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도사 龍華殿의 <西遊記圖> 연구

        최민아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5 文物硏究 Vol.- No.28

        사찰벽화는 벽이라는 특수한 구조를 지닌 화면에 각 벽의 구조와 성격에 적합한 불교의 사상과 주제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불국토를 표현한 것이다. 사찰의 크고 작은 벽면에는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조선후기에 그려진 사찰 벽화는 불교의 교리와 존상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들이 표현되어져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통도사 용화전에 그려진 서유기도(西遊記圖)를 주목하고자 한다. 용화전은 통도사의 다른 건물들과는 다르게 내부 공포를 2단으로 설치하여 포벽 공간이 많아짐에 따라 내부벽화를 그릴 수 있는 벽면이 많은 특징이다. 이런 용화전의 동․서 측면에는 7점의 각기 다른 주제의 <서유기도>가 그려져 있다. 본 고에서는 중국의 고전소설인 『서유기(西遊記)』를 바탕으로 그려진 <서유기도>는 그 연원을 소설의 삽화에서 찾고자 명나라 때 오승은(吳承恩) (1500~1582경)이 100회본으로 저술하여 체계화된 소설을 기준으로 명 ․청대의 소설 판본들과 비교검토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상의 원류로 언급한 <세덕당본>의 삽화는 도상 및 화면구성에서 용화전의 <서유기도>와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유기도>의 화면을 구성하는 배경의 구도․표현 그리고 인물의 구성 및 배치 등을 검토하여 용화전 <서유기도> 도상의 연원을 명대 판본 『이탁오선생비평서유기(李卓吾先生批評西遊記)』<이탁오본> 이라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통도사 용화전<서유기도>와 같이 소설 삽화가 조선후기 사찰벽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확산되었는지 대해서는 조선후기 회화(일반회화, 민화, 판화, 사찰벽화)와의 영향관계에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임진왜란 전후 중국소설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부터 중국소설이 당시 조선사회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시대적 현상을 바탕으로 중국소설의 삽화와 조선후기 회화의 유사성은 화면의 구성방식과 인물표현, 건물의 배치와 묘사에 등에서 보인다. 이는 당시 출간된 여러 판화들과 평생도 등의 일반회화,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를 화제로 한 민화, 호렵도 등과 또 다른 사찰벽화를 통해서 확인된다. 소설 삽화의 대중적 파급이 화원이나 여기화가들만이 아닌 일반 대중의 회화인식에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중국소설회모본(中國小說繪模本)≫의 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설 『서유기』의 1회에서 7회까지는 손오공의 등장과 현장과의 만남, 8회에서 12회까지는 현장이 불법(佛法)을 구하러 가게 된 연유, 13회에서 100회까지 현장의 일행이 불전을 구하러 가는 과정에 겪는 81가지의 어려움으로 구성되어 있는 100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용화전 <서유기도>는 제11회~제12회 이야기를 각 어칸 중앙에, 나머지 벽면에는 제81회, 제84회, 제87회, 제94회를 선택하여 고행과 수행 과정을 담고 있다. 고행을 통해 불교의 이치에 도달하는 민중교화적인 목적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륙재를 그리고 있는 ‘현장병성건대회도(玄奘秉誠建大會圖)’가 용화전 벽화에서 제일 강조되어 그려진 주제로써, 벽화가 그려진 용화전의 성격과도 부합된다. 용화전은 용화수 아래에서 성도한 후 인연이 있는 중생을 구제하는 미륵불을 모신 곳으로 <서유기도>는 이러한 중생교화의 의미를 담고 벽화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유기도> 중 불교적인 수륙재 ... Temple wall painting is to express the Land of Buddha, in which Buddhist ideas or themes are reflected, on temple walls provided their structure and properties considered. Temples usually have paintings of different sizes on their walls. Temple wall paintings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e a variety of expressions related to Buddhist doctrines, Buddha and other subjects.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Seoyugido> painted in Yonghwajeon of the Tongdosa Temple. Unlike other buildings of that temple, Yonghwajeon has 2 layers of gongpo inside, This provides a large wall space between the two layers, allowing lots of paintings to be made on that space. Inside Yonghwajeon, actually, the east and west sides have 7 pieces of <Seoyugido>, each has its own theme, painted on them. Considering the fact that illustrations shown in <Seoyugido> are set based on a Chinese classic novel, 『Seoyugi』,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origin of that painting by comparing and reviewing different versions of that novel which were published in the Ming and Ching periods, especially focusing on a version with 100 illustrations that was made by Oh Seung-eun(1500~1582) in the Ming period. Some researchers claimed that <Sedeokdangbon> is the very origin of <Seoyugido>. But the two paintings are quite different in terms of icon and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backgrounds and the diversity and placement of characters that are can be seen in <Seoyugido> of Yonghwajeon, and provided a new suggestion that <Seoyugido> originated from a version of the Ming period, that is, <Lee Tak-oh’s Criticism of Seoyugi>. And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and understand how illustrations found in novels influenced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general paintings, folk paintings, engravings and Temple wall paintings like <Seoyugido>. As they were introduced in earnest around the Joseon-Japan War, that is, Imjinwaeran, Chinese novels influenced Joseon of that time. Under this circumstance, similarities are found between illustrations of the Chinese novels and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erms of composition, character expression and the location and depiction of building structures. This is supported by lots of engravings, general paintings including life drawings, folk paintings whose theme was based on novel 『Samguk Jiyeoneui』, the illustrations of hunting images and other Temple wall paintings, all of which were made at that time. Presumedly, those illustration had great effects on perceptions about painting that official and amateur painters and even general people had at that time. This fact is indirectly supported by <Imitative Paintings of the Illustrations of Chinese Stories>. The classic novel, 『Seoyugi』 consists of 100 parts or, specifically, the appearance of Sonokong and his meeting with Hyeonjang from part 1 to part 7, reasons why Hyeonjang leaves for the teachings of Buddha from part 8 to part 12 and 81 kinds of difficulties that Hyeonjang and his companies experience whiling going to obtain Buddhist scriptures from part 13 to part 100. Among these 100 parts, <Seoyugido> painted in Yonghwajeon has illustrations of parts 11 and 12 in the center and those of parts 81, 84, 87 and 94 in the other space. These illustrations imply how to reach the very principle of Buddhism through asceticism, aiming to enlighten the public. This cause is most remarkably reflected by a section of the Yonghwajeon wall painting, that is, ‘Hyeonjang Byeong Seonggeon Daehoido’ which illustrates Suryukjae. It also compl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Yonghwajeon itself. Yonghwajeon is a place to worship Maitreya who relieves people with whom he has relations after reaching emancipation under Yonghwasu. This strongly suggests that <Seoyugido> was painted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enlightening the public. Finally, this study compared stylistic features of ‘Hyeonjang Byeo...

      • KCI등재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법) 비대면 극창작 수업 사례를 통한 수업모형 개발

        최민아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4

        In college, teachers have taught playwriting to learners with the educational method used in novel or poem writing classes. The joint review is a primary teaching style to get feedback from peers and improve their plays. However, the method of the joint review needs to change for the learner who is familiar with multi-media and are comfortable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thod for playwriting classes using PBL(project-based learning)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find ways to encourage peer's diverse feedback. Using the case of the students in Dramatic Writing major at Baekseok Art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s that steps of drama structure design the class, and through online feedback, learners exchanges their opinions and thoughts and follow these steps to achieve their small goal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 teacher sets the project's goal, the one-act play, and learners set the rules for a safe environment for discussion. Then, during the writing process, such as logline, synopsis, 3parts of play, learners submit their writing to the online classroom and get an opportunity to read their peers' writing. After reading, with both ways, actual speech and (writing) chat in the online class, learners can get much feedback within a short period. In each step of writing, learners observe mistakes in peers' writing that they usually make in their writing and learn how to be fixed or find a better way. That accumulates their knowledge, and a teacher does not need to give a lecture and guide them to complete their final project. Furthermore, they also feel achievement and solidarity that encourage learners to finish their final goal and give sincere opinions to peers. It demonstrates that through class satisfaction surveys and interviews, learners deeply realize that peers' feedback influenced the positive effect on their works, even though, sometimes, they were confused by feers’ diverse feedback. Consequently, this PBL class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stimulates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activeness of learners. 본고는 교실에서 대면으로만 이루어지던 합평 위주의 창작 수업을 테크놀로지와 멀티트래킹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디지털 수업 환경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PBL(Project-Bas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 설계와 운영 사례를 연구하여 수형 모형을 제안한다. 수업은 단막극 창작이라는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하여 통합적 지식을 습득하고, 능동적인 자세로 동료 학습자들과 피드백을 나누며 협력하는 과정으로, PBL의 기본 목표에 맞게 활용되었다. 또한 자기주도적 역량을 강화한 창작 과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창작 과정을 극의 전개에 따라 세분화하여 (소)프로젝트로 만들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또한 비대면인 만큼 학습자들이 낙오되지 않고 집중할 수 있도록 수업 내외에 동료 학습자와 활발히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소통 창구를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스스로 세운 규칙에 따라 안전히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고, 지속되는 수업 가운데 생성된 서로에 대한 신뢰와 타당성 확보는 교수자의 주도적 역할을 축소시키는 대신, 학습자들 간의 유대감과 협력을 형성하였다. 학습자들은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문자로 기록되는 피드백을 선호하였으며, 제한된 시간 안에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어 많은 학습자들과 함께한 창작 수업에 매우 효율적이었다. 축적되는 창작 과정의 공유는 학습적인 면에서도 극의 단계에 필수요소들을 파악하고, 다른 학습자의 많은 작품이 창작되는 과정을 처음부터 공유하며 다양한 창작의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는 유익함이 있었다.

      • KCI등재

        이상한 나라에서 온 소녀:영화 <마녀>와 <한나(Hanna)> 속 소녀 캐릭터의 특성 연구

        최민아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70

        According to Rosi Braidotti's view, which is that these words 'mother, monster, machine' are closely related and directed to feminist theories and cultural phenomenon, the emergence of powerful feminine adolescence in the films, <Maneyo> and <Hanna> could be explained with three words in this paper. These films that have a girl killer as a leading role, have similarities in their plots. These girls in the films are born by advanced science such as gene manipulation and constantly confront enemies who try to kill them. The girls' birth without mothers illustrat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ol woman's body as well as mother's role. The absence of mother and the substitute of mother trying to kill girls mean male patriarchal society's attempt to tame them. During the enemies' attack and the girls' resistance, the girls have processes of developing as themselves. Finally, their enormous power and uniqueness are revealed the world and instantly the girls are considered as a monster. Although the girls are not a man nor an adult, they became a threat to the male-society. The girls' power created by science and their immature images are shown as a marker of malleable identity at the same time potentiality for the future. Even though the images of feminine adolescence are consumed in the popular culture,the emergence of a powerful and strong girl in films means the crucial markers of cultural and social change. 본 연구는 브레이도티가 여성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들을 위해 제시한 ‘어머니/괴물/기계’의 개념을 차용하여 조 라이트 감독의 <한나>와 박정훈 감독의 <마녀>에 등장하는 소녀 캐릭터를 분석한다. 두 영화 속에서 과학기술에 의한 두 소녀의 탄생은 출산의 영역을 과학이 장악하면서 어머니의 존재는 부재하고, 고립된 소녀들은 가부장적이고, 남성위주의 합리적인 질서가 강요되는 세계 속으로 뛰어드는 현실을 보여준다. 괴물이 가진 상징성이 다름에서 오는 이질성을 의미하듯이 소녀들 역시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진 가늠할 수 없는 존재, ‘타자’라는 낙인이 찍혀 억압당하고, 배척당하는 존재로 규정지어지게 된다. 여성이라는 구체적 정체성을 가진 괴물로서 소녀들의 탁월한 능력 역시 소녀들을 위협적인 타자로 규정짓게 만들어 기존 논리들과 사회 체제를 보다 단단히 구축하고 존속하기 위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 되고 만다. ‘과학적 합리성’을 규범적 범주로 규정할 때 과학적 효용의 측면을 위해 만들어진 소녀들의 향상, 증강된 능력은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지만 그 능력이라는 것이 기득권이 감당할 수 없는 과도한 것이 되는 순간,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녀들은 배제되고 만다. 영화 속에서는 포스트휴먼인 소녀들의 이미지는 보호받아야 할 존재이면서 동시에 괴력을 가지고 있는 이중성과 함께 과학의 영역을 몸에 소유하며 이상화 혹은 대상화되어 드러난다. 남성도, 어른도 아닌 ‘이중적 타자’로서 소녀 캐릭터는 관객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과학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남성중심 사회의 허구와 악들을 드러내며 전복을 꾀하는 창조적 파괴성과 변화의 역동성을 표현하려 한다. 아울러 그녀들이 가진 젊음과 능력은 가능성과 잠재력에 등가물로 미래에 대한 희망과 함께 지금의 현실이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중요한 지점에 있음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관객이 마지막으로 주목하게 되는 것은 그녀들의 이야기와 목소리가 아니라 소진되어 가는 소녀의 이미지에 담긴 괴물적 능력, 그리고 그 놀라운 능력을 만들어낸 과학의 우월함이며 나아가 굳건한 가부장적 체제 속에서 위태로운 그들의 미래이다.

      • KCI등재

        黃連解毒湯 외용제를 적용한 국내 치험례 고찰

        최민아,김규석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22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5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view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indications of Hwangryunhaedok-tang(HHT) external appli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reatment by analyzing domestic cases applying HHT external treatment except for pharmacopuncture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235 studies published in Korean since 2000 from four domestic database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s(KISS) using keywords such as 'HTT and external use', 'HHT and external agent' 'HHT and wet dressing', or 'HHT and case'. We excluded duplicate papers, papers related to acupuncture including pharmacopuncture, or papers not related to the topic. Results : We selected and analyzed seven case reports. HHT external agent was used alone in one case, as main treatment in two cases, and as adjuvant treatment in four cases. HHT external application was applied to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mainly in the form of wet dressings. Conclusion : HHT external agent may be effective on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when a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tage. Based on this resul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primary clinical indication of HHT external ag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Typific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Strategies of the World TOP 20 Airports

        최민아,이윤철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1

        The importance of the CSR strategies has been increased and progressive studies have been developed for CSR in various industries last five decades. However the CSR studies in aviation industry relatively haven’t been active and the researches have done mainly in CSR reporting analy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provide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TOP 20 airports’ CSR strategies. It is discussed using Comparison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as well as Three-bottom-lines (TBL) based on CSR/sustainability reports of each airport. It is suggested that characteristics of CSR strategies promoted by the world TOP 20 airports be implemented by grou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verage of the strategy. In addition, common points of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ies of the TOP 20 airports over the group were found. Each airport could be divided into diversified airports, intermediate concentrated airports, and highly concentrated airports. This could be applied to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and environment strategy, but it could not be applied to the type of coverage based on the social sector strategy of the airpor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also found. In addition, the biodiversity part is more actively promoted in Europe than in Asia. However, there is no regional feature of the grouping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strategies. It is meaningful to try to analyze and do typification of the airport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for the first time. This means that social responsibility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industry in recent years by discovering the common and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ies promoted by the world's leading airports.

      • KCI등재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 : 상생의 공동체로의 확장을 중심으로

        최민아,이선혜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2

        본 연구는 기후와 생태 환경 변화,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생태 교육의 범위를 자연 생태뿐만 아니라 사회 생태로 확장하여 미술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생태교육의 확장을 위해 ‘생태미술마을 프로젝트’, ‘마을 중심의 대안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연 생태와 단절된 각 지역사회 속에서도 생태 중심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협력적 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생태의 개념을 결합하여 마을에 주목하고 생태의 의미를 사회 생태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생을 위한 공동체적 가치 함양에 기여하는 미술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ecological education to not only natural ecology but also social ecology according to changes in climat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an ecology-centered art education plan that can be used in art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expand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ze cases of the 'Ecological Art Village Project' and 'Village-centered alternativ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suggest a new direction in which eco-centered art education can be achieved even in each community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natural ecology, and cooperate.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co-centered art education that can foster communicative and community competencies. This study combined the concepts of community and ecology to focus on villages and expand the meaning of ecology to social ecology.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ar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ntribute to cultivating community values ​​for coexistence.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최민아,김지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의 최초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이후 전공 변경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시 거주 남녀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10부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동일 응답을 반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9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은 전공 만족, 전공 몰입,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 선택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이나 장래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고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심리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공 만족과 전공 몰입은 전공 변경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과전공 변경 의도 사이에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효과와 연관됨을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실제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 및 몰입 수준을 높이고 전공변경 의도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핵심 변수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전공 및 진로, 미래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술적시사점이 있다. 둘째,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필요성과 대학 경쟁력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소속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파리 오스만 도시정비사업에 의한 근대 도시계획제도 도입 및 발전 연구

        최민아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1

        Haussmann’s renovation project of Paris, begun in 1853 and implemented bythree times, ameliorated urban environment by constructing roads and infrastructures,sterilizing unhygienic blocks, improving urban landscape and reducingurban density. This operation is also significant for enactment of modern regulations,which includes development of urban planning regulations, financial methods andoperating systems. This change invited the new modern era in urbanism. Thereforethis study aims to examine transformations of urban planning institutions causedby implementation of Haussmann’s operations. In Haussmann’s urban renovationoperations, the expropriation of land is used as a tool for fund supply. Architecturaland urban regulations, such as limit of length and height of buildings and controlof facade decoration, are also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urban planning. Asa financial method, bonds are applicated and financial office is created by the city. Haussmann’s renovation projects were proceeded with private capital, in corporationwith private sectors. Operations were conducted by contracts between central andmunicipal governments. Concession of operations is also introduced. These charactersof Haussmann’s projects brought the beginning of modern urban planning. In comparewith precedent studies, concentrated in spatial transformation of Paris, thisresearch is significant through examination of Haussmann’s project as the start ofmodern urban planning institutions, which is similar with implementations of currenturban projects. 1853년부터 3차에 걸쳐 시행된 파리 오스만 사업은 극도로 열악하고 밀집된도시에 대규모 가로정비사업을 중심으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한 의미를 지닌다. 이 사업은 또한 도시의 물리적 정비와 함께 사업추진을 위한근거법령 및 재원조달 방안 마련을 통해 근대적 도시정비사업 시행의 기초를 다진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은 오스만 사업 시행을 위해 도입된 제도를 고찰하고 이의 변화 및 발전을 근대 도시계획의 발달과정으로 검토한다. 오스만 사업에서 가로 개설을 위해 활용된 토지수용제도는 사업 시행 재원 마련의 수단으로사용되었고, 통일되고 웅장한 도시 미관 형성을 위해 건축물의 폭과 높이규제, 세부적 입면장식의 규제가 제도화 되어 도시계획 규제가 최초로 적용되었다. 또한사업재원의 마련을 위해 채권이 도입되고 파리시 내 금융담당기관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재정 마련 기법이 발달하였다. 한편 오스만 사업은 민간자본을 활용하고 매각한 토지를 민간사업자와의 연계를 통해 사업을 추진한 특성을 지닌다. 오스만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파리시는 다양한 사업 시행방식을 활용하였고 중앙정부와 협약, 사업의 양도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도시계획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와같은 제도적 발달로 인해 오스만 사업은 근대적 도시계획사업으로의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도시공간의 변화 및 정비위주로 조명된 오스만 사업을오늘날의 도시정비사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제도에 기반을 둔 근대 도시정비사업으로 고찰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