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교결합형 poly(POEM-co-AMPSLi-co-GMA) 전해질의 합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최다인,류상욱,Choi, Da-In,Ryu, Sang-Woog 한국전기화학회 201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7 No.1

        In this study, crosslinked poly(POEM-co-AMPSLi-co-GMA)s were prepared by epoxy coupling of GMA after radical copolymerization of AMPS, POEM and GMA followed by acid-base titration reaction between sulfonic acid of AMPS and $Li_2CO_3$. It was observed that th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re of POEM was effected by mol% of components and shifted to lower value by lithiation of AMPS group. The ionic conductivity of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GMA but maintained over $1.0{\times}10^{-6}S\;cm^{-1}$ until 16 mol%. Particularly, the self-doped polymer electrolyte with 2 mol% of GMA showed its ionic conductivity as high as $4.08{\times}10^{-6}S\;cm^{-1}$ at room temperature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6 V. In addition, 0.11 MPa of modulus and 270% of elongation were obtained from the free standing film of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AMPS, POEM 및 GMA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AMPS의 술폰산기와 $Li_2CO_3$와의 산염기 반응 및 에폭시기의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가교결합된 poly(POEM-co-AMPSLi-co-GMA)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POEM의 결정융점은 AMPS 및 POEM의 몰분율에 따라 변화되는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리튬이온이 도입된 이후 대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가교된 고분자의 이온전도도는 G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지만, 16 mol%까지는 $1.0{\times}10^{-6}S\;cm^{-1}$ 이상의 값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기-도핑형 전해질임에도 불구하고 2 mol%에서 최대 $4.08{\times}10^{-6}S\;cm^{-1}$의 높은 상온이온전도도가 얻어졌으며, 상온에서 6 V까지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교된 고분자전해질은 필름성형이 가능하며, 0.11 MPa의 탄성계수 및 270%의 변형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명시적 문법 교육의 유용성과 교수방안- Concept-Based 교수법을 활용한 독일어의 격(Kasus)교수를 예시로

        최다인,이미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In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die Rolle der expliziten Grammatikvermittlung im Fremdsprachenunterricht diskutiert. Hierbei wird der Fokus aber nicht auf die Automatisierung gelegt, sondern auf die Kognitivierung. Explizite Grammatikvermittlung soll zielsprachliche grammatische Konzepte für die Lernenden besser nachvollziehbar machen. Da Verstandenes, d.h. analysiertes Wissen in der Sprachverwendung aktiver eingesetzt wird (Edmondson/House 2011), kann explizite Grammatikvermittlung die lernersprachliche Entwicklung fördern. Explizite Grammatikerklärung ist vor allem in solchen Fällen nützlich, in denen die Zielsprache die Lernenden dazu veranlasst, bestimmte Perspektiven einzunehmen, welche in der Muttersprache der Lernenden fehlen oder anders ausgeprägt sind, also in Fällen von Beispielen für „Thinking for Speaking“ von Slobin (1996). Die Konzepte, die sich hinter den Artikeln im Deutschen verbergen, sind für koreanische DaF-Lernende ein solcher Fall von „Thinking for Speaking“, der koreanischen DaF-Lernenden große Lernprobleme bereitet. Die Weglassung des Artikels in zielsprachlichen Äußerungen ist bei koreanischen DaF-Lernenden keine Seltenheit. Ausgehend von diesen Erkenntnissen v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zu zeigen, wie in der Artikelvermittlung für koreanische DaF-Lernende vorgegangen werden kann, so dass die fehlerhafte Auslassung des Artikels in der Sprachverwendung vermieden wird. Hierbei soll zunächst die Funktion des deutschen Artikels zur Markierung des Kasus verdeutlicht werden, der im Koreanischen auch bekannt ist, aber mit anderen sprachlichen Mitteln ausgedrückt wird. Auf diese Weise sollen Artikel nicht ausschließlich im Hinblick auf die zu deklinierenden Formen vermittelt werden, sondern zunächst hinsichtlich ihrer Funktion in Sätzen. Die Vermittlung basiert auf der „Concept-based Instruction“ von Lantolf (2006), der die Kognitivierung durch explizite Grammatikvermittlung zur Wissenskonstruktion bei Fremdsprachenlernenden für zentral hält. 외국어 교육사에서 문법 교육, 즉 언어 현상에 대한 명시적 교수의 필요성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문법을 외국어 수업의 중심 학습 내용으로 보는 문법 중심 교수에서부터 문법을 전혀 다루지 않는 문법 무용론까지, 외국어 교육에서 문법에 대한 시각은 양 극단 사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논의의 흐름을 대표하는 용어들이 영어교육의 맥락에서 대두된 형태 중심 교수법, 의미 중심 교수법, 형태초점 교수법이다. 형태 중심 교수법이 전통적 문법 교수에서와 같이 언어사용의 정확성 측면에 치우쳐 지나치게 언어의 형태적 측면을 강조했다면, 언어사용의 유창성을 강조하는 의미 중심 교수법에서는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간주하고 언어사용능력을 실제 의사소통에서 특히 목표어 입력물을 통해 획득해 나가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 외국어교육에서는 목표어 입력물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형태적인 측면의 학습이 반드시 동반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 중심 교수법의 한계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형태초점 Focus on Form (대표적으로는 Dought/Williams 1998) 교수법이 대두되었다. 이렇게 하여 외국어교육에서는 학습자가 목표어 입력물을 의미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의 attention를 언어의 형태적 측면에도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개발되었다. 즉, 특정한 언어 형태가 어떠한 기능과 결부되어 의사소통에서 의미 전달의 도구로 쓰이는지를 알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 의료 환경 내 가족 참여음악 중재 연구 고찰

        최다인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review Korean-written and English-written studies on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through 2016, using the keywords of music intervention, family caregivers, and specified settings. A total of 43 studies, five Korean-written and 38 English-written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caregivers were the sole participants in five studies (family-only), and caregivers and patients co-participated in 38 studies (family-patient). While diversified types of family participation were included in the English-written studies dating back to the late 1980s, the Korean-written studies were the only ones to include patients as co-participants with their caregivers. Studies with family-only participation tended to be conducted in palliative care units and usually included the spouses of the patients. Meanwhile, studies with family-patient participation tended to be conducted in NICU or cancer units and usually included the parents of the patients. Furthermore, studies with family-only participation tended to apply passive music activities, and those with family-patient participation tended to use active music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baseline data on how family-centered care can be included in music interventions in medical settings in Korea, suggesting future studies to systematically analyze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in terms of diversified patient- and caregiver-related factors.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실시된 의료 환경 내 가족 보호자 대상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고 가족 보호자의 참여 유형에 따라 중재 목표, 음악 중재 내용 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음악 중재와 가족 보호자, 호스피스, 중환자, 소아병동, 재활 등의 세부 의료 환경 등을 검색어로 하여 2016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과정을 통해 국내 연구 5편, 국외 연구 38편의 총 43편을 최종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가족 보호자만 중재에 참여한 논문이 5편, 환자와 가족이 동반 참여한 논문이 38편이었다. 국외에서는 다양화된 형태의 가족 참여 연구가 1980년대 후반부터 시행된 반면, 국내에서는 가족 보호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 연구는 미비하고 환자와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의 연구만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단독 참여 연구는 주로 완화의료 병동에서 진행되었으며, 환자의 배우자가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가족 동반 참여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암병동 등에서 실시되는 비중이 높고, 부모의 참여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족 단독 참여 연구에서는 수동적인 음악 중재가 시행된 경우가 많은 반면, 환자와 보호자가 동반 참여한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음악 중재가 사용되는 비중이 보다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 환경 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가족 중심 돌봄의 개념이 국내 의료 환경 내 음악 중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약물전달시스템 기반의 키토산/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후코이단 나노입자(나노겔) 를 이용한 노화 방지 화장품 개발

        최다인,주민경,박수미,이숙영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3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DDS System을 기반한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키토산/후코이단 나노 입자( CH-γ-CD-Fu (Nanogel))를 포함한 화장품 원료인 MARINAVI-FD를 개발하고 항산화와 보습의 유효성을 입증한 안티에이징 화장품 개발에 목적이 있다. 방법: 생분해성 저분자 키토산, 저분자 후코이단, γ-사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한 나노 입자를 확인하고 사이즈와 분포도 측정을 위해 전자현미경(SEM) 분석과 나노입도분석(DLS)를 통해 확인하였고, CH-γ-CD-Fu (Nanogel)의 in-vitro 유효성 평가를 위해 DPPH와 ABTS 를 통해 확인하였다.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의 MTT assay을 통해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고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통한 보습 효능을 확인하였다. 화장품의 소재 적용을 위해 MARINAVI-FD로 원료화 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고, 4℃, 25℃, 45℃, 60℃의 온도 조건에서 1, 2, 4, 12 주 기간으로 pH의 변화와 분리 및 침전, 변색, 변취를 확인하였다. 인체적용시험은사용 전, 사용 2주 및 4주 후에 Moisture D compact 기기 측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나노입자는 대략 500 nm 부근의 분포도와 나노입자가 안정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효능에서는 DPPH 결과는 후코이단에 비해 CH-γ-CD-Fu (Nanogel)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모든 처리 농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ABTS 결과, 후코이단 보다 H-γ-CD-Fu (Nanogel) 의 ABTS radical 소거능이 더 높게 확인되었다.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에서 H-γ-CD-Fu (Nanogel)은 5,000 μg/mL 의 농도까지 80%이상의 생존률을 보였다. Hyaluronic acid (HA)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200 μg/mL의 농도에서 121.47 ng/mL HA 생성량에 비해 H-γ -CD-Fu (Nanogel)이 194.87 ng/mL으로 더 높은 HA 생성량을 보였다. 안티에이징 화장품의 각 온도 조건과 일정 기간 동안 스킨과 크림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피부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피부 2.5 mm 깊이의 보습 효과 결과는 사용 전에 비해 4주 후 시점에서 사용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키토산/후코이단 나노입자; CH-γ-CD-Fu (Nanogel)를 활용하여 이를 포함한 MARINAVI-FD 소재화하여 안티에이징 화장품 개발에 있으며 이는 보다 효율적으로 후코이단을 피부에 안정적으로 유효성을 전달하여 피부의 2.5 mm 깊이에서 보습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M한A RINAVI-FD 는 특정 제형에 한정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료임을 시사 한다

      • 다중 분할 KNSB 고체추진제의 추력 변화 특성의 실험적 연구

        최다운(Da Un CHOI),박정호(Jung Ho PARK),홍정구(Jung Goo HONG) 한국추진공학회 201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는 고체추진제를 분할하여 초기연소면적 변화에 따른 SRM(고체로켓모터)의 추력비교에 초점을 두었다. SRM은 LRE(액체로켓엔진)에 비해 비추력이 낮고, 추력의 제어가 어렵다. 하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가 저렴하여 소형로켓에 많이 사용된다. 소형로켓은 초기 추력이 크고, 이에 도달하는 연소시간이 짧은 추력 특성을 가진 고체 추진제가 필요하다. 이에 고체 추진제를 길이 방향으로 등분하여 실험한 결과 일체형보다는 4등분의 고체연료에서 높은 초기 추력과 짧은 연소시간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형로켓에 적합한 추력 곡선 또한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rust comparison of solid rocket motor(SRM) which depending on changing initial burning area by dividing solid propellant. The SRM is not easy to adjust the thrust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fuel flow control and it is less than liquid rocket engine(LRE) for earning high thrust. But it is usually used in model rocket. Because it has reasonable price and is easy to make. The model rocket needs SRM that has short burning time and high initial thrust. For this purpo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most adequate thrust curve by giving changes in the propellant longitude and we can find the propellant with 4 segments has a hugh thrust within a very short burning time compared to that of one segment.

      • KCI등재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최다진 ( Choi¸ Dajin ),임선희 ( Lim¸ Sunhee ),김주연 ( Kim¸ Ju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세계 명품시장 규모는 이미 거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패션 상품의 수입 자유화 조치로 럭셔리 시장이 급성장하였다. 한국의 럭셔리 브랜드 시장의 잠재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럭셔리 브랜드 시장은 신규 브랜드 런칭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신규 개발의 마케팅 비용의 절감 등의 장점을 내세워 새로운 산업으로 브랜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럭셔리 브랜드가 비즈니스를 확장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을 연구하여 향후 브랜드 확장 시 다양한 활용 방법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럭셔리 브랜드 확장과 공간 아이덴티티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각각의 특성은 매개 되어 럭셔리 브랜드 확장 전략 모형으로 나타난다. 이후 동일 범위 외 새로운 카테고리 범주까지 확장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 해외 럭셔리 브랜드 3가지 대상을 선정한 후 앞서 나온 특성과 확장 전략을 기준으로 도표를 작성 및 사례분석 하여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공간아이덴티티는 럭셔리 브랜드 확장의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공간 아이덴티티의 표현과 연계되어 나타나는 공간 특성과 브랜드 확장요인의 특성을 접합 시켜 전략을 이끌어냈다. 공간 아이덴티티를 통한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의 전략으로 신뢰적 경험성, 전형적 시각성, 일관적 상징성, 유사적 연계성, 적합적 확충성 이러한 다섯 가지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을 통한 결과로 1)공간 아이덴티티의 전략이 사용된 순서로는 적합적 확충성 > 전형적 시각성 > 일관적 상징성 > 유사적 연계성 > 신뢰적 경험성 순으로 나타났다. 2)일관적 상징성은 전형적 시각성과 유사적 연계성의 표현요소 항목 중복으로 전략간 상호영향을 받는 형상을 보였다. 3)일관적 상징성과 유사적 연계성은 관계성 깊은 전략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1)모 브랜드의 가치에 부합하는 적합한 범위의 공간 유형 확장으로 브랜드를 확충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높은 비중의 긍정적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모 브랜드의 목적과 가치에 맞게 연계된 전략을 구성하여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한다면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3)확장 브랜드 간 매장의 동일한 무드의 연출은 브랜드 확장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이에 부분적 럭셔리 프리미엄 브랜드 사례분석으로 한정된 범위 존재 가능성의 부족한 점이 있지만 본 논문을 기반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분석과 럭셔리 하위 브랜드 비즈니스 확장을 포함한 상세한 비즈니스 전략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luxury goods market size has already become gigantic, domestic luxury market has rapidly grown due to the import liberalization of fashion goods. At this moment, as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Korean luxury brand market is increasing, luxury brand market is attempting to have a brand extension, utilizing their strength such as marketing cost reduction of new development, reducing risks of new brand launching. This research aims for the suggestions: the space identity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a brand extension, and giving required space identity strategy for a business extension.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Each characteristic is drawn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ior research of the expansion of luxury brands and study of the space identity. And it is represented as a luxury brand expansion strategy model via each derived characteristic. Since then, selecting three foreign luxury brands that have tended to expand into new category out of same range, consider luxury brand’s space identity strategy for business expansion by charting and analyzing cases. (Results) Focusing on the thing that spatial identity has a positive impact on luxury brand expansion, it is able to draw a strategy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of brand expansion that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expression of spatial identity. Through the strategy of expanding luxury brand business through spatial identity, the five strategies could be derived: reliable-experience, intensive-visuality, significant-symbolism, associative-connectivity, and positional-distinction.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1)The sequence that using the strategy of the space identity is revealed in the order of Positional-distinction > Intensive-visuality > Significant-symbolism > Associative-connectivity > Reliable-experience. 2)it seems that Significant-symbolism showed a structure that was mutually affected between strategies Intensive-visuality and Associative-connectivity due to overlapping expression factors. 3)it seems that Significant-symbolism and Associative-connectivity were highly related strategies. (Conclusions) The takeaway of this research are 1)Delivering it to customers that expanding the brand by broadening the appropriate range of space types that meet the value of the parent brand is used as a high-weight positive strategy. 2)If you apply the identity of space by constructing a strategy linked to the purpose and value of the parent brand, it has a positive impact on luxury brand business expansion. 3)The directing of same mood between the expanding brand’s stores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expansion evaluation. Although there was a lack the possibility of a limited range of existence based on partial case analysis of luxury premium brands, is hoped that additional business strategy studies will be conducted, including analysis of various brands and expansion of luxury sub-brand businesses, based o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