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에너지・환경경제학 연구자 사회연결망 분석

        최봉근,정기호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3

        Focused on the field of energy and environmental economics,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connections among scholars of this fiel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frastructure in an academic field. The specific subject chosen for the analysis is the social network of collaborators. The scope of analysis is co-author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jointly published by the Korean Resource Economics Society and the Korea Environmental Economics Society during 2001-2016. Text mining is used to extract text data from the journal, and three centrality measures, centralities of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are considered to summarize the social networks. The results show that the scholars who are in charge of the social network hub of joint research change from period to period, and there are researchers connecting small networks in the second third period, but this trend does not continue in the last third period. 본 연구는 에너지·환경경제학에 초점을 맞추어 학문분야의 가장 중요한 인프라인 학자들 간의 상호연결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택된 주제는 공동연구자 사회연결망이다. 분석범위는 한국자원경제학회와 한국환경경제학회가 공동으로 발간하는 학술지에 2001-2016년 기간 동안 게재된 학술논문의 공동저자들이다. 분석 자료 추출을 위해 텍스트마이닝이 사용되었고 사회연결망 특성으로서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중개 중심성의 3가지 척도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 공동연구의 사회연결망 허브를 담당한 학자들이 기간마다 바뀌었고 분석기간 전반에는 소규모 연결망들을 연결하는 연구자들이 있었으나 후반에는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성숙 희쥐 해마에서 열성경련에 의한 신경흥분성의 증가

        최봉근,배혜란*,황규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9

        Purpose:To determine whether febrile seizure enhances neuroexcitability by altering synaptic transmission and whether febrile seizure-induced hyperexcitability leads to long-lasting neuronal death. Methods: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ynaptic and postsynaptic proteins and the apoptosis of neuronal cells in rat pup hippocampus after hyperthermic seizure using immunoblotting and confocal microscopy. Results:Hyperthermic seizure enhanced the long-term expressions of presynaptic proteins such as syntaxin, VAMP, SNAP-25 and nSec1, whereas that of NSF was decreased. The expressions of postsynaptic NMDA receptors 1, 2a and 2b were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ostsynaptic AMPA glutamate receptors 1 month after hyperthermic seizures altered by way of increasing the ratio of GluR1 to GluR2 and decreasing NSF-GluR2 interaction,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Ca2+ permeable AMPA receptors and enhanced toxicity. However, in spite of enhanced neuroexcitability, there was a transient increase of neuronal death in hipocampus one week after hyperthermic seizure, but returned to baseline one month later. Conclusion:These results demonstrate both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forms of long-term enhancement of glutamate synaptic transmission after hyperthermic seizure and support the idea that early-life febrile seizure might have persistent effects on neuronal excitability in the hippocampus. 목 적:열성경련은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경련이다. 열성경련이 지속적인 신경 흥분성을 유발하는지와 열성경련이 측두엽 간질과 연관성이 있는지가 중요한 관심사이다. 이에 미성숙 쥐 모델을 이용하여 열성경련이 해마의 시냅스 단백질 및 glutamate 수용체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여 신경 흥분성과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실험동물로는 생후 10일된 Sprague-Dawley계의 rat pups 흰쥐를 사용하였다. 열성경련은 더운물 (47℃)로 유발시켰다. 경련 유발 후 생후 1일째, 1주째, 1개월째 뇌를 적출하여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해마에서 시냅스 단백의 발현을 조사하였으며 tunel study로 해마 신경세포의 세포사를 관찰하였다. 결 과:열성경련을 유발시킨 쥐의 해마에서 고체온만 유발시킨 대조군에 비해 신경 연접부 세포막과 연접소포의 융합에 관여하는 시냅스 단백질인 VAMP, SNAP-25, syntaxin 및 nSec1의 발현이 경련 한달 후까지 증가되었으나, NSF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열성경련 후 시냅스 후 신경막에 있는 NMDA 수용체 1, 2a 및 2b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AMPA 수용체 중 GluR1의 발현은 열성경련 후 증가된 반면 GluR2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시냅스 후 신경막의 GluR2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NSF와 GluR2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NSF와 GluR2 복합체의 형성이 열성경련 한 달 후까지 현저히 감소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TUNEL 염색으로 관찰한 신경세포의 손상은 열성경련 일주일 후에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한 달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열성경련은 시냅스 전 시냅스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시냅스 후 신경막에서 GluR1/GluR2 발현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GluR2와 NSF의 결합을 감소시킴으로써 Ca2+ permeable AMPA 수용체 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경흥분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RE-PECVD법에 의해 증착된 DLC박막의 결합 특성

        최봉근,신재혁,안종일,심광보 한국결정성장학회 200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14 No.1

        The diamond-like carbon (DLC) films were deposited on the Si (100) wafer by a rf-PECVD method as a function of the mixture rate of methane-hydrogen gas and bias voltage. The bonding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deposited DLC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FT-IR, Raman, and nano-indenter. The deposition rates of DLC films increased with increased flow rate of methane in the gas mixtures and increased bias voltage. The $sp^3/sp^2$ bonding ratio of carbon in thin film and the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flow rate of hydrogen in the gas mixtures and increasing bias voltage. RF-PECVD 방법을 이용하여 DLC(diamond-like carbon)박막을 메탄-수소 가스 혼합비 및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실리콘 웨이퍼 위에 증착하였다. DLC 박막의 결합구조적 특성 및 기계적 성질은 FT-IR, Raman, 그리고 nano-indenter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혼합가스내 메탄의 유량과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가 증가하였다. 박막내 탄소의 $sp^3/sp^2$ 결합비와 경도는 반응가스내 수소의 유량 및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변화와 생성의 관점에서 본 퇴계철학의 소당연과 소이연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최봉근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퇴계철학에 나타나는 '活理'를 통하여 소이연과 소당연의 일치를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존재론적인 접근보다 '활리'를 통한 '생명적 동력'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리의 의미는 창조와 조화의 우주적 순환인 '생명'의 원리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리의 두 의미인 소이연과 소당연에 대해 분석하였다. 생성적 동력은 무수한 변화의 과정을 통해 조화에로 진입하도록 하는 시발점이며 또한 순환에 따른 회귀점이기도 하며, 필연적이자 근원적인 문제로서 '반드시 그러한 까닭'인 '소이연'의 리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조화성'은 모든 것이 그 자리에서 그 상태의 정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생명' 원리이며, 이는 생성된 존재가 자기 목적에 진입하도록 생성의 사건(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존재의 자리매김과 유기적으로 연관을 맺게 하는 목적성을 가진다. 결국 조화적 동력은 생성적 동력에 의해 일어나는 끊임없는 생성과 그에 따른 변화에 대한 수렴이자 생성적 동력의 종국적 목적으로의 소당연에 다름 아니다. 여기에서 소이연과 소당연은 '생명적 동력'이라는 패러다임 내에서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The universe consists of the endless creations and changes. And The universe is formed of perfect 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of Li (理) in Toegye's philosophy through 'The universe' and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Making an additional remark, this thesis's purpose is to clarify what kind of formation in `life force of Li' as a the principle of harmony. The universe is being as an living thing, assumes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cycle of creation and harmony'. And purpose to clarify Li, as the origin of creation and harmony. As a living thing, the universe is formed by ceaseless cycle of creation and harmony. At this point Li plays a leading role for creation and change. Especially Li becomes the Absolute. But Li is not existed in the existence of exceeding without change on existing circumstances. Li's contents consist of existing circumstances. And there contents change. When that kind of Li is to be The universe, Li is life force of `cycle of creation and harmony in the universe life'. From here, we can find what T'oegye want to say about Li and reach the conclusions as follows. Toegye regards Li as same as 'life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