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지도방안과 효과

        최선녀 ( Sun Nyu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본 연구는 교육청 책쓰기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협동글쓰기의 방법으로 「따로 또 같이」라는 책을 출판했던 학생 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의 제 1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지도방안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2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도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지도 단계를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와 효과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과 학부모의 설문과 교사의 관찰일지, 학부모의 관찰일지, 편집 후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 4장은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제 5장에서는 논의를 요약하며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student writers who published the book namely "Alone Together" by using the collaborative writing as the participants in the Book Writing Project by Daegu Education Office aiming at producing 100 thousand student writers. The 1st chapter of this study includes the necessity and research way of guidance plans in book writing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The 2nd chapter includes way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of collaborative writing based -book making and designing of guidance models, all of which were based for the suggestion of the guidance steps. The 3rd chapter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and effect and discussion over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book writing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change through the questionnaires for the participants students and their parents, teachers and school parents` daily records on their observations and editors` comments. The chapter 4 includes the discussion over its improvement ways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book writing and the discussion was summed up and came to the finish in the 5th chapter.

      • KCI등재
      • KCI등재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생성에 대한 국내 산림자원 5종 추출물의 효과

        최선일(Sun-Il Choi),이종석(Jong Seok Lee),이사라(Sarah Lee),이혜진(Hye Jin Lee),여주홍(Joohong Yeo),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김재민(Jae-Min Kim),정태동(Tae-Dong Jung),최승현(Seung-Hyun Choi),김종예(Jong-Yea Kim),강석남(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국내 산림자생 식물 추출물 5종(밤나무, 진달래, 산수유, 복분자딸기, 갈참나무)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국내 산림 식물 5종 모두 지방축적량 및 ROS 생성량을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 및 ROS 저감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N-acetyl-Lcysteine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 및 aP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림 식물 5종 추출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s of five species of Korean native forest plants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native forest plants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Especially, Rubus coreanus Miq. was most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Moreover, Rubus coreanus Miq.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which is dependent on down-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bus coreanus Miq. might be a valuable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adipogenic activity.

      • 여성장애인의 디지털 정보접근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의 정보화교육 지원 방안

        최선경(Choi, sun-k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는 성인지적 관점을 기반으로 여성장애인의 디지털 정보격차의 논의를 남성장애인과 비교하여 정보화교육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조사한 2018년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남성장애인과 여성장애인의 디지털정보격차의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여성장애인 정보화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근거로서, 여성장애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지원 관련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화교육지원 현황을 통해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성인지적관점의 여성장애인 정보화교육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need for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by discussing digital information differenc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comparison with M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For this, it first used the ‘Digital Information Difference Survey’ of 2018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o figure out current digital information differences between disabled females and disabled males and second, it attempted to examine laws related to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for disabled females as legal grounds for the information difference relief of disable females. Lastly, it attempted to present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plans for disabled females from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which must be developed through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conditions that can be used by Wom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성인의 과일류 섭취 실태 및 식생활평가지수와의 관계 분석

        최선아(Sun A Choi),정성석(Sung Suk Chung),노정옥(Jeong Ok R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0

        본 연구는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과일 섭취 여부에 따른 일반사항 및 과일류 섭취 실태와 관련된 조리법, 식사유형, 식사시기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일 섭취 여부에 따른 식생활 평가지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과일류 소비 활성화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7,992명 중 식품 섭취 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식품 섭취 건수가 1건 이상인 5,7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과일류를 1건 이상 섭취한 대상자는 총 3,796명이었다. 과일의 섭취는 ‘여성(P<0.001)’, ‘30~49세(P<0.001)’, 소득수준 중 ‘상’ 집단(P<0.001), ‘대졸(P<0.01)’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과일류의 조리법은 ‘식물성 식품 자체(55.4%)’로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그다음은 ‘숙채・샐러드・김치류(18.3%)’, ‘찜・구이・부침류(7.3%)’, ‘음료 및 차류(5.1%)’, ‘볶음・조림・튀김류(4%)’ 순이었다. 식사유형에 따라서는 과일 섭취군의 경우 ‘일반식품’, ‘음식업소 음식’, ‘가정식’, ‘단체급식’, ‘편의식품’ 순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다른 식물성 식품의 경우는 ‘가정식’, ‘음식업소음식’, ‘단체급식’, ‘편의식품’, ‘일반식품’ 순이었다. 과일 종류별 조리법은 사과를 포함한 10종의 과일은 ‘식물성 식품자체’가 가장 높으며, 배와 키위는 각각 ‘찜·구이·부침류’, ‘볶음・조림・튀김류’ 이용도가 높았다. 성별에 따른 과일 종류별 섭취는 남성이 여성보다 배와 키위의 섭취가 높으며, 이외의 과일류는 섭취가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감과 참외의 선호도가 높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과일 섭취가 높았다. 식사시기와 식사유형에 따른 과일 종류별 섭취는 식물성 식품 자체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식(49.8%)’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생활평가지수 총 평균은 62.51점, 과일 섭취군의 식생활평가지수 점수는 65.21점, 과일 미섭취군 55.41점으로 과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권고하는 식품 및 적정성 평가영역’에서 과일 섭취군의 영역 총 평균은 32.72점, 과일 미섭취군은 23.81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권고하는 식품 및 적정성 평가영역’의 세부하위 항목 중 과일 섭취군은 미섭취군과 비교해 ‘아침식사 여부(P<0.001)’, ‘잡곡 섭취(P<0.001)’, ‘총 과일 섭취(P<0.001)’, ‘생과일 섭취(P<0.001)’, ‘총 채소 섭취(P<0.001)’, ‘김치·장아찌 제외한 채소 섭취(P<0.001)’, ‘고기·생선·달걀 및 콩류 섭취(P<0.001)’, ‘우유 및 유제품(P<0.001)’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평균 점수가 높았다. ‘절제영역’에서는 두 군 간의 총 평균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과일 섭취군이 과일 미섭취군에 비해 ‘나트륨 섭취’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당류・음료류 에너지 섭취 비율’ 점수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에너지 섭취 균형 영역’에서는 두 군 간의 영역 총 평균이 각각 8.84점, 8.08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탄수화물 에너지 섭취 비율’, ‘지방 에너지 섭취 비율’, ‘에너지 적정 섭취’ 영역에서 과일 섭취군이 과일 미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평균 점수가 높았다(P<0.05, P<0.01, P<0.001). 이상의 결과, 과일 섭취군이 식생활평가지수 총 14개의 세부하위 항목 중 12항목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과일 섭취군이 식생활 및 식사의 질이 높았다. 따라서 향후 과일 섭취를 보다 높임으로써 질병예방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fruit consump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intake and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in Korean adults. Data was collected from 5,703 adults aged 19 and above based on th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ruit-consuming and non-fruit-consuming groups. The fruit intake r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P<0.001), education (P<0.01), household income (P<0.001), and age (P<0.001). Most of the consumption was by eating the fruit directly rather than cooking it an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fruit consumed was in the form of processed food or fresh fruit (as a general food) (43.1%). Approximately 49.8% of participants ate fruit as a snack. The average KHEI score was 62.51 points out of 100 and the score of the fruit-consuming group (65.21 poi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fruit-consuming group (55.41 points) (P<0.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fruit-consuming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placed in food intake and balance of energy intake than non-fruit-consuming group. Thus, it is imperative to eat fruit to elevate the KHEI score.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fruit consumption keeping in mind the proper cook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 KCI등재

        동아시아 7-8세기 轉法輪印 阿彌陀佛坐像 연구

        최선아(Choi Sun-ah)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4

        本 논문은 瑞像의 일종인 阿彌陀佛五十菩薩像을 통해 인도로부터 전래된 轉法輪印 佛座像 형식이 阿彌陀佛의 圖像으로 變容될 수 있었던 계기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인도 굽타 시대를 대표하는 불좌상 형식 가운데 하나인 전법륜인 불좌상은 본래 臺座에 鹿野園을 뜻하는 사슴과 說法을 의미하는 法輪을 조각함으로써 釋迦牟尼의 녹야원 첫 설법을 상징하는 像 으로서 성립되었다. 주위에 化作으로 생겨난 小佛陀들을 배치하여 舍衛城에서 千佛을 化現시키는 神變을 보이는 석가모니의 像으로 제작되기도 한 인도의 전법륜인 불좌상은 대부분 釋迦牟尼의 像으로 제직되었을 뿐, 다른 특정한 불타를 의미하는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7-8세기 中國ㆍ韓國ㆍ日本에서 제작된 전법륜인 불좌상은 석가모니가 아닌, 아미타불 상으로 제작된 예가 많아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인도의 전법륜인 불좌장은 6세기 후반, 北齊代에 중국으로 전해졌다. 7세기가 되면 중국의 전법륜인 불좌상은 양 옆에 협시보살이 侍立하고, 그 주위에 여러 가지 자유로운 자세로 앉아있는 50체의 小菩薩像들이 배치된 阿彌陀佛五十菩薩像으로 제작된 예가 다수를 점한다. 阿彌陀佛五十菩薩像이라는 명칭은 634년에 제작된 四川省 梓潼縣 臥龍山 千佛嚴 造像碑와 唐 道宣律師가 편찬한 『集神州三寶感通錄』 (663)에 근거한 것이다, 두 기록에 따르면 阿彌陀佛五十菩薩像은 서역 천축의 瑞像으로, 정토왕생을 바라는 중생들을 위해 安樂界의 아미타불이 사바세계에 내려보내 주었다고 하는 신비로운 유래가 전하는 상이다. 그 상은 불교가 처음 전해진 後漢 明帝 무렵 迦葉摩騰의 ?子에 의해 중국에 알려졌으나 오랫동안 유포되지 못하다가, 隋 開皇元年(581) 明憲이라는 사문이 北齊 道長法師의 처소에서 상 한 구를 얻어 그 本을 이야기와 함께 널리 유포함으로써 다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상의 유래나 도상의 중국 전래 과정에 관한 이와 같은 이야기는 역사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허구에 해당된다. 중국의 불상 중에는 아미타불오십보살상처럼 신비로운 유래담이 전하는 상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상들을 瑞像이라 지칭하는데, 그 상들에 전하는 믿기 힘든 유래담은 주로 상에 대한 권위와 신비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 불교도들에 의해 각색된 것이다. 그와 같은 瑞像들은 상에 대한 신비로운 이야기가 널리 알려지자 많은 모사가 이루어졌는데, 아미타불오십보살상 역시 그러했다. 현존하는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은 634년에 제작된 사천성 재동현 와룡산 천불암의 조상을 비롯하여 綿陽 壁水寺, 通江 千佛崖, 巴中 南龕石窟 등 사천 지역 여러 석굴에서 찾아볼수 있다. 한편 敦煌 莫高窟 제332굴에는 벽화로 제작된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이 남아 있으며, 河南省 龍門石窟 袞弘勣洞에는 아미타불오십보살상으로 추정되는 造像들이 있다. 通肩ㆍ轉法輪印 불좌상과 50체의 小菩薩像으로 이루어진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은 인도로부터 전래된 전법륜인 불좌상 형식이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變容되었음을 보여준다.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瑞像 제작의 전통 속에서 중국 불교도들은 전법륜인 불좌장을 신비로운 유래가 있는 새로운 아미타불의 도상으로 인식하고, 거기에 小菩薩像 50체를 덧붙임으로써 그것을 瑞像의 일종으로 재창조한 것이다.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을 계기로 아미타불의 도상으로 확고하게 인식되기 시작한 通肩ㆍ轉法輪印 불좌상은 일정 시기부터는 小菩薩像은 제외된 채 단독으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小菩薩像 도상 역시 여러 가지 변형을 거쳐 佛說法圖나 經變相圖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한편 중국에서 유통되고 있었던 阿彌陀佛五十菩薩像의 本은 統-新羅와 奈良에 전해져 여러 가지 변형 혹은 생략된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韓國의 雁鴨池 출토 金銅三尊板佛과 日本의 法隆寺金堂 제6호벽 벽화이다. 瑞像의 일종으로 성립된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은 인도로부터 전래된 전법륜인 불좌장 형식이 동아시아 삼국에서 독자적인 수용 과정을 거쳤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7-8세기 한국과 일본에서 유행한 通肩ㆍ轉法輪印 불좌상의 직접적인 圖像的 원류가 된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advance of the seated Buddha images with dharmacakra-mudr? in East Asia during the 7th-8th centuries in relation to the iconographic type of the Amit?bha with fifty bodhisattvas" and the formation of ruixiang (瑞像, auspicious image) in medieval China. In Indian Buddhist art, a seated Buddha with dharmacakra-mudr? was commonly understood as a representation of the Buddha ??kyamuni giving the first sermon at the Deer Park in Sarnath: when it appears in combination with several small Buddhas, it was regarded as ??kyamuni performing the great miracle at ?r?vasti. However, in China, Korea and Japan, especially during the 7th and 8th centuries, this type of images seems to have been made as Amit?bha.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a seated Buddha with dharmacakra-mudr? in China is date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In the 7th century, this type often appeared with fifty small bodhisattvas, and this particular format was called as Amitafo wushipusa xiang (阿彌陀佛五十菩薩像, image of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There are two sources for this designation: (1) an inscription on a stele of 634 at the Thousand Buddha Cliff at Mt. Wolong (臥龍山) in Zidong (梓潼), Sichuan (四川): (2) a record in the Ji Shenzhou sanbao gantong lu (集神州三寶感通錄, Collected Records of Spiritual Responses of the Three Jewels in China) compiled by Daoxuan (道宣) in 668. These two sources preserve various stories about the Amitafo wushipusa xiang. For example, it tells that the original image was a ruixiang from India and was sent by Amitabha for those who prayed for rebirth in Amitabha's Western Pure Land. It is also told that the image was introduced in China in the first century A.D. during the Later Han but to be forgotten immediately afterwards. Then about 500 years later, the image came to be known again when a monk named Mingxian (明憲) obtained an image at the residence of the master Daochang (道長) in the first year of Kaihuang (581) of the Sui. Mingxian transmitted its sketches to other provinces. and thus this image came to be known widely. As Interesting as these written sources may be, most of the stories have no substantial basis. Although Buddhist images in China that had mysterious and marvelous origins were called ruixiang, auspicious images, these incredible stories were in most instances fabricated by Chinese Buddhists to endow authority and magical power to the images. In Ji Shenzhou sanbao gantong lu, fifty stories are listed recounting the auspicious images from the Han to the Tang, and Amitafo wushipusa xiang is one of them. The auspicious images were copied repeatedly for their miraculous origins and spiritual power, so was the Amitajo wushipusa xiang. Many examples of the Amitafo wushipusa xiang are found in Sichuan province. The earliest is one at the Ten Thousand Buddha Cliff at Mt. Wolong. There are other examples at Bishui Monastery (壁水寺) at Mianyang (綿陽), Ten Thousand Buddhas Cliff at Tongjiang (通江), and Southern Niches Grotto at Bazhong (巴中). A painted version is preserved in Cave 332 of Dunhuang. A sculptured example is also ill the Yuanhongze Cave (袁弘勣洞) in Longmen. Although the iconographic type of the seated Buddha with dharmacakra-mudr? was transmitted from India, Chinese did not simply accept it but transformed it as a new type for Amit?bha. The tradition that the image was sent by Amit?bha himself played an important role in justifying and empowering the new iconography.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re also exist images of this type without fifty bodhisattvas. Yet the context of production or accompanying inscriptions confirm that they all represent Amit?bha. The popularization of the new Amitabha type in East Asia during the 7th and 8th centuries is attested by contemporaneous images from Korea and Japan. In the gilded bronze Buddha triads excavated from Anabji (雁鴨池) in Gyeongju (慶州), datable to the late 7th to the early 8th centuries. the main Buddha is seated with dhar

      • KCI등재

        논문 : 안상의 가계와 생애 및 금합자보 편찬 과정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안상(安상, 1511∼1579년 이후)은 우리나라 최초의 성리학자인 회 헌(晦軒) 안향(安珦, 1243~1306)의 후손으로, 특히 그의 외가 친척은 사림파 성리학자와 교유하고 성리학을 연구하고 실천하는데 힘썼다. 따라서 안상의 사상적 배경은 사림파 성리학에 있다고 하겠다. 한편 안상의 친가외가가 모두 음률(音律)을 잘 아는 인물을 배출한 집안이라서 그 역시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할 수 있었던 것 같고, 특히 내 재종증조부(7촌)인 성현이 창안한 합자보의 효용성을 정확히 이해할 정도의 안목과 음악적 지식을 겸비하고 있었기에 그 기보체계를 바탕으로 악곡을 정리하고 성현이 편찬한 『악학궤범』의 내용을 인용하여 『금합자보』를 편찬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성현의 향악을 긍정하는 태도 역시 이어받아서 『금합자보』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안상의 관직은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중앙에서는 경복궁 재건 사업에 참여하였고, 『금합자보』를 편찬하는 등 중앙 관리로서 중요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지방에서는 대단히 모범적으로 수령 직을 수행하였다. 안상의 경상도 영천 군수 시절(1555∼1560)에는 선조의 묘소 관리 및 재사(齋舍) 영모암(永慕庵) 건립을 통해 선조의 영을 영원히 기리고자 하는 개인적인 이유와 한 고을의 수령으로서 효를 몸소 실천함으로써 백성을 교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퇴계 이황의 권유로 이산서원(伊山書院)을 건립하여 선현을 받들어 모시고, 그 큰 뜻을 배우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평안도 중화 군수 시절(1565∼1568)에는 『속문범(續文範)』, 『한서전초(漢書傳抄)』, 『근사록(近思錄)』, 『용학석의(庸學釋義)』 등 명유(名儒)의 서적을 간행하여 국가이념인 성리학을 정착시키고 전파하려는 목적과 풍속의 교화라는 수령의 임무를 다 하고자 노력하였다. 함경도 덕원 부사 시절(1570∼1579년 이상)에는 목판본 『금합자보』를 간행하였다. 이러한 안상의 향촌에서의 행적은 지방관이면서 퇴계 이황의 제자 혹은 교유인의 활동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안상의 『금합자보』의 편찬과 간행은 시간적·공간적 차이가 난다. 안상은 장악 원 첨 정 시절(1561)에 궁중 장악 원 소장 합자보가 온전한 형태의 합자보가 아니었기에 이를 개수하여 『금합자보』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안상은 풍속을 바꾸는 데는 악(樂)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는 『효경』의 말씀을 염두에 두고, 향촌에서 거문고를 배우고 싶어도 사우(師友)를 만나지 못하여 거문고를 배울 수 없는 사람을 위해서 거문고 입문서인 『금합자보』를 간행하였다. 더불어 거문고를 통한 유가 악론의 실천을 당부하였다. 결국 『금합자보』를 간행한 이유 역시 영천에서 영 모암과 이산서원을 세우고 중화에서 여러 서적을 간행한 이유인 향촌에서의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정착과 풍속의 교화라는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An Sang 安상(1511∼1579) was a descendant of An Hyang 安珦 (1243∼1306), the first Neo-Confucianist, and in particular his mother side relatives made efforts to keep company with other sarim 士林 (Neo-Confucianists), study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his ideological backgrounds lied in the sarim Neo-Confucianism Meanwhile, it seemed that both of his father and mother sides cultivated those who were well aware of music and he could be naturally exposed to music. Specifically, his mother`s side grear-grandfather was well versed with musical insight and knowledge sufficient enough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efficiency of hapiabo 合字譜 (combined character notation), principles of combining [hap合] letters [cha 字]) created by Song Hyon 成俔 (1439∼1504); thus, based on Song Hyon`s notation system, An Sang could arrange pieces of music and compile his Kum hapchabo 『琴合字譜』 (Tablature Notation for Komun`go) by citing the content of Akhak kwebom 『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compiled by Song Hyon. Furthermore, it appeared that Song Hyon`s positive attitude towards byangak 鄕樂 was also passed down and Song Hyon reflected it into his Kum bapchabo. An Sang`s official posts could be divided into the central and provincial ones. In the central government, he made significant accomplishments as a central government official, b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f restoring Kyongbok palace 景福官 and compiling Kum hapchaho at Changagwon 掌樂院 (Royal Music Institute of Choson Dynasty).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he was a role-model type provincial governor. During his official post as a governor of Yongchon county 榮川郡, he did his best to cultivate the people by practicing his filial piety on his own as an individual and governor who wanted to keep commemorating the spirit of Soncho 先祖, by establishing Yongmoam 永慕庵. In addition, he founded Isan Sowon 伊山書院, revered ancient sages, and attempted to bring up competent persons learning such noble meanings and causes. During his governorship in Chunghwa county 中和郡, he endeavored to perform his duties as a governor by publishing the books of famous Confucianists, such as Sokmunbom 『續文範』, Hanso choncho 『漢書傳抄』, Kunsarok 『近思錄』, and Yonghak sogui 庸學釋義, and settling down and propagating the Neo-Confucianism, the then national ideology, and by cultivating the custom. While in office in Tokwonbu 德源府, as a deputy official, he published wooden Kum hapchabo. There were time and spatial differences in An Sang`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Kum hapchabo. While in his office as a Chomjong 僉正 at Changagwon, the hapchabo Stoted in court Changagwon was not in a complete form; thus, he kept revising it and compiled Kum hapchabo. Keeping the old saying of Hyogyong 『孝經』in mind that there was nothing better than music in changing the custom, he published the beginner`s book for komun`go 玄琴, Kum hapchabo, for those who wanted to learn how to play komun`go in provinces but could not learn it due to a lack of instructors there. Moreover, he asked people to practice Confucius music theory through komun`go. The reasons for his publishing Kum hapchabo should be understood in tandem with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various books in Chungbwa county the consolidation of Neo-Confucianistic social order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custom in provincial distr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