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투자자의 블랙-리터만 모형을 활용한 전략적 자산배분 연구

        최영민,유원석,장호규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4

        Institutional investment may face potential inefficiency in portfolio strategy because of much restrictions on asset allocations. We investigate a way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trategic asset allocation by using Black-Litterman model with restrictions and control. Our method shows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benchmark portfolio: hence, it could suggest a different way of investment for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pension fund. 기관 투자자는 자산배분과정에서 정책적 또는 운용상 제약과 통제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제약과통제는 전략적 자산배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자산운용 수익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문제에 직면한 기관 투자자가 전략적 자산배분의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기금의 제약과 통제를 반영한 상태에서 블랙-리터만(Black-Litterman) 모형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는 경우 전략적 자산배분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이 방법은 단순하면서 효과적으로 전략적 자산배분을 개선할 수 있는 유연성이 높다는장점이 있기 때문에 운용자에게 부여된 목적 또는 고객 요청에 부합하도록 기금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입장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온라인관광정보가 문화유산관광지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대 고궁을 중심으로

        최영민,홍란지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4

        This study is about the online tourist information towards selection of cultural heritage destination. Among some tour site in seoul, the foreign tourist answered that Myung-dong and Dongdaemun market was more satisfied places than the four royal palaces. Also there are some problems was issued that the tourist information which is about the royal palace was not enough or wrong. So this study tried to make some solu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tourist information affected selection of cultural heritage destination. Second, the degree of influence of online tourist information to selection of cultural heritage destination were different between four royal palac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유산인 고궁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관광정보가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고궁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이지만 외래관광객에게 명동이나 동대문시장과 같은 관광지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았고, 고궁의 관광정보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거나 왜곡되는 등의 문제들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관광정보 속성 전체는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속성 전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관광정보가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은 덕수궁(β=.615)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창덕궁(β=.607), 경복궁(β=.506), 창경궁(β=.440)의 순으로 나타났다.

      • 단면형상변화에 따른 점용접 부재의 에너지흡수 특성

        최영민,차천석,김지훈,서현경,양인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6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The front-end side members of vehicles absorb the most of the energy during the front-end collision. These side members are mostly consist of single hat shape. The side members absorb more energy under axial load if they have higher strength, and stable folding capacity (local buckling). When structural members are subjected to axial loadings,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ir edges. Thus, in this study,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change of sectional shape for increase of strength. The side members consist of single hat, double hat, single cap and double cap section member. Based on the static test result of these side member, the impact simulation were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est result.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최영민,이영호,서승식,최화국,최귀동,이향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1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간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외임신으로 입원수술한 환자 116예를 임상적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분만건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168명(116예/19,497건)이었다. 2. 호발연령은 25-29세가 40.5%로 가장 많았다. 3. 분만횟수와의 관계에서 미산부의 자궁외임신이 29.3%를 차지하였고, 한번도 임신 안한 미임부가 30.2%를 차지하였다. 4. 최종월경 제 1일부터 증상발현하여 내원하기까지의 기간은 6-8주사이가 44.8%로 가장많았다. 5. 기왕력은 인공유산의 경험이 74.1%, 복강경불임시술 15.5%, 자궁외임신 12%, 제왕절개술 6.9%를 차지하였다. 6. 주요 임상증상에서 하복부동통이 88.7%, 질출혈이 57.8%, 무월경이 59.4% 등으로 주 증상을 보였다. 7. 자궁외임신 진단방법으로 소변 임신반응검사 양성율은 97.4% 였으며, 더글라스와천자 양성율은 71%로 나타났고, 복강경진단 양성율은 85.2%, 초음파진단상 자궁부속기 종괴 및 더글라스와 액상소견은 44.3%에서 나타났다. 8. 자궁외임신 발생부위는 난관이 92.2%로 가장 많았고, 난소 4.3%, 자궁경관 0.9%, 광인대 2.6%를 보였다. 그리고 형태에 따라 파열형이 69.1%, 사산형이 31%, 비파열형이 0.9%을 보였다. 9. 혈청 B-HCG치는 1,000 mIU- 5,000 mIU가45.8%로 가장 많았다. 10. 복강내 출혈량은 500 ml미만이 45.8%로 가장 많았고, 500-1,000 ml가 18.9%, 1,000-2,000 ml가 17.3%를 차지하였다. 11. 혈청 B-HCG치가 1,000 mIU/ml이하인 경우가 33%였고, 혈청 B-HCG치와 자궁외임신 크기의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혈청 B-HCG치를 이용하여 자궁외임신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유용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수술방법은 대부분 개복수술로 환측 난관절제술이 47.5%, 환측 난관절제술과 비환측난관결찰술이 10.3%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복강경에 의한 환측 난관절제술도 9.5%를 차지하였다. 13. 116예 자궁외임신으로 입원 후 수술 중, 후 사망한 예는 없었다. This study is a clinica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116 cases of ectopic prognancies who were admitted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91 to December 31, 199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dical center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168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group. 3. Nullipara was 34 cases(29.3%) and the number of cases had 1, 2 deliveries were 34 cases (29.3%), 39 cases (33.6%). 4.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8 weeks in 52 cases(44.8%). 5. In the past history, 86 cases(74.1%) had previous artificial abortion, 18 cases(15.5%) ha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14 cases(12%) had previous ectopic pregnancy, 8 cases (6.9%) had previous cesarean section. 6. On the smptomatological studies, lower abdominal pain was noted in 103 cases(88.7%), vaginla bleeding(spotting) in 67 cases(57.8%), amenorrhea in 62 cases(53.4%). 7. Urine hCG test was positive in 113 cases(97.4%) and culdocentesis was positive, 61 cases(71%). and diagnostic laparoscopy was positive in 23 cases(85.2 %). On the sonograghic findings, adnexal mass and cul-de-sac fluid finding was positive in 39 cases(44.3%). 8. Ectopic pregnancy was implanted on fallopian tube in 107 cases(92.2%), and 5 cases(4.3%) on ovary, 1 case(0.9%) on cervix. In tubal pregnancy, the most implantation site was ampullar portion 76 case(65.5%). Ruptured tubal pregnancy was 79 cases(68.1%). 9. The most common range of serum B-HCG level was 1,000 mIU-5000 mIU in 35 cases(41.1%). 10. Intraperitoneal blood loss below 500 ml in amount was 53 cases(45.8%), 1,000-2,000 ml in 20 cases(17.3%), respectively. 11. The serum B-HCG level was below 1,000 mIU/ml in 28 cases(33%). The serum B-HCG levels relate poorly with the size of a ectopic pregnancy. 12. Most commonly used operative procedure was ipsilateral salpingectomy in 55 cases (47.5%), ips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n 8 cases(6.9%) and also, laparoscopic salping ectomy was done in 11 cases(9.5%). 13. In the 116 study cases, there was no fatal case.

      • 정신질환 강의가 기독교인의 정신질환에 대한 견해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김영미,이정호,이기철,전성일 인제대학교 1999 仁濟醫學 Vol.20 No.1

        목회자 75명과 집사 이상의 직분을 가진 평신도 78명 등 모두 153명의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3시간 동안 정신질환에 대한 강의를 실시하여, 그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견해와 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정신질환 강의 후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종교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빈도는 감소하였고 심리적 원인과 생물학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빈도는 증가하였다. 또 신앙치료를 권하겠다는 빈도는 감소하였고 정신과 치료를 권하겠다는 빈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정신과적 치료의 정신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와 정신의학적 치료가 각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기능적 회복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정신과 강의 후에 나타나는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신앙치료의 정신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와 신앙치료가 각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기능적 회복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변화에서 목회자들과 집사 이상의 직분을 가진 평신도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If proper educations and informations are given. Protestants pastors and the leading lay believers may be good opinion makers of the psychiatric treatment modalities of mentally ill persons of their sectors. Thus the lecture of mental disorders was given to 153 rectors and leading lay believer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lecture on their opinions and attitudes to mental disorders. Before lecture they thought the religious factors as main causes of mental illnesses, but after lecture they thought psychological, social and biological factors are more important casative factors of marital diseases than religious factors. Before lecture they rated faith healing higher than other treatment methods, but after lecture they prefered psychiatric treatment to faith healing. And the lecture of mental disorders made them to place higher value on efficacy of psychiatric treatment.

      • KCI등재

        골반경술을 이용한 난소병변의 처치

        최영민,강순범,이효표,송용상,전혜원,김재원,박노현,이진용,장윤석,문신용,김정구,김석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2

        난소종괴 및 병변에 대한 골반경수술은 수술로 인한 물리적 손상을 줄이고, 회복이 빠르며 입원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이며 적절한 기준에 의해 시행되는 경우 악성종양의 가능성은 거의 없는 안전한 방법으로 난소병변에 의한 충분한 지식과 수술술기의 향상 및 개량된 장비의 사용으로 더욱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aken to review the spectrum of pelviscopic ovarian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cope of pelviscopic ovarian surgery, and to identify any advantages or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96 patients with ovarian pathology were managed pelviscopically from August 1990 to July 1993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16 to 66, and their mean age was 31.88 patients(91.7%) were premenopausal, 2(2.1%) were postmenopausal and 6(6.2%) were amenorrhic state; Presenting complaints included persistent pelvic mass, acute and chronic pelvic pain, infertility and so on. A protocol involving clinical examination, CA-125, ultrasound and color doppler studies were introduced to rule out the risk of incidental malignant ovarian tumors. The size of the cysts on ulrasound ranged from 3.5 to 9.9 cm with a mean of 5.8 cm. The operations performed were 6 biopsies, 2 with ovarian fenestration and biopsy, 21 with cystectomy, 55 with oophorectomy or adnexectomy and 5 with other procedures. There was a 7.3%(7/96) conversion rate to laparotomy. In 8 cases, cyst were bilateral. Mean operative time was 58 minutes and me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2.4 days. There were 7 surgical complications including 1 vessel injury, 3 wound infection, and 3 postoperative shoulder pain. No malignancies were found postopertively and the most common pathology was teratoma, endometrioma, serous or mucinous cyst in order. The advantages of pelviscopy are minimal physical strain, better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nd short hospital stay with acceptable complication rate. We concluded that management of ovarian pathology via pelviscopy is a method of treatment choice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과 자궁경부암의 예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영민,강순범,이효표,송용상,김우호,김종훈,박성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3

        1985년 1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산부인과에서 치료받은 정상대조군 42명과 자궁경부이형상피증 5명, 자궁경부암 환자 59명을 대상으로하여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상대조군의 평균연령은 43.2±1.1(Mean±SEM), 자궁경부 이형상피증(cervical dysplasia)환자는 45.2±2.1세, 자궁경부암 환자는 50,2±1.4세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정상대조군에서 자궁근종 16례, 자궁선종 4례, 난소종양 6례, 만성 골반염이 10례였고 이형상피증의 경우에는 중등도(moderate dysplasia)1례, 중증(severe) 4례 였다. 자궁경부암은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onoma)53례, 자궁선암(adenocarcinoma)5례, 편평성암(adenosquamous cell carcinoma)1례였고, 자궁경부암의 임상 병기에 따른 분포를 보면 0기암 4례, Ia 7례, Ib 18례, IIA 26례, IIb 3례, III 1례였다. 2. EGFR의 양성 발현율을 보면 정상 자궁경부조직은 2.4%의 양성 발현을 보였고, 이형상피증의 경우에는 20%의 양성 발현율을 보였다. 한편 자궁경부암의 경우에는 50.8%의 양성 발현율을 보여 정상 조직과 이형상피증에 비하여 자궁경부암에서 EGFR의 발현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P0.1). 3. 연령에 따른 자궁경부암에서의 EGFR의 발현도를 알아보면 50세 미만의 경우 53.6%, 50세 이상의 48.4%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50세를 기준으로 한 연령과 EGFR의 발현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gt;0.5). 4. 자궁경부암의 조직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EGFR 의 양성 발현율은 편평상피암이 45.3%, 자궁선암의 경우 100%, 편평선암의 경우 100%에서 EGF의 양성 발현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편평상피암에서는 비각화성 암(non-keratinizing cell type)의 경우 28.6%, 각화성(keratinizing cell type)암의 경우에는 48.1%로 각화성 암의 경우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gt;0.1). 5. 자궁경부 Ib-Ⅲ기를 대상으로하여 종양의 크기와 EGFR의 발현도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병변의 장축의 길이를 3㎝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3㎝미만의 경우는 EGFR 의 양성 발현도가 42.3%이고 3㎝ 이상의 경우는 54.5%로 종양의 크기와 EGFR 의 양성발현율과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gt;0.1). 6. 자궁경부암 Ia-III기 환자 59명을 대상으로하여 임파절 전이와 EGFR의 발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53.8%엣 양성반은을 보였고, 임파절 전이가 없었던 경우는 45.2%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lt;0.1). 7. 자궁경부암 Ia-III기 환자 59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궁경관의 침윤정도를 미세침윤, inner 1/3,middle 1/3, full thickness 로 나누어 EGFR의 발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해본 결과 양성발현율이 각각 33.3%,46.2%,45.5%,53.8%,50.0%로서 EGFR의 발현과 자궁경관의 침윤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gt;0.5). 8. 자궁경부암 Ib기 이상의 환자 54명을 대상으로하여 EGFR의 발현여부에 따른 5년 무병생존률을 살펴보면, EGFR 양성인 환자가 41.7%, 음성인 환자가 51.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Log rank test, x2 =0.8706, P$gt;0.1).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EGFR은 자궁경부암의 발생과 자궁경부 상피의 악성화(malignant transformation)등 초기 암화과정에는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나, 일단 발생한 자궁경부암의 진행 및 전이 그리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EGFR은 자궁경부 병변의 악성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일단 발생한 암의 진행 및 전이보다는 오직 초기 암화과정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cervica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in Korean women. But the pathophysiology of the cervical carcinoma is not well known. So, several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been proposed through the years, but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adopted by FIGO is now widely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modalities and prognosis. And it is the most helpful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survival. We cannot know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ervical cancer precisely by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 alone. So many investigators have been studying to find the other prognostic factors. During the last few years,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its receptor (EGFR)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in many other tumors such as lung cancer, breast cancer and brain tumor. In this study, author examined the tissue localization of EGFR by mean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tissues of normal squamous epithelium (42 cases), dysplasia (5 cases), carcinoma in situ (4 cases), microinvasive carcinoma (7 cases), invasive carcinoma (48 cases) of the uterine cervix. And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ression of EGFR and the surviv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ervical carcinoma. The results wer as follows ; 1. Normal squamous epithelium was weakly postive for EGFR in 2.4%(1/42). But the lesions of cervical dysplasia and cervical carcinoma were positive for EGFR in 20% and 50.8% (P$lt;0.01).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ositive ratio of immunihistochemical stainig for EGFR according to stage and age(P$gt;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tumor size and histological type(P$gt;0.1). 4.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stasis to lymph node and cervical depth of invasion (P$lt;0.1). 5.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keratinizing cell type(48.1%)and non-keratinizing cell type(28.6%)of squamous cell carcinoma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P$gt;0.1). 6.In positive staining group for EGFR,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slightly lower than negative staining group(41.7% vs 51.0%)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P$gt;0.1).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EGFR may be associated with the carcinogenesis.So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e possibility of EGFR as a new tumor marker which reflects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squamous epithelium. But the expression of EGFR was not related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etastasis of the lymph node and tumor size, and the survival in the invasive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협동제가 인간 자궁근종과 정상자궁근육의 조직배양시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들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이진용,문신용,김정구,김석현,서창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4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has been used as a temporaruy medical management for uterine myoma.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 has been supposed to play an etiological role in myoma growth and their action is modulated by IGF-binding proteins(IGFB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nRHGa on the IGFBPs production in the explant culture of adjacent myometrium and uterine myoma. The adjacent myometrium and myoma explants from patients treated(n=10) and nontreated(n=16) with GnRHa were cultured under serum free condition. Some explants from untreated patients were also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nRHa(10-7 M/L). Western ligand blot and immunoprecipitation showed the presence of 276 kilodalton IGFBP, IGFBP-2, IGFBP-3 and IGFBP-4 in culture media of these explants and IGFBP-4 only was consistently present in culture media of all expl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ach IGFBP between adjacent myometrium and myoma explant cultures regardless of the type of GnRHa exposure. The relative IGFBP-4 level in explant cultures of myoma from patients treated with GnRH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untreated patients. Addition of GnrHa in the media of myoma explants did not result in an significant change in the relative IGFBP-4 level compared with in vitro untreated explant cultures. Our data suggest that Gnrha may act through indirect involvement in the EGFBP-4 production in myoma t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