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곤충종목록집 발간현황(벌목) 및 국가 생물종목록 관리체계

        최원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우리나라 벌목에 대한 목록연구는 김(1963)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 졌으며, 김은 “한국동식물도감, 곤충류 III(김, 1970)”을 통해 1,017종의 자생벌류를 정리하였다. 그 후 한국곤충학자들에 의해 발간된 한국곤충명집(ESK & KSAE, 1994)에서 종합적인 자생곤충류의 목록작업을 수행하여 총 30목 478과 10,991종의 자생곤충류 정리하였으며, 이때 15상과 46과 1,887종의 자생벌목에 대한 종목록이 정리되었다. 최근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국가 생물종목록집 발간사업을 추진하여 벌목 I(2012), 벌목 II(2014)를 통해 지금까지 보고된 우리나라 벌류를 정리하여 총 61과 3,046종으로 보고하였다. 종목록의 관리는 최근 국제적으로 “Species 2000”, “PESI” 등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추세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시행(2013)으로 국가 생물종목록 관리를 법적기능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한 나고야의정서를 대비하여 국가 생물종에 대한 표준관리와 정보 일원화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국가 단위의 생물종목록정보 관리시스템 구축과 정보 표준화체계 정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국가생물다양성센터에서는 국가생물자원종합관리시스템(http://www.kbr.go.kr/)을 구축·운영하여 국가 생물다양성에 대한 종합정보를 제공하고 국가 생물종목록에 대한 표준화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일원화된 생물종목록 정보서비스를 실시한다.

      • KCI등재

        호남평야지에서 운광벼 이앙시기별 쌀 수량 및 품질변화

        최원영,김상수,구본일,최민규,박홍규,김영두,이규성,김정곤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transplanting date of the top-quality rice variety, Unkwangbyeo, in Honam plain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2006 to 2007 in Iksan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panicle per m2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m2 was the highest in the plot of which the transplanting date was June 15. Percent ripened grain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until June 15, however, it decreased in the plot of which the transplanting date was June 30. Imperfect grain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early due to the occurrence of immature rice and cracked rice. Protein content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but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oyo texture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Rice yield and the head rice yield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until June 15, however, they decreased in the plot of which the transplanting date was June 30. Even though the rice price was high in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gross profit was the highest in June 15 transplanting since the rice yield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became late until June 15. Considering the yield, rice quality and profit, the most appropriate transplanting date of Unkwangbyeo in Honam plain area is the middle of June.

      • 자포니카 초다수성벼의 최대수량을 위한 재식밀도 및 질소시비량

        최원영,유진희,김택겸,양창휴,백남현,김 선,이상복,김시주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 통일벼 생산과 더불어 쌀의 자급자족이 이루어지면서 쌀 산업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매년 의무 수입량이 늘어나면서 중저가 시장을 겨냥한 생산비 절감과 소비처 확대 방안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자포니카 초다수 성 “한마음”벼의 최대수량을 위한 재식밀도 및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출수기는 8월 14일로 재식밀도 및 질소시비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나. 출수기 벼 생육을 보면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경수는 많았으며, 엽질소 및 엽색은 N11㎏/10a 보다 N14.5㎏/10a 에서는 짙었으 나 그 이상에서는 비슷하였다. 지상부건물중과 엽면적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많았다. 다.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도복지수가 높아 도복은 N18㎏/10a에서 1, N21.5㎏/10a에서 2 정도 발생되었다. 재식밀도간에는 재 식밀도가 높을수록 도복지수가 높아 도복 발생이 심했다. 라. 쌀수량은 N18㎏/10a까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 록 증가하다가 N21.5㎏/10a에서는 감소하였으며, 재식밀도간에는 90>70>50주/3.3㎡ 순으로 많아, 최고수량은 N18㎏/10a에서 재식밀도는 90주/3.3M2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포니카 초다수성 “한마음”벼의 최대수 량을 위한 적정 재배법은 질소시비량 18kg/10a에 재식밀도 90주/3.3m2 이었다.

      • KCI등재후보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수준 측정 및 관련 요인 연구

        최원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수준을 측정하고,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지역사회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국립의료원에서 1999. 1. 1.부터 2003. 12. 31.까지 외상성 뇌손상으로 치료받은 환자 중 부상정도가 최경증(mild)인 환자로서 퇴원당시 15세 이상 80세 미만이었던 82명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직자가 장애이전 10.3%에서 장애이후 33.3%로 크게 증가하였고, 월 평균소득이 장애이후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로 측정한 지역사회통합수준은 총점 27점 대비 평균 13.33점으로 나타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정통합은 성별, 부상당시 연령, 일상생활 기능(ADL), 현재 소득, 가족의 지지, 거주지가, 사회적 네트워크 통합은 일상생활 기능, 직업유무, 가족의 지지가, 생산적 활동 수행은 부상전 소득 수준, 일상생활 기능, 직업유무, 거주지가 관련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세 부문을 포괄하는 전체적인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상생활 기능, 직업유무, 거주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의료재활서비스로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고, 직업재활을 활성화하여 취업기회를 확대하고, 소득수준을 높이며 가정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의 지지를 높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만성 요통 환자에서 수평 진동 운동의 임상 효과

        최원영,최치환,김정규,김현숙,이주상,정연규 한국신경근육물리치료학회(구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 2020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Vol.10 No.3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orizontal vibration exercise and core exercise on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This was an experimental single-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irty-nine olde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in an University Hospital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horizontal vibration group or a core exercise group. All patients underwent 30 min of each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Main outcome measures of perceived pain level, pain-related dysfunction, muscle strength and thickness, and postural stability were assessed at baseline, interim (6 weeks), soon after intervention (12 weeks), and post-intervention of 1 month (follow-up). Both groups showed improved perceived pain level, pain-related dysfunction, muscle strength of lumbar flexion and extension, and balance stability after the intervention(all p<.01). These effects maintained at follow-up of 1 mo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intervention groups for any outcome measure. Horizontal vibration and core exercises had the same effects on all outcome measures on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severe back pain and limited active movements may benefit from horizontal vibration equally to core exercise.

      • GMM을 이용한 MFCC로부터 복원된 음성의 개선

        최원영,최무열,김형순,Choi, Won-Young,Choi, Mu-Yeol,Kim, Hyung-Soon 대한음성학회 2005 말소리 Vol.53 N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constructed speech in the Distributed Speech Recognition (DSR) system. For the extended DSR, we estimate the variable Maximum Voiced Frequency (MVF) from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GMM), to implement realistic harmonic plus noise model for the excitation signal. For the standard DSR, we also make the voiced/unvoiced decision from MFCC based on GMM because the pitch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in that case. The perceptual test reveals that speech reconstructed by the proposed method is preferred to the one by the conventional metho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