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이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미영,김지수 한국학교보건학회 2016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ell phone addiction on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adolescents. Methods: The researcher recruited 751 high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skills, cell 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July 14 in 2014 using copies of a structured self 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1.0 IBM program. Results: Of the students, 3.5% reported they were addicted users, and 7.6% reported they were heavy users.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ell phone addiction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the adolescents. However, cell phone addiction mostly affect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the adolescents (β= .24, p<.001). Poor school performance (β= .17, p<.001)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β= .12, p<.05) were also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skills of the adolescents. These variables explained 8.3% of the variance i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the adolesc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ll phone addiction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adolesc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influence of cell phone addiction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adolescents. Therefore, cell phone addiction treat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need to include content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KCI우수등재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최미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써 개발된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2개교의 5학년과 6학년 61명의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사회정서적 유능성 검사도구, 수업 동영상, 학생 활동지, 교사 일지, 학생 인터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사회정서적 지식 수준을 증가시키며, 사회정서적 특성 및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 책임 있는 의사결정의 SEL 핵심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EL이 초등학교 고학년과 청소년들에게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고 그들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장애인의 보건·의료 실태

        최미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보건복지포럼 Vol.153 No.-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들이 사회나 국가에 대한 첫 번째 요구 사항으로 뽑은 것은 의료보장으로 전체의 30.1%가 희망하였다. 기본적으로 장애는 건강과 관련된 문제로 야기되고, 또한 건강하지 않으면 사회 및 경제활동이 더욱 힘들어지기 때문에 장애인은 평생 동안 건강에 대한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후천적인 원인에 의한 장애발생이 90%나 되어 체계적인 의료서비스의 확립은 더욱 절실하다. 이를 위해 2008년에 실시한 장애인 실태조사에 나타난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보건·의료실태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발생을 줄이기 위해 장애예방사업의 강화와 지속적인 재활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증진하기 위해 정기적인 건강검진 실시 및 만성질환 예방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증진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고비용이 드는 치료에 대한 지원 확대, 의료보험 급여항목의 확대 등과 같은 의료보험 제도의 개선과 더불어 의료비 지원사업의 대상자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향후 장애인의 건강 및 재활을 위해 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전문재활병의원의 설치 확대와 장애유형과 장애특성을 고려한 의료특화서비스가 필요하다. 향후 정부는 소득보장뿐만 아니라 장애인 의료보장 등을 우선 과제로 추진하되 장애예방 등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의료적 지원과 서비스의 제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미생간탕(加味生肝湯)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

        최미영,우홍정,김영철,이장훈,Choi, Mi-Young,Woo, Hong-Jung,Kim, Young-Chul,Lee, Jang-Ho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09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0 No.2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isaenggan-tang on high fat diet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hods: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Normal group was fed a solid diet containing 10% fat. The Gamisaenggan-tang (GS) group was fed a solid diet containing 10% fat and Gamisaenggan-tang (90mg/100g body weight). The Control group was fed a solid diet containing 60% fat. The HFD-Gamisaenggan-tang (HFD-GS) group was fed a solid diet containing 60% fat and Gamisaenggan-tang (90mg/100g body weight). Six weeks later, rats body weight, liver weight, serum ALT, GGT, ALP levels were measured. Histological findings (Oil red O staining), hepatic triglyceride, TNF-${\alpha}$, and TGF-${\beta}$ levels in the liver tissue were studied. Results: Average body weight of the HFD-GS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liver weight differences among each group. The GGT levels of the HFD-GS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T or ALP levels among the groups. TNF-${\alpha}$ protein production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was reduced by Gamisaenggan-tang. Greater fat accumulation was observed in the liver tissue of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HFD-GS group, which means the Gamisaenggan-tang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Gamisaenggan-tang can be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linics.

      • KCI등재

        중국 여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소비행동 특징 - 20∼30대 신흥중산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

        최미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을 알아보고 이를 기준으로 세분집단별 구체화된 패션소비행동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수집은 패션제품의 소비가 활발한 20대∼30대 중산층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6주간 상해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개별 인터뷰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300명의 유효 응답치를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의복비 지출 비중이 높은 신흥 중산층 집단으로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가치관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복쇼핑성향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브랜드 과시적 쇼핑성향, 충동적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 유행추구 쇼핑성향, 향유적 쇼핑성향, 합리적 쇼핑성향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의복쇼핑 하위차원에 대한 군집분석결과 합리적 쇼핑성향을 기본 특징으로 향유적 유행추구 집단, 경제적 소비지향 집단, 합리적 유행추구 집단, 적극적 소비향유 집단, 과시적 충동소비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넷째, 5개 세분집단별 활용하는 패션정보원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존 매체를 활용한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의 영향력뿐 아니라 개인적 정보원의 영향력과 온라인 정보원의 영향력이 큰 집단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세분집단 간 쇼핑장소 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패션제품 수용과 관련된 국가이미지,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 구매한 제품에 대한 만족도, 구매의도에 대한 평가는 우호적이었으며, 적극적 소비향유 집단의 태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과시적 충동소비 집단과 향유적 유행추구 집단에서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 아직까지는 이들의 과시적 욕구와 상징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의복쇼핑성향이 다변화된 중국 중산층 여성 소비자들 대상으로 한 마켓의 유효한 세분화 변수임을 검증하였으며, 각 세분집단별 특성을 기준으로 국내 패션기업의 중국 여성복 시장 진출 시 차별화된 세분 마켓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the Chinese female consum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among the middle class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30s on January, 2014 in Shanghai. 30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new middle class consumers with greater spending on clothing expense, who embraced both the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Second,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onsists of six factors; the brand conspicuous shopping orientation, impulsive shopping orientation,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trend-seeking shopping orientation, enjoyable shopping orientation, and rational shopping orientation. Third,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he sub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categorized into 5 groups with a reasonable shopping orientation as the basic characteristic; enjoyable trend pursuing group, economic shopping oriented group, reasonable trend pursuing group, active consumption enjoying group, and conspicious impulsive consumption group.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shopping places. The 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ource was predominant, but the influences of personal source and online source were preferred by large numbers. Fifth, evaluations on the acceptan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positive and the active consumption enjoying group’s attitude was the most favorable. However, the evaluations on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conspicious impulsive-consumption group and enjoyable trend pursuing group. Through this study,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verified as effective segmentation variables for Chinese middle class female consumers and it is expected to g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fferentiated market strategies based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hen Korean apparel companies enter the Chinese women’s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