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왕세자 원유관복의 제정과 시행

        최연우 한복문화학회 2022 韓服文化 Vol.25 No.3

        Wonyugwan (遠遊冠) was worn by the king, his crown prince, and his grandchildren of the Joseon Dynasty as a Jobok (朝服) when there was an auspicious event in the country.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Wonyugwan-bok of the crown pri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detail so far. The changes of the crown prince's Jobok for about 100 y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reign of King Jungjong,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Wonyugwan-bok system,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Won-yu-gwan, and the decision maker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and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 were defined. The period of the crown prince's Jobok is divided mainly into that of wearing the Yanggwan-bok, the seven-line Wonyugwan-bok, and the eight line Wonyugwan-bok. The seven-line Wonyugwan-bok was settled by the continuous suggestions of Hyo-son Yoon (1431~1503). The proposal started in the King Seongjong period and was first approved by the King Sejo. It was enacted in the 6th year of King Yeonsan-gun (1500), but it was not implemented. Eventually, in the 17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1522), the Wonyugwan of crown prince was produced and used. When the enactment of the crown prince's seven-line Wonyugwan-bok was first discuss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rown prince's attire was not distinguished from that of his subjects. Accordingly, Hyo-Son Yoon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the Wonyugwan-bok and tried to recognize the idea of ​​'gwi-gwi (貴貴: Respect the precious person)’.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between the crown prince, the next monarch, and his servants through attire. .

      • KCI등재

        傳統喪禮 中 ‘不紐’의 朝鮮에서의 適用

        최연우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3

        This paper investigates a case in which a new custom has been formed out of the costume-related contents in Chinese courtesy books introduced into Joseon such as Yi-Li[Eui-Rye: 儀禮], Li-Ji[Ye-Gi: 禮記], and Zhuzi-Jiali[Juja-Garye: 朱子家禮], which had different meanings from original ones or were modified in routine life. Also, it analyzes through this how confucian characters were manifested in each period of Joseon in which Zhuzi-Jiali were applied. The case this paper considers is the ‘Bulnyu[Buniu: 不紐](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for which it takes a look mainly at the literature.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originally was an action related to utility in everyday life—an action for showing the loss of utility—, but it was changed into an action with strong symbolism and simultaneously gave birth to a new custom with the original utility-related meaning in the course of transmission up to the modern age. This is a case where a new custom was generated with meaning change. This paper addresses the process of change in terms of the meaning of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the object of action, the method of action, and symbolism. In sum,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underwent diverse changes in several respects from ancient courtesies through Zhuzi-Jiali to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applied in the Joseon period, it used to give rise to new customs, due to which much discussion arised among confucian scholars. The reason why Joseon’s confucian scholars were confused was that the contents conflicted among Sang-DaJi[Sang-Dae-Gi: 喪大記], annotation of Zheng Xuan(鄭玄) on Shi-Sang-Li[Sa-Sang-Rye: 士喪禮], and Zhuzi-Jiali. However, even though the ancient courtesies conflicted with Zhuzi-Jiali, until the 17th century, they were concerned with how to understand Zhuzi-Jiali with its contents untouched, and was not able to proceed to correct its contents based on the ancient courtesies or raise new opinions. This was because the society in this period did not allow the absoluteness of Zhuzi-Jiali to be damaged. But,since the 18th century, they happened to actively modify the contents of Zhuzi-Jiali. We can say that this was an expression of scholastic confidence as they came to clearly recognize the contradiction within the text of Zhuzi-Jiali in the course of practicing it and profoundly exploring the contents of the ancient courtesies. With this confidence, the modification of the text of Zhuzi-Jiali was likely to be accepted by the society. 본 논문은『儀禮』․『禮記』․『朱子家禮』등 중국의 의례서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그 속의 복식 관련내용이 의미와 行禮에 있어 어떻게 변모되었는가에 관해 ‘不紐’를 事例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 주자가례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기에 따라 유학적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傳統喪禮에서 행해지는 ‘불뉴’에 관해서는 문헌 및 무덤에서 출토된 복식유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본고는 문헌에 나타난 내용을 위주로 살피고 유물을 토대로 한 실제 현상의 파악은 후속연구에서다룬다. ‘불뉴’는 의미 변화와 함께 새로운 관습이 생성된 사례인데, 이러한 변화를 ‘불뉴’라는 말이 갖는 의미, 행위의 대상, 행위의 방식, 상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불뉴’라는 말은 고례와 주자가례에서는 ‘고[紐]를 내지 않는 것’을 의미했지만, 조선시대에는 ‘끈을 묶지 않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 본래 소렴과 대렴을 할 때 쓰는 묶음베[絞]에 대한 행위였는데주자가례 이후 옷에 대한 행위로 바뀌고, 조선시대에는 옷과 묶음베에 대해 이중적으로 적용한다. ‘불뉴’를 하는 방식은 본래 고를 내지 않고 완전히 옹쳐 묶어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인데, 조선시대에는‘묶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 고름을 잘라내기도 하고[去紐] 혹은 고름을 묶지 않고 그대로 두기도한다. ‘불뉴’는 죽은이에 대해서는 ‘살았을 때와 반대로 한다[反生時]’는 원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행위이다. 이는 고례부터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지지만 현대 민속에서는 또 다른 상징을 탄생시킨다. 종합적으로 보면 ‘불뉴’는 고례, 주자가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면에서 다양한 변용이 일어난다. 특히 조선시대에 적용되면서 새로운 풍속을 탄생시키기도 하였고, 이로 인해 유학자들간에 많은 논의가 일어나게 된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혼란스러워했던 것은 「喪大記」, 「士喪禮」 鄭玄 注, 주자가례 등의 내용이 모순되는 데서 기인한다. 그런데 고례와 주자가례가 모순되는 상황에서도 17세기까지는 주자가례의 내용을 그대로 두고 고례와 비교하면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해 고민할 뿐, 주자가례의 내용을 고례를 근거로 수정한다던가 혹은 새로운 의견을 제기하는데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18세기 이후에는 주자가례의 내용을 수정하는 적극적인 모습이 보인다. 이는주자가례를 생활 속에 실천하면서 주자가례 텍스트가 갖는 모순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또 고례의내용을 깊이 있게 탐구하면서 갖게 된 학문적 자신감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 혼례용 근배巹杯 연구

        최연우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plored the way of using, the forms and materials of Geun‐bae (巹杯; small gourd cups) used in the royal wedding ceremonies in the Joseon period, and discussed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and symbols differentiated from the ancient convenance of Confucianism. Geun‐bae is a gourd‐liquor cup used by the bride and groom in Dong‐loe‐yeon (同牢宴), a detailed procedure of the Confucian wedding ceremony. One gourd is divided into two pieces to make two cups by trimming inside the gourd. Through this study, meaningful results were derived for Geun‐bae, which have not been fully studied so far. In Joseon, it is found that Geun‐bae was used not with a single object but with Geun‐bae string (巹杯乼), Geun‐bae coaster (巹杯臺), a wrapping cloth, and a box, etc.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in many ways, such as the way of using liquor and Geun‐bae, and the components and form of Geun‐bae, there are transformations different from the ancient convenance of Confucianism. ‘Dong-loe(同牢)’ means ‘eating Huisaeng(犠牲: meat) together’. Thus, in the ancient convenance of Confucianism, with the meat at the center, the liquor is drunk as an ancillary apparatus to well digest[酳] the meat. In the Joseon period, however, the liquor emerged as the main food of Dong‐loe‐yeon, and accordingly, Geun‐bae containing the liquor seems to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It can be seen through Geun‐bae with a certain formality in its components, and the splendor of its form and decoration. Also when the liquor was drunk, the number of devices were increased for representing the combination of two people of a man and a woman centering on the liquor and Geun‐bae. A culture, despite many transformational patterns, continued to use Geun‐bae to shape ‘affinity’ and ‘harmony’ until the Joseon period, which means that the symbol came to be more enriched.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혼례용 근배巹杯의 사용방식, 형태, 재료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고례古禮와 차별화되는 변용 양상 및 상징에 관해서도 함께 고찰하였다. 근배는 유교식 혼례의 세부절차인 동뢰연同牢宴에 신랑신부가 사용하는 표주박 술잔이다. 하나의 박을 갈라 두 쪽을 내고 속을 다듬어 잔으로 만든다.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근배에 관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조선에서는 근배가 단일 물건이 아니라 근배줄巹杯乼, 근배대巹杯臺, 보자기, 상자 등과 함께 사용되었고, 술과 근배를 사용하는 방식, 근배의 구성품과 형태 등 많은 면에서 고례와 다른 변용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동뢰同牢’는 ‘희생犠牲 즉 고기를 함께 먹는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고례에서는 고기를 중심에 둔 채 고기를 잘 소화시키기 위한(酳) 보조 장치로 술을 마신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고기 대신 술이 동뢰연의 주요 음식으로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 술을 담는 근배 역시 중요하게 인지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근배의 구성품에 일정한 격식을 갖추며, 형태와 장식이 화려해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술을 마실 때도 고례에서는 신랑신부가 자신의 근배에 있는 술을 각자 마셨음에 비해, 조선에서는 신랑신부가두 근배의 술을 합해서 나눠 마시는 등 다양한 방식이 등장한다. 또 두 잔을 긴 끈으로 연결해서 신랑신부가 끌어당겨 서로를 가까이 바라보는 ‘훤희暄戱’라는 의식이 나타나기도 한다. 술과 근배를 중심으로 두 남녀의 결합을 형상화한 장치가 증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많은 변용 양상에도 불구하고 ‘친애’와 ‘화합’을 형상화하기 위해 근배를 사용하는 문화가 조선시대까지 지속되었고, 그 상징은 더욱 농후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밖에, 근표와 근배줄을 홍색으로 염색할 때 쓴 홍화 염액은 ‘홍화수紅花水’ ‘홍수紅水’라 하다가 19세기 이후 ‘연지수臙脂水’라 명명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 유희적 체험을 고려한 미술관 설계 - 포항미술관 건립공사 설계경기 현상공모 계획안 -

        최연우,이상진,김기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5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 No.1

        body and expressive value of materials. Especially, obtainment of placeness through heuristic experiences, organization of space considering movement of body and resultant sight-seeing, expression of material and texture evolved by visible and tactual experience, light expressed from phenomenological nature is the main theme in the design of museum. This scheme of museum is expected to approach its visitors as an experiential art in the space itself, and directs them to interconnect with surroundings and to do copious spacial experience.

      • KCI등재

        가평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고찰

        최연우,박윤미,김윤경,김지희,박양희,이선우,차서연,편나영,황혜남,Choi, Yeon Woo,Park, Yoon Mee,Kim, Yoon Gyung,Kim, Ji Hee,Park, Yang Hee,Lee, Seon U,Cha, Seo Yeon,Pyeon, Na Young,Hwang, Hye Nam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5

        In 1995, the costumes were restored in an unknown woman's tomb at the Jeonju Lee's family cemetery in Gapyeong, Gyeonggi-Do, and there are currently nine items remaining. In this study, we first introduced these 9 relics to academia and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We also estimated the time and person of burial compared with costumes unearthed from other burials. Jeogories (short jacket) are all four items. One of these items was unusual in shap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op (gusset) was wrinkled and shaped. This type of Jeogori appears only till the 1520s in other tombs. There are also two skirts, one of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uperimposed pattern. The top and bottom / middle part of the skirt were rolled up, and the skirt, which was double-rolled up in this way, was first discovered. An analysis of the shape of Jeogori and skirt indicat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he Jeonju Lee's family tomb was believed to have survived until the early 16th century. Based on these estimated period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genealogy of Jeonju Lee's family, it was concluded that the tomb was probably a woman named Lee Geum Myeong (李金命) born in the mid-15C and died between the late 15C and the early 16C.

      • KCI등재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이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연우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xpertise (member management, practical skills, personality, and teaching technique) of Pilates instructors with a dance major on participants' physical self-efficacy (task-specific self-efficacy,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and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40 participants who received instruction from a Pilates instructor with a dance major; among them, 136 responses were considered for data analysis after excluding four invalid respons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software, employ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mber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ask-specific self-efficacy, while practical skills and pers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and perceived physical ability. Second, teaching techniq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ird, both task-specific efficac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s such, this study highlighted the critical factors (i.e., sub-components of expert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Pilates instructors with a dance major) that affect participant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본 연구는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이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에게 지도받는 14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4부를 제외한 총 136부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 전문성 중 회원관리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과제 특성적 효능감에,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 전문성 중 실기 및 인성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 인지된 신체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 전문성 중 지도기술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 특성적 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의 강화성에, 신체적 자기효능감 중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 중 참여자에게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파악하였기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불안장애 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체계적 고찰

        최연우,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 본 연구는 불안장애 아동의 감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논문 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Cochrane library, EBSCOhost, Embase, ScienceDirect,Medline, PsycINFO, Pubmed,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이었다. 검색대상은 2000년 1월부 터2013년 5월까지의 국외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으로 하였다. 검색어는“generalized anxiety disorder,specific phobias, panic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osttraumaticstress disorder, separation anxiety, children, pediatric, adolescent, sensory stimuli,sensory response, startle reflex, startle reactivity, auditory, olfactory, visual, vestibular,proprioceptive, tactile, taste, skin conductance response, galvanic skin response, heart rate,beats per minute, heart rate variability, vasomotor activity, electromyography”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5개이었으며, 연구의 근거 수준은 모두 수준Ⅱ이었다. 결과 : 불안장애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감각 자극에 대한 각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각자극에 대해 반응진폭 은 불안장애 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반응 잠재기는 짧게 나타났다. 또한 불안장애 아동은 감각 자극에 대해 지연된 습관화의 특징을 보였다. 결론 : 불안장애 아동은 정상 아동과 다른 생리학적 반응을 보였다. 앞으로 불안장애 아동의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는데 있어 동일한 감각계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도심지 도로함몰의 원인과 대응방안

        최연우,이현종,백종은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2014년 6월 말 제2롯데월드 건축공사장 주변에서 작은 규모의 도로침하가 발생했다. 이런 사례가 외국 의 싱크홀 사례와 대비되어 SNS, 매스컴 등을 통해 전파되면서 시민불안이 확산되었고, 이에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2014년 8월 말 경 도로함몰 특별관리대책을 수립하고 노후하수관, 지하수, 굴착공사, 노면하 부 동공 등에 대한 종합적인 예방대책을 시행해 오고 있는 바, 현 시점에서 노면하부 동공탐사는 도로함 몰 예방의 유일한 대책이 되고 있다. 서울시는 노면하부 동공탐사에 대한 해외의 우수한 기술을 조기 도 입하여 도로함몰 개연성이 높은 주요 간선도로 61㎞ 구간을 2014년 11월 경에 시범적으로 동공탐사를 실 시, 국내 최초로 동공 37개소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발견된 동공을 대상으로 도심지 도로함몰의 원인 을 밝히고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5년 2월부터 6월까지 굴착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공으로 분석된 구간에 대하여 굴착조사를 실시한 결과 25개는 동공이었고 나머지 4개는 동공이 아닌 것으로 확 인 되었다. 동공으로 확인된 25개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ʻ물이 흐르는 관로의 결함ʼ(11개, 44%)과 ʻ굴착복구 미흡ʼ(14개,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공의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하중 등의 상재하중에 저항 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상부 토피, 동공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몸체, 동공 발생의 원인부로 연결 되는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공 몸체는 투수계수가 높고 유실이 쉬운 모래・자갈층인 기층 및 보조기층 에 주로 형성되어 있었다. 동공 뿌리는 대부분 토사유실 속도가 느린 점질토층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 부 도로함몰 사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차수대책 미흡”으로 인해 토류벽(또는 구조물) 배면의 지하수와 세립토가 공사장 내부로 유입되면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장굴착조사 결과를 종합한 동공발생 원인은 ① 물이 흐르는 관로의 결함, ② 굴착복구 미흡(준공 후 장기경과), ③ 굴착공사 부실(굴 착 진행 중) 등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동공이 생성되는 형태, 즉 흙이 유출되는 경로는 ① 하수 관 유입형, ② 매설관 하부 공간 유입형, ③ 매립재 공간 유입형, ④ 공사장 내부 유입형1(물+세립토), ⑤ 공사장 내부 유입형2(사질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도로동공의 발생과정을 고려한 도로함몰 예방 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이 흐르는 관로의 결함의 경우는 관로 연결부, 맨홀과 관로 접합부 등에 대하 여 규정된 시공법을 의무준수 하여야 한다. 둘째 굴착복구 미흡의 경우는 기존의 도로포장 구조를 그대로 복구하고 그 하부지반 복구는 재료와 다짐에 대한 시공법을 의무준수 하여야 한다. 셋째 굴착공사 부실의 경우는 ① 굴착 전에는 지하수위, 지질 등의 사전 지반조사 실시하고, ② 공사 중에는 실제지반 시추조사 등을 실시하고, 필요 시 차수대책 시행해야 하며, ③ 복구 시에는 복구재료, 다짐 등의 시공법을 의무준수 하고, ④ 준공 직후에는 지반의 동공유무 탐사 실시 등으로 동공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

        최연우,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2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에 따른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감각통합학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재활치료과학, 한국신경인 지재활치료학회지에 2017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47편을 대상 으로, 연구의 근거 수준, 연구 대상자,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ren & Youth Version(ICF-CY)에 따른 중재 목적과 중재 접근법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를 분석한 결과, 근거 수준 Ⅳ인 연구가 53.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 지하였다.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3.7%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 진단명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발달 지연이 각각 14.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ICF-CY에 따른 중재 목적은 활동 과 참여가 48.9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감각 접근법(sensory approach)을 많이 사용하 였다. 결론 : 작업치료분과학회의 Korea Citation Index(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분석을 통해 최근의 국내 작업치료의 아동 중재 연구 동향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앞으로 작업치료의 발전 을 위해 더 질적으로 높은 연구의 형태와 다양한 중재 접근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and trends of Korean chil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ud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and Youth Version (ICF-CY). Methods : In this research, 47 studies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that were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7 and December 2021 i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register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the study type and evidence level to understand the trends. Moreover, intervention objectives and approach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ICF-CY. Results :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were as follows: (1) Level Ⅳ was the highest evidence level (53.19%). (2) Among the studies, most (53.7%) included school-age children as subject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elays were the most common diagnoses (14.8%). (3) As for the purpose of intervention according to ICF-CY, activity and participation factors were the most common (48.94%), and a sensory approach was frequently used. Conclusion : This study reviewed articles on occupational therapies for children that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to understand the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in South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es for children in the future, more qualitative research types and studies on various intervention approach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