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지역의 형태 마감재별 경관 색채 특성 -스웨덴 스톡홀름시의 실례를 대상으로-

        최승희 ( Seung Heuy Cho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 주변경관에 영향을 주는 경관구성 중 건축의 색채 설계 자료로서 건축 각 부위의 벽, 지붕, 창문, 출입문 상태를 수집하였다. 또한 3배색 이미지 맵을 활용해서 색채의 경향을 분류하였다. 도시경관의 구성요소인 지역별 주요거리의 각 대상지역에 사용되어진 색채의 성질을 색상, 명도, 채도로 나타낸다. 각 대상지역 사용 색채 경향의 특성을 찾아내고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 관리 측면에서 비교적 색채의 배경이 잘 되어 있는 스웨덴 스톡홀름시의 실례를 대상으로 경관 색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경관 색채의 배경을 만들어 가는 마감재의 색채 사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관찰조사를 한 대상 지역은 각각의 8개 지역과 주 거리 이름의 색채 사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색채를 성분별로 분류하였다. 마감재에 있어서 지붕의 강판 종류와 적벽돌 종류, 아스팔트 슁글 종류, 도료 종류, 타일 기와 종류 등의 색채 사용의 경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the control planning of townscape color around the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The streets and roads of historic conservation and the changing perspectives to which it gives rise in Stockholm has changed dramatically during this century. New development or changes to existing buildings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which acknowledges its surroundings and is a good neighbour, both in the cultural and social sense that makes good color design sense. There are many examples of townscape color, but the conservative and the historical streets and roads in the whole of the Stockholm city should benefit from careful design of the environment. To achieve this purposes, some strategies of case study of several streets and roads are reviewed; designing color context to relate to urban architectural design proposals of specific sites of cultural heritages are explored. In all new developments the scale of new buildings and the material finishes and colors used should respect the character of their surroundings and have due regard to the setting of any listed building. Streetscape color of visual assessment proposals should aim to help assimilate the development into the local scene. Important streets and roads should also include color townscape.

      • KCI등재

        괴정(槐亭)의 잔존 수종을 통해 본 괴목(槐木) 식재의 문화변용

        노재현,한상엽,최승희,Rho, Jae-Hyun,Han, Sang-Yub,Choe, Seung-Heuy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괴(槐)'를 전부지명소로 하는 괴정(槐亭)과 그 주변에 잔존하는 괴목(槐木)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실제 괴정에 존재했던 수목 등을 파악함으로써, 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의 문화변용(文化變容) 실태와 그 변용을 이끈 요인과 사유방식을 추적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괴정의 분포와 형태 그리고 정자 명칭과 조영자와의 관련성 등을 확인하는 한편 괴정에 내포된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핵심적으로 괴정 주변의 잔존 수종과는 관련 없이 괴목 식재의 표상성을 지배하는 수목은 지역에 관계없이 회화나무인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는 회화나무 문화가 느티나무로 완전히 변용되지 못하고 수용된 내면적 요인으로 간주된다. 괴정 조영자의 아호나 당호 등을 근거로 판단할 때 '삼괴' 또는 '삼공'을 표상하는 수종이 회화나무였음은 조선시대 전(全) 시대에 걸쳐 인식되었으나 지역 및 식재지 여건에 따라 선별적으로 느티나무가 회화나무를 대신하여 변용 식재되었을 확률이 매우 높음이 확인되었다. 괴정에 잔존하는 괴목은 느티나무와 회화나무였으나 전국적으로 괴목을 표상하는 나무는 느티나무가 우월한 점이 밝혀졌다. 이는 일종의 문화변용의 사례로 간주할 수 있으나 그렇다고 지역적으로 완전한 문화변용이 이루어진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남권에서는 비영남권과 달리 화화나무를 괴목으로 의식한 정황이 확연히 드러난 것이 이를 반증한다. 괴목의 문화변용을 이끈 문화적 변수로는 중국과 한국이라는 지리적 공간, 조선사회의 유교적 관행 그리고 왕래 및 서신교류, 서적 전파를 통한 중국과의 네트워크 강도 등이 깊이 개재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괴목 문화는 전 계층이 아닌 상류계층의 문화관습으로 이어져 온 것으로 추정되는바 영남권에서는 괴목을 훼나무 즉 회화나무로 인식하고자 행동화 하는 독자적 적응이 매우 강하게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영남과 비영남지역이라는 문화권역의 차이 또한 괴목 식재의 내부적 문화변동 요인으로 간주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eople in Korea recognize the cultural symbolism and the planting patterns of 'Guǐmok', pagoda tree(Sophora japonica). The species planted in the 'Guǐjeong'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ich species of pagoda tree or Zelkova tree(Zelkova serrata) was taken through literature survey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ersons. This 'Guǐjeong' was combined to track how the culture of the 'Guǐmok' planting introduced in China was ultimately accepted and transformed in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implicit in the mystery while checking the distribution of the mystery and the form of the mystery, the name of the pavilion and its relevance to the contrast medium. Essentially, the trees that gover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nectar plant, regardless of the region, are considered to be a pagoda tree, which is considered an internal factor in which the pagoda tree culture was not completely transformed into a zelkova tree. It was recogniz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at the species representing 'Prime ministers(三公)' was judged from all the Joseon Dynasty periods, based on the builder of Guǐjeong's Aho(雅號) and Dangho(堂號).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e was very likely to be planted in place of the painting tree. But now is selectively zelkova tree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ation of planting site conditions and areas on behalf of the Change is very high probability that is planted. Cultural variables that led to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the 'Guǐmok' seem to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the geographical space of China and Korea, Confucian practices of the Choson society, comings and goings and letter bridge, and network strength with China through the book spread. In addition, the culture of 'Guǐmok' is presumed to have led to cultural custom of the upper class, not the whole class, in the Yeongnam region, it can be said that the independent adaptation to act to recognize 'Guǐmok' as a pagoda tree, that is a Sophora japonica, has occurred very stro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areas of Yeongnam and non-Yeongnam is also considered to be an internal factor tha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planting of 'Guǐmok'.

      • 병원건축의 색채계획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최승희 又石大學校 1997 論文集 Vol.19 No.-

        This stady is aimed at trying to be a guideline that may change successfully color appearances of the interior hospitals in the future. This purpose will be obtained by analyzing through circumstances research about how was employed the colors's environments that has exerted beneficial influence upon patients. This study intends to offer basic data which will become it's guideline after comparatively evalueating the color plan of the facilities that is the main causes in fluencing on color choice and usuage of the best materials. First of all talking about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recently est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giving a example of some their facilities's color usuage the method to be fallowed in this study intends to offer the color types in each hospital. In conclusion puts together synthetically every thing that was found in each study. For newly planned institutions, a prerequisite is an understanding of the architectural function and proposed color plan. As in existing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each area of the hospital is essential. In conclusion puts together synthetically every thing that was found in each study mentioned above and gives reasons for this guideline that plans with principle a better color plan of the interior hospital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