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杜甫 일대기의 재구성, 杜甫年譜 제작의 역사와 그 의미

        최석원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Du-fu chronology as well as the literary meaning of the Du-fu yearbooks, which were produc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Among the Du-fu annals that have been reported so far, there are various types of anniversaries, such as the chronology of the time when the duo lived and the chronology of the tabular annual report that clearly shows the biographies through the table,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annuals such as the one - year annual report on the works left by Du-fu.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the annals of both sides of the the qing dynasty have been recognized as separate works of their own, bu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y quoted the annals of the main school ages as they are. In addition,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tracking the biographies of their bios based on existing biograph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iographical biographical information described in each annals. In particular, he wrote his works in the form of a diary. In the making of the annals, the composition of the biographies through these two works, the construction of a chronology by revising and reviewing the records described in the history book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annuals are produc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biweekly biography through the confirmation with the characters like Li-bai, Gu-shi, Yan-mu. As I have already pointed out in various research results, the production of the annals is a methodical attempt to implement the ‘acquaintance theory’ and the ‘reverse order’. However, the production of the annals was not merely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duo, but was an analytical attempt to grasp the overall flow and contents of the work. In other words, the production of such an annals can be said to have a value in that it is a way of exchanging writers and emotions through the reader’s experience not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discovery of the remains, The production of annals was an interpretive attempt to read individual works in a context. Until now, the annals were merely ancillary means of decorating the front of the literary works, but in fact, the annual memorandum contain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man, his own interpre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times when the writer lived. It is worthy of all that the wide knowledge is shared. 본고는 宋代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된 연보 가운데 杜甫年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역대 편찬 상황을 일람하고, 주요 연보 가운데 나타나는 杜甫 일대기의 구성 방식과 연보의 문학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보연보의 구성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杜詩가 지니고 있는 자전적 성격에 근거하여 그가 남긴 작품을 활용하는 것, 史書 기록에 한 수정과 보완 그리고 두보와 교유한 문인에 대한 고증 과정이 바로 그것인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정된 두보 일기 가운데에는 여전히 많은 이설들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곧 연보를 제작하는 후대 문인들의 두보에 한 해석과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바, 본고는 지금까지 보조적 문헌으로만 인식되던 연보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고, 이것이 지니는 문학적, 문화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충남지역 석불의 암석학적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최석원,채상정,이효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03 문화재과학기술 Vol.2 No.1

        충청남도내의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석불 중 역사적 중요성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보아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석불 31개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특징, 풍화에 의한 암석의 조직 및 광물학적 변화, 풍화에 따른 물성 변화 등, 석불을 이루고 있는 암석의 풍화특성을 파악하였다. 석불을 이루고 있는 암석은 대부분이 중립 내지 조립질의 화강암류이며, 소수 석불만이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료채취가 가능한 12개 화강암류 석불의 모드분석 결과, 흑운모화강암 8개, 반상화강섬록암 3개, 화강섬록암 1개로 분류되었다. 이것들은 암석자체에 많은 절리, 박리조직과 심한변색을 보이고 있다. 편광현미경하에서의 관찰 결과, 장석류는 견운모화작용이 심하고, 흑운모는 녹니석화작용으로 주변광물을 변색시키며, 석영은 일정한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조직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석불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은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카올리나이트화 되었으며. 풍화등급은 MW에서 HW에 속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석불들은 풍화를 많이 받은 상태이고, 각 석불의 풍화특성을 고려하여 과학적이고 비파괴적인 보존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survey of the petrological weathering characteristics as the petrological texture and the mineralogical alteration and the change of rock physical properties by weathering for 31 Stone-Buddhist images designed as important cultural property in Chungnam province. Most rocks composing Stone-Buddhas are classified into granite which is medium to coarse, but some Stone-Buddhist images comprise in gneiss. As the result of modal composition for 12 Stone-Buddhist images being possible to take samples, they are classified into 8 biotite granite, 3 porphyritic granodiorite and 1 granodiorite, which are showed with many joints, exfoliation and intensive discoloration. Referring to the result of observation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some feldspar are being sericitizated and some biotite are being changed to chlorite Under the observation with SEM, some feldspar are changed into lamella-kaolinite by the weathering. Most rocks composing the stone Buddhist images are being weathered much and kaolinited, and its weathering level is classified into MW to HW referring to the result of these studi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studying scientific and undestructive method considering the weathering distinction of Stone-Buddhist images.

      • KCI등재후보

        淸代 문인들의 杜詩 해석에서 나타나는 전통과 변화의 혼재 -『杜詩詳註』, 『讀杜心解』, 『杜詩鏡銓』를 중심으로

        최석원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5 No.2

        杜詩學可以分爲四个段階. 其中, 淸朝是杜詩學的總結期. 其實淸代以前的杜詩學, 特別是宋代較多關注杜詩的社會公能. 這就是對杜詩意識與當時理學的出現有關係. 宋代理學成爲當時主流的學術思潮, 杜詩學也處於這種學術思潮影向下, 幷且它的社會公能被强調了. 然而比較淸代與宋代的杜詩觀, 不儘儘維持傳統的觀念, 而且開拓革新的解釋方法. 淸代對杜詩評價仍然重視杜詩‘溫柔敦厚’的思想, 進一步表面在杜詩解釋的方面. 就是, 開始淸初文人金聖嘆, 用八股文法解釋律詩. 金聖嘆認爲詩與文同樣具有起承轉結法則, 强調作品整體的梳理. 仇兆鰲不止于金聖嘆的解杜方式, 除了解釋律詩以外, 還進一步在長篇作品上把起承轉結方法分析杜詩. 淸朝代表杜詩註釋家浦起龍和楊倫亦把篇章的內在的合理性作爲解杜的重要方法. 一連的解釋方式說明, 當代文人對杜詩超過儒家的文學解釋方式, 摸索杜詩解釋評價的新標準. 綜上所述, 淸代文人重視杜詩內在的‘溫柔敦厚’的思想. 然而不儘儘局限如此, 他們還進一步提出對杜詩文學藝術的評價標準. 淸代仇兆鰲 『杜詩詳註』,浦起龍 『讀杜深解』 及楊倫 『杜臆』 等借鑒杜詩解釋方式, 此淸代杜詩學之進步及一大貢獻.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중국의 번역 정책과 그 한계―京師同文館을 중심으로―

        최석원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8 No.-

        Peter Burke’s argument that knowledge once arrived differs from knowledge at the time of departure enables a step forward in understanding “translation”. In other words, translation can be understood not only as a step to ensure semantic equivalence between different languages, but also as a step to coordinate differences in social code. In the process of knowledge propagation and acceptance, this article is part of a discussion of the social role of “translation” in modern China, which began to interact with Western literature. The Jingshitongwenguan(京師同文館) w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reign languages and a translation organization that was run by the royal family at the tim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China’s social status as modern China and its passiv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Western” language, it was inevitable to show its role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ranslation organization at the Jingshitongwenguan(京師同文館).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establishment of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ors (Westerners) and intellectuals (Chinese) and advocates (royal family) shows that the process of Western literature and education appears in the West. This is not another age that separates modernity from tradition, but a reason why it can be positioned at the heart of tradition and modernity. 일찍이 도착한 지식과 출발했을 때의 지식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시인한 피터 버크의 논의는 ‘번역’에 대한 진일보한 이해를 가능케 한다. 즉 번역이란 비단 상이한 언어 간의 의미적 등가성을 확보하는 단계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코드의 상이함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셈이다. 본고는 지식의 전파와 수용의 과정에서 ‘번역’이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서양의 문물을 접하기 시작한 근대 중국에서 외국어 교육과 번역 기관으로 역할을 담당한 京師同文館이 지닌 한계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 서양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일면을 논의하였다. 京師同文館은 당시 왕실에서 운영된 외국어 교육기관이자 번역 기구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근대 중국이라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서양’에 대한 인식과 수용이 수동적일 수밖에 없었던 한계 탓에 京師同文館에서 수행한 외국어 교육 및 번역 기구로서의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특히 번역의 과정에 있어서 번역자(서양인)-교열자(중국인)-후원자(청 왕실)이라는 함수 관계가 성립됨에 따라 서양 문물과 교육의 과정은 전통 중화 질서 속에 나타나는 서양에 대한 ‘夷’로서의 인식과 이를 또 다른 세계로 인식하고자 했던 ‘洋’으로서의 서양이 혼재되는 결과를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이는 곧 근대를 전통과 현재를 격절시키는 또 하나의 시대가 아닌 전통과 현대가 이어지는 그 중심으로 위치지울 수 있는 근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y severity among users of powered mobility devices

        최석원,우재혁,현성열,장재호,최우성 대한응급의학회 2021 Clinical and Experimental Emergency Medicine Vol.8 No.2

        Objective To examine the features of powered mobility device-related injurie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injury severity in such settings. Methods Emergency Department-based Injury In-depth Surveillance data from 2011 to 2018 were us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mild/moderate and severe groups based on their excess mortality ratio–adjusted injury severity score and their general injury-related factors and injury outcome-related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Of 407 patients, 298 (79.2%) were assigned to the mild/moderate group and 109 (26.8%) to the severe group. The severe group included a higher percentage of patients aged 70 years or older (43.0% vs. 59.6%, P=0.003), injuries incurred in the daytime (72.6% vs. 82.4%, P=0.044), injuries from traffic accidents and falls (P=0.042), head injuries (38.6% vs. 80.7%, P<0.001), torso injuries (16.8% vs. 32.1%, P=0.001), overall hospital admission (28.5% vs. 82.6%, P<0.001),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1.7% vs. 37.6%, P<0.001), death after admission (1.4% vs. 10.3%, P=0.034), and total mortality (0.7% vs. 9.2%, P<0.001). The odds ratios (ORs) for injury severity were as follows: age 70 years or older (OR, 2.1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239–3.642), head injury (OR, 10.441; 95% CI, 5.465–19.950), and torso injury (OR, 4.858; 95% CI, 2.495–9.458). Conclusion The proportions of patients aged 70 years or older, head and torso injuries, injuries from traffic accidents and falls, and injuries in the daytime were higher in the severe group. Our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measures to address these factors to lower the incidence of severe injuries.

      • KCI등재

        王安石에 대한 조선의 평가와 인식 -『朝鮮王朝實』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최석원,김보경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1

        In order to examine how the intellectual society of Joseon dynasty recognized and evaluated Wang An-shi, the important politcial and literary man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we studied A total of 274 related articl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Through this, we could see that the intellectual society of Joseo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generally expressed negative views about Wang An-shi, but there were also flexible attitudes that tried to evaluate him with a balanced gaze. In addition, we could also confirm the dual aspect of still evaluating him as one of the greatest master of literary style. This study can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more closely how the literati of Joseon dynasty recognized and accept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i, but also provide a foundation for examin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society and knowledge groups in East Asia. 본고는 북송시기 중요한 정치가이자 문인이었던 王安石을 조선 사회에서는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朝鮮王朝實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총 274건에 달하는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사회가 理學的 세계관의 영향으로 王安石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지만, 그 속에 나름 균형 잡힌 시선으로 王安石을 평가하고자 했던 유연한태도도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여전히 문장의 전범으로 王安石을 평가하는 이중적인 면모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 문인들의 중국문인들에 대한 인식과 수용 상황을 보다 정밀하게 살펴보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동아시아 내 지식사회와 지식집단의 형성 및 발전 과정을 고찰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