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온라인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누가 금융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는가?

        한상만 ( Sangman Han ),최아영 ( A Young Choi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3

        온라인이 정보탐색의 주요 채널로 대두하면서, 금융상품과 같이 상품의 속성 자체가 복잡하고, 전문적인 상품군에 서도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금융상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30일 간 온라인에서 금융과 관련하여 검색한 이력이 기록된 웹로그를 이용하여, 금융소비자들의 온라인 정보탐색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금융과 관련된 키워드를 해당 기간 중 한 번이라도 검색한 적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금융소비자를 정보탐색자 (64.2%)와 비탐색자(35.8%)로 분류하였다. 금융상품의 경우 정보에 근거한 판단이 이뤄져야함에 불구하고 비탐 색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통하여 이후 소비자문제가 발생할 시, 자기책임의 원칙에 근거하여 적절한 구제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추론된다. 금융정보탐색 여부는 소비자의 연령과 소득수준, 그리고 온라인에서의 정보탐색성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자를 탐색량에 따라 저탐색자와 고탐색자로 세분화하여 로지스틱 회귀식을 다시 실시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한 주관적 지식수준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금융소비자들의 온라인 정보탐색행동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금융 분야에서 소비자정보탐색과 관련한 정보제공방안 및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Even in a financial decision making of consumer, online channel has been emerged as a primary information channel. In this study, we do understand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bout financial products targeted who bargains for financial service recently. We were provided a digital panel`s web log data by an advertising agency in Korea, then used a valid sample from the dataset by whom purchased financial products in 3 months. Also we set up by 30 days as an information search period, prior to his/her con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understanding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for various financi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Whether consumer searches for financial information at least once or not, during the 30 days of information search stage in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we identified financial information searcher(64.2%) and non-searcher(35.8%). Since its complicated and highly uncertain traits, financial products should be determined upon enough evidence, but the proportion of non-searc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expected. It is inferred that if consumer encounters a problem, it is not be easy to be properly redeem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In this stud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to be a searcher from non-searcher. As a result, consumers’ income level and consumers’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pensity affect those probabilities about being a searcher. As a further analysis, we classified financial searcher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how much they search for information. A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gain to confirm influencing factors to be a high-searcher who searches financial information over 17 times during 30 days prior to purchasing financial products, from low-searcher. We had set an ultimate goal which can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and its risk perception, but in the previous results, none of them was significant. But regarding to how much consumer searches,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is significant. As a result, consumer who perceived he/she had a short of knowledge, tried to investigate high volume of financial inform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for the information provision on financial product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the consumer information providers such as governors.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 소비자의 유형화 및 소비자 효용,비효용 결정요인 분석

        최아영 ( A Young Choi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3

        소비의 본질은 재화나 서비스의 구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용과 관련이 있다. 이는 경험적 맥락 속에서 결정되는데 소비자가 만족스러울 때에는 효용으로, 반면에 소비자가 해당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한 결과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때에는 비효용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경험 으로부터 소비자들의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는지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효용과 비효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스마트폰 사용경험에서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다양성과 사용량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소비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의 차별성을 대변하는 이 네 유형과 함께 기술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기술 관련 태도,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스마트폰 효용 및 비효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설정한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성별과 연령, 학력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마트폰 활용행동 유형, 통제감, 기술 낙관성, 기술 혁신성, 기술 불편감, 기술 불안 감 등 기술 관련 태도에 따라 스마트폰에 대한 효용과 비효용의 인식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기술제품을 사용하면서 소비자는 효용을 누리기도 하지만, 상실감이나 두려움 등을 비롯한 부정적 감정, 손실 등과 같이 효용과 대치되는 개념인 비효용을 인식하기도 함이 실증되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IoT를 비롯한 스마트기술이 대중화될 가까운 미래에 앞서, 이미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효용과 비효용을 파악하여 기술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기술개발 등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최적의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Consumers make purchases products or services, but for the benefits which are derived from its usage. This is determined in an empirical context, therefore whether consumer is satisfied it might be a utility or whether consumer is dissatisfied it might be a disutility. In term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is increasing importance to understand what could be a utility or disutility from a certain tech-product. Hereupon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better understanding towards consumers`` perception of utility and disutility in a smart-tech era focusing on the smartphone as a threshold for the smart-tech. For this research a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with total smartphone usage rates and usage diversity. Second, consumers’ recognition about utility and disutility wa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usage classification, perceived control and technology related attitude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echnology related attitudes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towards the perception of utility and disutility. On the other h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gender, education were not large enough to influence consumers perception of utility and disutility, compared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that were discussed previously. At this moment when smartphone are popular, this study offers great implications for the businesses and practitioners to provide prehension of consumers with smartphone.

      • KCI등재

        멀티채널 환경에서 소비자는 어떻게 정보를 탐색하는가?: 선호하는 정보원천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와 관련 요인

        최아영 ( A Young Choi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소비자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채널이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 또한 다양한 양상을 보이 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와 블로그, SNS 등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정보채널과 오프라인 매장 등 기존의 정보채널을 소비자들이 어떻게 조합하여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 되던 정보원천의 분류기준이 현 상황에 적합한지 여부도 재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전반적 인 정보탐색 현황을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정보탐색행동을 기준으로 소비자유형화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소비자 유형에 따라 정보탐색행동을 차별화하도록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소비자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정보채널을 넘나들며 다양 한 정보를 탐색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정보원천을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구매가 이뤄지는 온라인쇼핑몰에 게시된 정보의 이용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소비자들의 정보탐색행동에 기반하여 소비자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들은 ``다양한 정보 선호자``, ``객관적 정보 선호자``, ``대인적 정보 선호자``, ``집약적 정보 선호자``, ``오프라인 정보 선호자`` 등 총 다섯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소비자 집단은 정보탐색량과 활용한 정보원천의 종 류와 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곧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은 ``얼마나 많은 정보원천을 활용하여 정보를 획득 하는가?``와 ``어떠한 정보원을 활용하였는가?`` 등 두 층위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결과였다. 마지막으로 소비 자의 정보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정보탐색량과 주로 활용하는 정보원천이 달라졌다. 우선 소비자의 전체적인 정보탐색량은 소비자의 정보탐색성향과 쇼핑무관심성, 쾌락지향성 등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어떤 정보원천을 위주로 탐색하는지는 성별과 연령 등 사회인구학적인 변수들과 어떤 상품을 구매하였는지가 주요한 요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와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소비자정보 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Recently, businesses face new challenges of internet which has been discussed to have potential as a medium for extending the range of consumers` information sources. Via the newly introduced media such as blogs, SNS businesses are trying to interact market and its consumer. For example food company ``Pulmuone`` runs a blog. It is not only for a publicizing and promoting its brand or for e-commerce, but also for interact with consumers. Specifically it focuses consumergenerated information, how its products are used in the context of consumption. Official company blogs when first introduced, were only used as a marketer-driven consumer information source, but now we can easily find consumer-generated information. Moreover even individual consumer blogs posted recommendations and product reviews in a form ``a consumer`s view`` sometimes that are the result of featured or sponsored. For instance, one of ``power bloggers`` imposed a fine for not clarifying corporate sponsorship in 2011. As such the distinctive line that separated marketer-driven information source from consumer- generated information source is now blurred. These kind of mixed status makes consumer confused. Even though the typology of information sources are becoming more complex, most of the studies did not consider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various information channel environment. Moreover previous studies applied the outdated framework for categorizing information sources: market-driven information sources, neutral information sources, consumer generated information sources. In early 2000`s,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source within internet era, but the discussion was limited to the internet as a platform, and thus focus was placed on offline or online. The framework for analyzing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currently used does not guarantee adequacy in the present market environment, since it lacks considerations for unique traits and benefits of various information channels.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ith an advanced approa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perceive the range of information channels available to them and how those perceptions affect their use of different types of sources. These attempts enable us to draw the new standards for consumers` information source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s` use of new and traditional information sources, and identify new typology of consumers based on their choice of information channe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r results show that the distinction of online consumers and offline consumers may no longer be useful, since most consumers were found to use both channels. Respondents tended to use online information sources more than offline sources, and online shoppingmall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information channel. Second, consumers were a classified into 5 clusters; ``heavy searchers``, ``objective information searchers``, ``interpersonal information searchers``, ``infomediary searchers``, ``offline information searchers``. Each consumer seg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 and sources or patterns of information search. ``Heavy searchers`` are trying to find extensive information over diverse information sources except for offline channel based information. ``Objective information searchers`` are also heavy information users like ``heavy searchers``, but they favor price comparison site and articles. ``Interpersonal information searchers`` highly rely on interpersonal sources such as online communities, families and friends. ``infomediary searchers`` contain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who do not utilize information except for detailed information that are posted by online shopping mall. ``Offline information searchers`` are consisted with whom trust offline channel so that they can confirm the products. Third, multinomial-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consumers` demographic variables, purchased goods, and consumers` shopping propensity, on consumers use of information channels. Total amount of information search was impacted by consumers` information seeking propensity, shopping indifference, and their hedonic value. Which information source were selected and used for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were largely depended on consumers` gender, age and the purchased g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the consumer information providers such as marketers and the governors.

      • KCI등재

        전기자동차와 가솔린자동차의 실물화재 비교 분석

        최아영(Choi,A-Young),이수호(Lee,Soo-Ho),박태희(Park,Tea-Hee),김형식(Kim,Hyung-Sik)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최근 배기가스 배출을 규제하고;친환경차 도입을 위해 전기자동차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전기자동차와 관련된 화재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대비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 방안을 도출 하기위해 전기자동차와 가솔린 자동차의 실물 화재 실험을 통해 비교하였고;각 화재 성상 파악을 위해 열 유속(Heat flux)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화재 최성기일 때 최고 온도는 약 1,390 ℃ 이상까지 측정되었고;가솔린 자동차가 전기자동차보다는 더 높은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has increased rapidly as eco-friendly vehicles to regulate exhaust gas emissions. However;fire accidents related to electric vehicles are also occurring frequently. In the present work;to design a fire suppression plan for electric vehicles;a comparison of electric and gasoline vehicles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real fire experiments. Temperature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using a heat flux senso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re. At the peak of fire;the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to be about 1,390 ℃ or higher. Further;it was confirmed that gasoline vehicles exhibit higher temperature gains than electric vehicles.

      • KCI등재

        한국을 문화 관광지로 홍보하기 위한 전통 가면극의 해외 공연 활성화에 관한 질적 연구

        최아영(A Young Choi),박상현(Sang Hyeon Park) 한국관광연구학회 2011 관광연구저널 Vol.25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asons why the Korea mask drama has not been activated overseas and explore the ways to activate its overseas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he findings indicated the specific reasons why Korea mask drama had not successfully performed overseas. The respondents mentioned that the government had not sufficiently supported its overseas performances, the mask dance performance groups had some power confilict each other and they did not have willingness for performing overseas. The mask dancers` unstable living was also pointed out as a crutial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Korea mask drama should meet current audience expectations not staying in old style. Korean government should support Korea mask drama. The various experts of Korea mask drama are needed. The researches and education of Korea mask drama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have interest of Korea mask drama and give fund. Performers of Korea mask drama should develop creative version of mask drama. Local contacts should be updated and given to the make drama team. The program for general people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oT 플랫폼

        최아영 ( A-young Choi ),최은서 ( Hye-been Lee ),이혜빈 ( Eun-seo Choi ),최재준 ( Jea-j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본 논문의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플랫폼은 달동네와 판자촌과 같이 소외계층이 집약된 곳이라면 노후된 기기와 전선들이 많을 것이고 그렇다면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에서부터 시작한다.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고안한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는 스파크를 감지하고, 전선 주위의 발열량을 모니터링하며, 화재를 감지한 즉시 소방서로 연락을 취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더 나아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매일 온·습도, 전력 접촉부의 온도, 계절 등 여러 환경을 고려해 화재가 발생할 확률을 계산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매일 화재 발생 위험률을 제공한다. 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공지능으로 구성하였다.

      • FT-IR을 활용한 효과적인 유류성분 검출기법 연구

        최아영(A-Young Choi),이정민(Jeong Min Lee),이상구(Sang Gu Lee),김명재(Myung Jae Kim),황인규(In Kyu Hwang),김준식(Jun Sic Kim),한동훈(Dong Hun Han),임장규(Jang Gyu L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본 연구는 화재의 원인을 실험과 분석을 통해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다양한 화재증거물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감정기법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재증거물 분석, 특히 유류 증거물 분석 시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활용하여 연소 잔여물 중 연소 촉진제의 유무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GC/MS의 특성상 분석은 정확하나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방법이 복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정성⋅정량 분석에 사용되는 푸리에 변환적외선분광법(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증거물 내의 연소 촉진제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출하고, 화재 현장 발화 원인 규명을 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FT-IR을 이용한 감정 분석에 대한 사례 중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FT-IR 라이브러리에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차량에 묻은 페인트를 식별하여 도주 차량을 찾는 분석을 하고 있고, 화장품 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자료를 축적하는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화재증거물을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어 FT-IR을 활용하여 정성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FT-IR의 ‘한국식 화재증거물 라이브러리’의 구축을 위한 시범 계획을 도출 하고자한다. 모든 연소 물질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기에 한계가 있어 발화의 원인인 물질 중 다수를 차지하는 침구 및 섬유류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면(cotton 100%)직물과 폴리에스터 (polyester 100%), 혼합 직물(7:3) 등으로 화재증거물 수집과 비슷한 조건을 위해 탄화정도, 소화수에 젖은 정도, 감식 후 경과시간 등 조건을 달리하여 시료를 측정하여 라이브러리에 자료를 축적하였다. 실험을 통해 각 연소 촉진물에서 측정되는 피크들이 비슷한 영역에서 측정이 가능하였다. 물론,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GC/MC 등 기기를 이용해야겠지만, 침구 및 섬유류의 연소 촉진물 중 어떤 물질이 나오는지는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통해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며 유사율 또한 꽤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국형 화재증거물 라이브러리의 자료 축적 위해 다양한 가연물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를 통해 FT-IR를 활용하여 화재조사관들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감정에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눈 외직근후전술과 내직근절제술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서 반대눈 외직근후전술 후 수술 결과

        최아영(A Young Choi),이영춘(Young Chun Lee),이세엽(Se Youp Le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한눈 외직근후전술과 내직근절제술 후 재발하여 사시각이 18-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 PD)인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반 대눈 외직근후전술 후 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로 한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후 재발한 사시각이 18-20PD로 반대 눈에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환자(재수술군), 동일한 사시각을 갖는 간헐외사시로 일차로 한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환자(일차수술군) 43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재수술군은 18명, 일차수술군은 25명이었다. 수술 나이, 성별, 굴절이상, 근거리 입체시, 술 전 사시각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평균 경과관찰 기간은 재수술군에서 14.28 ± 14.98개월, 일차수술군에서 14.68 ± 12.15개월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 나, 술 후 최종 관찰 시 사시각은 재수술군에서 근거리 1.11 ± 3.89PD, 원거리 2.00 ± 4.70PD, 일차수술군에서 근거리 6.44 ± 5.26PD, 원거리 7.00 ± 5.77PD로, 재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p =0.000, p =0.004). 최종 관찰 시 수술 성공률은 각각 94.4%, 64.0%로 재수 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0.021). 결론: 한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 후 재발한 18-20PD의 간헐외사시에서 시행한 반대눈외직근후전술의 장기적 수술 결과는 일차수술로 시행한 경우보다 의미 있게 좋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LR) recession on the contralateral eye for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unilateral recession-resection (R & R).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43 patients was perform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18 patients who un-derwent unilateral LR recess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of 18 to 20 prism diopters (PD) after unilateral R & R (reoperation group) and 25 patients who had primary unilateral LR recession (primary operation group).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refractive error, preoperative deviation, and near stereoacuity were not observed between the 2 groups (p > 0.05).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4.28 ± 14.98 months in the reoperation group and 14.68 ± 12.15 months in the primary operation group. Postoperative deviations were 1.11 ± 3.89 PD at near distance and 2.00 ± 4.70 PD at far distance in the reoperation group and 6.44 ± 5.26 PD at near distance and 7.00 ± 5.77 PD at far distance in the primary op-eration group on the final follow-up (p = 0.000, p = 0.004). The final surgical successful rates were 94.4% in the reoperation group and 64.0% in the primary group (p = 0.021). Conclusions: The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unilateral LR recession on the contralateral eye was better in patients with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of 18 to 20 PD after unilateral R & R than patients who had primary unilateral LR recession.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온라인 정보탐색 어려움 유형에 따른 온라인 정보탐색행동

        최아영 ( A-young Choi ),장연주 ( Youn Ju Jang ),한상만 ( Sang Man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온라인 정보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정보력은 신장하였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정보에 근거한 선택과 가격절감 등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금융상품을 비롯한 일부 상품군에서는 온라인 정보환경의 도래에 따라 정보량의 증가, 다양하고 일관되지 못한 정보, 정보원의 신뢰도 부족과 같은 정보환경이 되려 소비자의 정보탐색과정에서 어려움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금융정보를 탐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주목하여, 그 내용은 무엇이며 그 정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금융정보를 탐색할 때 경험하는 어려움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실제 정보탐색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3개월 이내에 금융상품을 계약한 동시에 온라인에서 금융관련 정보를 탐색한 적이 있는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들이 경험한 어려움과 정보탐색행동을 각각 설문과 웹로그데이터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N=188). 분석결과 첫째, 금융소비자들은 온라인 정보탐색 시 과도하게 제공되는 정보로 인한 정보선별의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떤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모르는 정보획득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어려움을 어떻게 인지하며, 실제로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인지와 행동 두 측면에서 소비지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정보획득장애유형(45.2%), 정보선별장애유형(13.3%), 정보활용장애유형(41.5%) 세 집단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셋째, 세 유형 중 대체로 정보획득과 선별에서 어려움을 덜 겪는, 즉 정보활용역량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객관적 금융지식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수집된 웹로그데이터로 실제 온라인 정보탐색행동을 비교하였을 때, 탐색량과 검색키워드의 질적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탐색량을 얼마나 많이 검색하였는가, 얼마나 자주 탐색하였는가, 얼마나 깊이 탐색하였는가, 얼마나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였는가 등 네 가지 지표로 분석하였을 때, 정보과부하를 경험하는 정보선별장애유형이 모든 항목에서 가장 탐색량이 많은 반면에 정보활용장애유형은 탐색량 자체는 적으면서도 중요정보에 도달하는 효율적 정보탐색패턴을 보였다. 다음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한 검색키워드의 수, 세분화된 검색어의 비율 등을 통해 질적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정보선별장애유형이 무분별한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보획득장애유형은 지나치게 세분화된 키워드를 검색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장 전반에 대하여 광범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실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이용하던 금융브랜드 웹사이트 내에 머물며 정보를 탐색하는 일종의 고착현상이 다수의 금융소비자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금융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금융정보를 탐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 양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를 위한 교육 및 정보제공정책 측면과 금융마케팅 등 실무적 측면에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수 었다. Although consumers enjoy the benefits of extended information power in the online information environment, the online information seeking process sometimes poses difficulties in the case of certain product groups where information seeking and decision-making using it are not easy. Starting with the particularity of financial product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grasp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nsumers while seeking financial information online. In addition, it classified consumers into types by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while seeking financial information and endeavored to understand whether they exhibited differences in actu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surveys of and weblog data on 188 consumers who had purchased financial products and sought information online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nancial consumers experienced the greatest difficulty in making selections due to excessive information and also faced difficulty in the acquisition stage such as not knowing which information was to be sought where. By using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d experienced, financial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formation acquisition disability type (45.2%), information forefending disability type (13.3%), and information use disability type (41.5%). These types exhibited differences in objective financial information; in general, the higher the capacity for information use was, the higher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was. When actual online behavior collected through weblog data was compared,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ed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search keywords were confirmed. First,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ed was analyzed through four indices: the amount of searches, frequency of searches, depth of searches, and diversity of the information sources used. The information forefending disability type, who had experienced information overload, yielded the highest figures; the information use disability type exhibited an information seeking pattern that was quite efficient while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ed was small. Attempts were made to discover qualitative differences from the number of repetitively used search keywords and the ratio of segmented search wor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formation forefending disability type likewise confirmed an indiscriminate use of keywords,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disability type had attempted excessively segmented searches, thus failing to achieve broad information acquisi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surmise most financial consumers’ fixation on previously used financial brands from their information seeking on finance companies’ websit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was possible to grasp comprehensivel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inancial consumers while seeking financial information online and their patterns and, based on such an understanding, to find implications for ways of providing information appropriate for financial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