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 지역사회의 아동친화도와 아동ㆍ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최아라,김혜순,이숙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ild friendliness of a city,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ild friendliness of a ci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3 middle school students and 185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ver. 21.0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ild friendliness of a cit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children’s’ school level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had an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hild friendliness of a city, a city’s safety and protection, health and social services and housing had an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se results show that a local community approach is needed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child friendly cities and the polici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 KCI등재

        기후모델에 나타난 미래기후에서 쓰시마난류의 변화와 그 영향

        최아라,박영규,최희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5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under the global warming scenario RCP 4.5 by analysing the results from the 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s (WCRP)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Among the four models that had been employed to analyse the Tsushima Warm Current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CSIRO-Mk3.6.0 and HadGEM2-CC models the transport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were 2.8 Sv and 2.1 Sv, respectively, and comparable to observed transport, which is between 2.4 and 2.77 Sv. In the other two models the transports were much greater or smaller than the observed estimates. Using the two models that properly reproduced the transpor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we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the current under the global warming scenario. In both models the volume transports and the temperature were greater in the future climate scenario. Warm advection into the East Sea was intensified to raise the temperature and consequently the heat loss to the air

      • KCI등재

        자녀살해 후 자살에 관한 연구: 주요일간지를 중심으로

        최아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Filicide Suicide Cases:Focusing on Major NewspaperAra Choi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licide suicide in korea, and suggest interventions to prevent incidents.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n filicide suicide and parent-child joint suicide repor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from 2017 to 2022 (Jun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types of families, there were parent-child families than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perpetrators appeared in the order of mother, parent, and father, and the most common age groups were in their 40s. Most of the victims were preschool and school age children, and 8.8% of the victims had a disability. The causes of the incidents were economic problems, followed by psychological problems, family problems, child nurture burden. Intervetn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Social welfare system that can quickly find and intervene in crisis families must ne established. Family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to families in cris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he independent personality of children. Finally, a national statistical system for filicide suicide should be prepared. Key Words: Filicide Suicide, Parent-Child Joint Suicide, Familial Joint Suicide, Family in Crisis, Content Analysis 자녀살해 후 자살에 관한 연구: 주요일간지를 중심으로최 아 라* 연구 목적: 본 논문은 자녀살해 후 자살의 실태 및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7년부터 2022년 6월까지 주요일간지에 보도된 자녀살해 후 자살 및 부모-자녀 동반자살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가족유형 중 부모-자녀 가족이 한부모 가족에 비해 많았고, 가해자는 어머니, 부부, 아버지 순이며, 40대가 가장 많았다. 피해자는 유아와 학령기 아동이 많았고, 피해자 중 8.8%는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살해 및 자살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적 문제, 가족갈등, 자녀양육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위기가정을 빠르게 발견하여 개입할 수 있는 촘촘한 사회복지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위기가정에게 가족상담 및 치료를 제공하고, 건강한 가족 기능 및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부모교육 및 아동인권교육을 통해 아동의 독립적인 인격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자녀살해 후 자살을 동반자살로 바라보는 동정어린 사회적인 시선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녀살해 후 자살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핵심어: 자녀살해 후 자살, 부모자녀 동반자살, 가족 동반자살, 위기가정, 내용 분석 □ 접수일: 2022년 7월 20일, 수정일: 2022년 8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광주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Professor, Gwangju Univ., Email: cyberara@naver.com)

      • KCI등재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최아라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2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하는 코로나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우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조절능력이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6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4년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였으며, 응답이 성실한 346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적률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스트레스는 우울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조절능력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우울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의 우울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코로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과 더불어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whether these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self-regulation as mediating factor. For this study, 400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results, first, COVID-19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regulation. Also,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econd, self-regulation was mediated the relation of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self-regulation as well as relieving COVID-19 stress are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 KCI등재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아라,이숙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6 놀이치료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 사회적지지와 정서조절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6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기질(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기질(자극추구 기질, 위험회피 기질)은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사회적지지를 경유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grasp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temperament (novelty seeking temperament, harm avoidance temperament), social support, emotion regulation, and then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 adolescent’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The study investigated 763 adolescents who are in the 2th grade of middle school.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ocial support plays a complete medium role in temperament (novelty seeking temperament,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which is deemed that temperament has indirect influence over emotion regulation through social support rather than having direct influence over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program for emotion regulation of adolescents.

      • KCI등재

        G 지역사회의 아동친화도에 대한 부모와 아동권익옹호자의 인식

        최아라,김혜순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와 아동권익옹호자를 대상으로 유니세프의 6개 아동친화도 영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인식 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 및 아동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G시 B구의 초등학생 부모 110명과 아동권익옹호자 95명이며,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아동친화도 6개 영역 중 가정 환경의 친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여와 시민권 영역의 친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아동권익옹호자의 아동친화도 인식과 아동친화도시 인지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아동권리의 대변자이자 아동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로서 부모와 아동권익옹호자의 의견의 접점을 찾아 아동친화도시 조성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child friendliness among parents and child rights advocates in a local commun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UNICEF child friendly cities and child polic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 parents and 95 child rights advocate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subjects of the study recognized the assessment of the home environment of child friendly cities as the highest while participation and citizenship were the lowest.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ssessment of child friendly cities between parents and child rights advocat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child rights advocates as the strongest supporters of children in the creation of child friendly cities.

      • KCI등재

        전통시장 청년몰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년몰 만족도와 필요성 인식의 다중 매개효과

        최아라,김수연,구혜경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5

        우리나라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2009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을 공포하고, 전통시장에 대한 정책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그 중 청년몰 조성․확장․활성화 사업은 전통시장 내 유휴공간을 정비하여청년상인들이 입점할 수 있도록 시설 및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소비자를 유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다. 해당 정책에 상당한 금액이 투입되었으나, 청년몰 및 청년상인의 폐업율 증가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년 이내 전통시장의 청년몰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461명을 대상으로 청년몰 및청년상인점포 특성으로서 고객서비스, 품질위생, 가격, 쇼핑환경 등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가 청년몰에 대한만족도와 청년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서비스, 품질위생, 쇼핑환경은 청년몰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만족도와 청년몰 필요성 인식은 고객서비스, 품질위생, 쇼핑환경과 재방문의도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전통시장의활성화는 소비자의 지속적인 방문, 이용, 만족의 선순환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몰 및 청년상인 점포의 상품 및 서비스 특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정책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 동안 청년상인 점포의 폐업율이나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고객서비스, 가격, 품질위생 등 청년상인의 역량과 관련된 이슈가 주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가격을 제외한 요소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편이었으며, 이러한 긍정적 평가는 청년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통시장 청년몰 관련 정책 수립 시 소비자가 불편함을 감수하고 전통시장 및 청년몰에 관심을 가지고 방문을시도해야 하는 정책 당위성을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나아가 역량 있는 청년상인의 선발, 육성 및관리를 위해 청년몰 정책의 지향성을 직접적인 재정지원에서 역량강화 교육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변경하고예산을 재배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소비자의 소매유통점 선택과 관련된 사안으로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있어 소비자의 요구를 확인하고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데이터 기반 정책 추진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아라,Choi, Ar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긍정심리자본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G시의 중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8.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긍정심 리자본,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 모두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 변인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복원력이 가장 높았고, 희망, 모-자녀 개방적 의사소통, 부-자녀 개방적 의사소통, 낙관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있어 환경적 요인인 부모 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심리적 요인인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도록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sr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resilien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hope, open communication with a mother, open communication with a father, optimism, in that order. The result for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highlights the important roles played by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f environment variab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sychological variable in improving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ng fundamental insights into a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y life.

      • KCI등재

        후처리과정을 통한 CTD 관측 자료 품질 개선에 대하여

        최아라,박영규,민홍식,김경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09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1 No.4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of the oceans using a SBE 911plus CTD and accompanying data conversion packages. To obtain highly accurate results, CTD data needs to be carefully processed in addition to proper and regular maintenance of the CTD itself. Since the manufacturer of the CTD provides tools that are necessary for post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conduct proper processing without too much effort. Some users, however, are not familiar with all of the processes and inadvertently ignore some of these processes at the expense of data quality. To draw attention to these and other similar issues, we show how it is possible to improve data quality by utilizing a few extra processes to the standard or default data process procedures with CTD data obtained from the equatorial Eastern Pacific between 2001 and 2005, and 2007. One easy step that is often ignored in the standard data process procedure is “wild edit”, which removes abnormal values from the raw data. If those abnormal values are not removed, the abnormality could spread vertically during subsequent processes and produce abnormal salinity in a range much wider than that of the raw data. To remove spikes in salinity profiles the “align CTD” procedure must be carried out not with the default values included in the data processing software but with a proper time constant. Only when “cell thermal mass” correction is conducted with optimal parameters, we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upcast and downcast, and obtain results that can satisfy the nominal accuracy of the CTD.

      • KCI등재

        코로나19, 아동돌봄 쟁점과 과제

        최아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issue of child care in the COVID-19 era should be examined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The issues in the field of childcare in the COVID-19 era were: The problem of re-family rehabilitation and absence of childcare, Anxiety about using emergency care service, Concern about polarization of education due to digital utilization gap, Lack of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support childcare in the home, Increased family conflict and child abuse due to COVID-19, Various children’s problem caused by Corona.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actively prepare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child ca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COVID-19 on children and families through actual surveys and various studie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children and famil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blicity of childcare, an integrated care system and a village car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wo-top system of ‘emergency childcare system’ and ‘childcare support system at the home.’ Above all, the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high value of childcare and try to strengthen the publicity of childcare.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의 아동돌봄 쟁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코로나19가 가져온 아동돌봄 분야의 쟁점은 첫째, 돌봄의 재가족화와 돌봄공백 문제, 둘째, 긴급돌봄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안감, 셋째, 온라인 강의로 인한 디지털활용격차로 인한 교육의 양극화 우려, 네 번째 가정의 아동돌봄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서비스 부족, 다섯 번째 코로나로 인한 가족갈등 증가 및 아동학대 문제, 여섯 번째 스마트폰 과의존, 소아비만, 코로나 블루와 같은 코로나가 불러온 다양한 아동문제 등이다. 정부 및 지자체는 이러한 아동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실태조사 및 다양한 연구를 통해 코로나19가 아동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동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아동돌봄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통합돌봄체계와 마을돌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긴급돌봄체계’와 ‘가정 내 아동돌봄 체계’의 투톱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아동돌봄의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아동돌봄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다면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