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판 강박음주갈망척도의 표준화 연구 : 신뢰도와 타당도

        최문종,이은,이병욱,이필구,오병훈,이충헌,남궁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1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 환자에 있어서 갈망은 치료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지만 이에 대한 평가도구들은 매우 주 관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갈망의 강박사고와 행동에 관한 측면을 측정하는 자가 설문지인 강박음주갈망척도(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어판 강박음주갈 망척도를 실시한 뒤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알코올 의존 및 남용의 치료와 연 구에 사용하기 위한 유용성과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외래로 내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척도와 한글로 번안된 강박음주갈망척도를 실시하여 기준 타당도 및 내적 일치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무작위 추출에 의해 환자 들을 항갈망약물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으로 나누었으며 이중 맹검법을 시행하여 약물 투여 이후 8주 동안의 갈 망의 정도를 강박음주갈망척도와 아날로그 척도로 측정하였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척도 점수의 변화와 음주행 동과의 연관성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약물 투여 전 입원 중인 제독이 끝난 알코올 의존 환자 40명에게 1일의 간격을 두고 강박음주갈망척도를 두 번 시행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OCDS 14개 항목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0.8947(Crohnbach’s α계수)로서 문항간의 연관성 과 일치성이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총점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가 0.76(p<0.01)이고 그룹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는 0.86(p<0.01)으로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OCDS의 아날로그 척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상관 분석시 0.52(p<0.05) 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강박사고 소척도의 상관계수가 각각 0.61로서 강박행동 소척도와의 상 관계수(0.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8주 후 각각 음주재발군과 금주군으로 나눈 뒤 8주 동안 두 군간의 강박 음주갈망척도의 변화를 반복변량 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두 군간의 강박음주갈망척도 총점의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 론 : 한국어판 강박음주갈망척도는 원척도와 매우 높은 정신척도적 유사성(psychometric resemblance)을 가진 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음주행동을 반영하였다 Objectives: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the limitation of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is to be used for treatment and research on alcoholism. Methods: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One hundred forty two out-patient alcohol dependence subjects were measured of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craving with this scale. Results:For 142 tested alcoholic subjects, internal consistency among 14 items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8947(Crohnbach’s α). For 40 detoxified alcoholics, test-retest reliability of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76 (correlation coefficient, p<0.01). In 131 alcoholic subjects, validity of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2 with VAS. Especially, correlation coefficient of compulsive sub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61 with VAS. The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hich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alyses of variance during 8 wee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lapse group and the abstinence group. Conclusion: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shows very similar psychometric performance to the original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developed by Anton. The Korean version, therefore, is an useful instrument that reflects characteristic drinking behaviors of alcoholics.

      • KCI등재후보

        기업가의 특성, 기술전략 특성, 환경적 특성이 소프트웨어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문종,류동현,장성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ical performance of software companies.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ed to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technology strategy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ter removing the unsuitable questionnaires, a total of 100 survey data were considered to be analyzed.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s as follows. First, innovation, risk-taking, S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positively influence patent degree. Second, innovation, risk-taking, SW product strategy, market uncertainty positively influence R&D degre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역사회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 탐색

        최문종,최재성,천승호,하영미,양승경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지역사회 거주하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쾌락적 동기, 연령 이였으며, 설명력은 54.4%였다.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들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기기 사용의도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based o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100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from January 2 to January 31, 2020. As a result, the influence the intent to use a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 for the elderly is social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ge. The explaining 54.4% of the variance, it is considere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these factors will be necessary for elderly in the community to promote the intent to use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degree of intent to use and influencing factors of virtual reality device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Yet to Adopt Intelligent Robots for Product Innovation? -A Survey of South Korean Manufacturers

        최문종,임상현,김양석,이충권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6 스마트미디어저널 Vol.5 No.4

        Intelligent robots are being introduced and utilized to create new values in diverse fields such as medicalcare, national defense, education, and manufacturing. However, while the technical aspects of intelligentrobots are spreading, the business side is lacking in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factors affecting product innov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telligent robots in enterprises. Among thesix variables secured from the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framework, only perceived directusefulness and competitive pressur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oduct innovation. The results imply thatthe effects of introducing robot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 from a business perspective.

      • KCI등재

        창업교육 콘텐츠 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조절효과

        최문종,박현선,김상현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2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jobless growth due to the global low-growth trend, interest in start-ups for job creation as a new growth engine is increasing. It is known that those who have received start-up education have a higher will to start a business than those who do not, but most such educa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supplier-centered service provision framework.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ducation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learners, and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content quality on start-up education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n start-up intention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fundamental motives or characteristics for entrepreneurs to achieve their go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professional and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ntents in a timely manner 전 세계적 저성장 기조로 고용 없는 성장 시대가 도래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 인재육성의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창업교육의 중요성 역시 주목받고 있다.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창업에 대한 의지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 창업교육은 기존의 공급자 중심 서비스 제공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교육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창업교육 콘텐츠 품질이 창업교육 효율성과 만족을 통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동기나 특성의 차이에 따라 효율성과 만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적이면서도 차별화되는 교육 콘텐츠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창업교육 기관에 제시하고 창업교육 기관의 콘텐츠 품질 개선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약시교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최문종(Choi, Moon-Jong),하영미(Ha, Yeong-Mi),서영자(Suh, Young-Ja),채여주(Chae, Yeo-joo)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가림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둔 부모에게 약시교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일 대학병원의 소아안과 외래를 방문한 약시아동의 부모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와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 새로운 테크놀러지 준비에 관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위협성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용의도의 차이는 유의한 요인이 없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기를 선택하는 수용의도에 대한 촉진요인으로는 효과성, 장애요인으로는 효과미비, 높은 구매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약시교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약시교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p<.001), 이들에 대한 총 설명력은 21.9%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약시아동의 가림치료에 새로운 IT기술의 접목이 시도될 수 있기를 고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ntion to accept of wearable device for correcting amblyopia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mblyopia who deed occlusion therapy. The subjects were 81 parents of children with amblyopia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pediatric ophthalmology clinic in the university hospita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and children with amblyopia,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threats and perceived confidence of new technology readiness and intention to accept of wearable glass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ion to accep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In order to selection of wearable devices facilitate factor is effectiveness, barriable factors is inefficiency, next high purchase cost. Second, the intention to accept of wearable device for amblyopia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perceived usefulness and confidence.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ccept of wearable device for amblyopia correction, perceived confidence was a significant variable(p<.001), this model could explain 21.9%(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o be able to apply IT technology on the occlusion therapy of amblyopia with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