in Korea, check the Drawing style, and use it to develop a story-telling type diagnostic tool. Overseas, storytelling type diagnostic tools using Cinderella stories have been significantly implemented to diagnose the language processing ability of active senior. As such, it is necessary to produce storytelling type diagnostic tools suitable for the emotions of active senior in Korea. Active senior tend to prefer previously acquired familiar information, such as traditional fairy ta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raditional fairy tales that are most familiar to the elderly in Korea, check the right drawing style and suggest drawing style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type diagnostic tools. First of all, the familiarity of traditional fairy tales was surveyed by the target audience, and the result was that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most familiar to all generations, especially selected as the high proportion of ‘Heungbu and Nolbu’. Next, the 13 paintings of ‘Heungbu and Nolbu’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atercolor in Hand Painting," "Simple Shape," "Collage," and "Realistic Techniques." In order to present the same person and situation, the beat corresponding to the 'third chapter' of 'Heungbu and Nolbu' was selected as a test scene in accordance with the 'Hungbu and Nolbu' scenario technique, and a total of 93 active seniors were tested with digital devices. Studies have shown that active seniors prefer 'simple shapes' graphics the mos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using the 'simple shape' Drawing style preferred by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in 'talking-type diagnostic tools' for the elderly.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년층들은 언어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진단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 노년층의 언어처리능력 진단을 위한 ‘이야기말하기형 진단도구’는 그림을 보고 사람의 기억을 되새겨서 다시 말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언어능력을 진단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진단도구는 전환(shifting)과 선택적 주의력(selective attention abilities)의 감소로 주제와 벗어난발화를 산출하는지 확인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활용되는 진단도구는 대부분 해외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국내의 노년층에게 익숙한 이야기로 만든 이야기말하기형 진단도구의 개발이필요하다. 하여 최유미, 성지은, 한지윤, 그리고 김유리(2018)의 연구를 시작으로, 최유미, 한지윤, 박조이, 그리고 최주은(2020)과 연결된 후속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한국 노년층에게 가장 친숙한 전래동화 이야기를 찾고, 노년층이 선호하는 그림체를 확인하여 결과적으로 이야기말하기형 진단도구의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타깃을 대상으로 전래동화 친숙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모든 세대에게 가장 친숙하고, 특히 노년층에게 높은 비율로 선정된 전래동화는 ‘흥부와 놀부’였다. 다음으로 시판된 ‘흥부와 놀부’ 그림책 13권을대상으로 그림체를 스타일별로 분류한 결과 ‘손그림 중 수채화’, ‘간단한 도형’, ‘콜라주’, ‘사실적 기법’ 4가지로 도출되었다. 동일한 인물,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기승전결 시나리오 기법에 따라 ‘흥부와 놀부’의 ‘전’에 해당하는 박타는 장면을 테스트 장면으로 선정하였고, 총 93명의 액티브시니어에게 디지털 디바이스로 그림체 선호도 테스트를 시행했다. 연구결과 액티브시니어는 ‘간단한 도형’ 그림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티브시니어 세대가 선호하는 ‘간단한 도형’ 그림체를 노년층을 위한 ‘이야기말하기형 진단도구’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 통합교육 모형 수업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대상, 과학과 디자인의 통합을 중심으로

        최유미,문영순,안지현 디자인 여성학회 2010 디자인여성학연구 Vol.6 No.1

        현대 사회에서는 멀티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정보가 물밀듯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단편적이고 수동적인 사고에 의해서 이해될 수 없는 복합적이고 능동적인 이해 능력을 요구하는 통합적 지식이므로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틀에 박힌 암기위주의 교육방식은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 통합교육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지식을 전 생애적 교육방식으로 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학습자의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과 내 디자인과 과학의 통합과정인 그림자 애니메이션 제작 모형 수업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빛과 그림자의 과학 원리가 그림자 애니메이션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여러 가지 실험과 그림자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하여 이해하게 된다. 또한 이 수업은 다양한 그림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상상력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이 신장되도록 설계되었다.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 is flood of information coming out of the multi-media field. This information cannot be understood by fragmentary and passive thoughts but needs the compositive and active understanding of integrated knowledge. The old-fashioned educational style of memorization doesn?t fit into our modern society. The integrated lesson applies it self to real life as a wholistic educational method, it allows students to combine the knowledge of all lessons in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ain concept.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ies and examples of integrated lessons, the model lesson of making shadow animation was planned by combining a science class into a design class in fine arts. Through this lesson, students could understand how to apply the science theory of light and shadow into their shadow animation. They used various experiments and was activities in their shadow animation. Also this lesson was designed to improve their creativity during the shadow animation??process.

      • KCI등재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 선정 기준과 내용 분석: 누리과정(교사용 지도서)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최유미,정상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for preschoolers and according to this selection criteria analyze the recommended books in teacher 's guide of a governmental level education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First, the selection criteria for picture books were determined while considering selection criteria for typical good picture books, importa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nd other things. Typical good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should include literature, artistry, and education.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divided into diversity, identity, anti - prejudice, and community cooperation. In addition, thing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ile selecting picture books include the background of a writer and illustrator, the year of publication of a book, and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in education. All 264 picture books in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 under the categories of ‘fairy tales, poems for children and theatre plays for children’, excluding poems for children, are mainly composed of picture books that can be purchased at a real bookstore. Picture book selection was conducted by three researchers who used these books and had job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ot degree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ster, Ph. D) including one main researcher and two analysts. Cross-reading process was conducted between the analysts, and as a result, totally 39 books were selected. Among selected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 total of 1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on diversity development, 13 picture books on identity development, 6 picture books on anti-bias education and there was a total of 18 picture books about the cooperation. There were 8 picture books that contained more than two importa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을 하기 위해 그림책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그 선정기준에 따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에 추천된 그림책을 분석하였다. 우선 그림책 선정 기준은 일반적인 좋은 그림책 선정기준과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그리고 그 밖에 고려 사항으로 선정하였다. 일반적인 좋은 그림책 선정 기준은 문학성, 예술성, 교육성을 담고 있어야 한다.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는 다양성, 정체성, 반편견, 공동체 협력으로 나누어 살펴봐야 하며 그 밖에 그림책 선정 시 고려사항은 글과 그림 작가의 배경, 책의 출판년도, 교육현장에서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있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동시・동극’영역에 제시된 그림책 중 동시를 제외한 총 264권의 그림책 중 실물 구매가 가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 현장경력과 다문화교육 학위(석사,박사)가 있는 3인(주연구자1, 분석자2)에 의해 분석자간에 상호확인(cross-reading) 과정을 거쳐 그림책 선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최종 39권의 도서를 선정하였다.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그림책으로 선정된 도서를 살펴보면 다양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 그림책은 총 10편, 정체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 그림책은 총 13편, 반편견에 대한 내용을 다룬 그림책은 총 6, 공동체적 협력에 대한 내용을 다룬 그림책은 총 18편이었다. 이 중 두 가지 이상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를 담고 있는 그림책은 총 8편이었다.

      • KCI등재

        중첩 융합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STTC기반 이중 셀 시스템 분석 모델

        최유미,김정호,Choi, YuMi,Kim, Je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8

        인지 기반 융합 중첩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의 시스템의 성능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단말기의 기능성이 좋아짐에 따라 스마트한 지능을 기반으로 접속 자원의 효과적 활용에 적합한 개별 이종 네트워크의 특성분석과 특성을 반영하는 시스템 측면의 접속 최적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의 소형화와 다집적화, 가상화, 지능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기지국 hotelling과 같은 기지국 집중화를 통한 통합적 최적화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응한 이중 가상 셀 시스템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활용도 측면의 성능을 분석하고 향후 다뤄져야 할 사항들을 확인하였다. The newly introduced model of a STTC-based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WCS) can provide the capability of joint control of the signals at multiple cells.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virtual cell systems: the Dual Virtual Cell (DVC), and also proposes DVC employment strategy based on DWCS network. The considered system constructs DVC by using antenna selection method. Also, for multi-user high-rate data transmission, the proposed system introduces multiple antenna technology to get a spatial and temporal diversity gain and exploits space-time trellis codes known as STTC to increase a spectral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