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OCs 학습환경에서의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 기반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정보에 대한 시각화 방안 탐색

        차현진,박태정,이가영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MOOCs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개발된 학습분석학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에게 적응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대쉬보드(Dashboard) 설계 및 개발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시각화 및 학습분석학에 대한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해 MOOCs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Learning Dashboard 설계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쉬보드(Dashboard) 설계 전략은 Zimmerman과 Martinex-Pons(1986)의 자기조절학습전략(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연구를 토대로 차현진, 박태정(2013)이 제시한 MOOCs를 포함한 공개교육자원(OER)을 위한 자기조절 학습 영역에서 수집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습분석학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10개 영역에 15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분석된 10개 영역의 15개 시각화 전략을 통합적인 정보 구성 형태로 MOOCs 환경에 학습자 적응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으로 대쉬보드(Dashboard)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OOCs 환경에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학습분석학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정보를 어떻게 시각화하여 제공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학습자용 대쉬보드에 대한 향후 사용성 평가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습분석학의 정보를 시각화하려는 시도를 통해 학습자들의 분석 정보 제시의 유용성, 감성,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촛불시위 참여자의 동학: 정치적 기회 구조를 중심으로

        차현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3 韓國 政治 硏究 Vol.32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ince 2004. While existing literature on candlelight protests tends to analyze the causes of candlelight protests at macro-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candlelight protestors at micro-level,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a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 and a nonparticipant at micro-level while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is research asserts that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nd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re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affect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s.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ffect the cost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impacts on the benefit from protesting. The impact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n the protest participation vary depending on the voter type.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and swing voters protesting decreased as police arrested protestors or suppressed protests. Also,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in that the increase of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ffected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to protest more than it would affect the likelihood of swing voters to protest. As this paper evaluates a series of multiple candlelight protests and proposes a multilevel framework, the paper overcomes the limits of existing literature that studied candlelight protests from a single level.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에 등장한 촛불시위 참여자들의 특성이 어떻게변화했는지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가 거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발생원인을 분석하거나 미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분석한 것과는 달리 이 연구는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양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 가운데 시위에 대한 경찰의대응과 진보정당의 의석분포에 주목하여 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이 촛불시위 참여의 비용에 영향을 미치고 진보정당의 의석 분포는 촛불시위 참여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영향은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 즉 투표자 유형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시위 현장에서 경찰이 시위 참여자를 연행하거나 물리적 폭력을 행사한 정도가 높을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감소하고 진보정당의 의석분포가 증가할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가설의 예측대로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은 두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여러 차례 발생한 촛불시위를 통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여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시수준의요인뿐 아니라 거시수준의 정치적 기회 구조요인이 작용하였음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차현진,고영미,김종훈,변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에 위치한 신입생 1,492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9일 부터 3월 13일 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체변인들 간의 구조 및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숙달목표, 수행접근 목표, 수행회피 목표)은 셀프리더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취목표동기 하위요인 중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지향성은 셀프리더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목표 지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을 매개하여 셀프리더십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수행접근 지향성은 자기조절을 매개로 셀프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수행회피는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을 부적 매개로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지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의 내적/외적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과제 난이도 뿐 아니라 자기 관리와 전략을 활용한 자기조절력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과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통화정책 집행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車顯辰 한국금융연구원 2003 韓國經濟의 分析 Vol.9 No.3

        통화정책의 운용목표, 중앙은행 예금 및 대출제도 및 공개시장조작 방식 등은 통화정책 집행구조를 구성하는 요인으로서 상호 조화를 이루는 것이 통화정책의 효율성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5월부터 1일물 콜금리가 공식적인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로 채택되어 매월 그 목표수준이 발표되고 있으나 통화정책 집행구조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현행 통화정책 운용방식은 미국의 사례를 참조한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금융구조 및 중앙은행 예금ㆍ대출제도는 미국과 상당히 다르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운용목표의 준수는 훨씬 강조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우리나라의 콜시장에서는 투신사 및 카드사 등 지준의무가 없고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에도 참다하지 않는 기관들이 콜시장에서 전체거래의 70%이상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1일물 콜금리 관리에 태생적인(이론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둘째 비은행 금융기관이 은행을 상대로 콜론을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요구불예금과 아무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 거래에 대해서는 지준 및 금리규제 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지준 및 금리규제 정책의 유효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셋째 제2금융권 금융기관들이 거래은행으로부터의 차입한도를 초과하는 영업자금을 콜시장에서 무담보로 조달하는 데 별다른 제약이 없다. 따라서 이들 기관들의 만성적인 무담보 콜차입 때문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크다. 넷째 콜금리 목표수준 준수를 위해 수종적 통화관리가 실기됨으로써 기일물은행간 시장(term interbank marker)의 발전이 지연되고 있다. 즉 은행권 전체의 지준과부족을 한국은행이 항상 사후적으로 해결해 주교 있는데, 이와 같은 수동적 통화관리에 의해 은행들은 동업자간 기일물 자금거래 유인(incentive)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금융권별 콜거래 금리가 사실상 고정되어 있어 정보변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고 콜금리의 자원배분기능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모든 시장참가자들의 평균 콜금리는 시중자금사정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즉 콜시장에서 자금사정이 어려워지면 금리수준이 낮은 국내은행간 거래비중이 높아지면서 평균 콜금리가 하락하고 자금사장이 개선되면 외은지점 및 제2금융권의 고금리 거래비중이 확대되면서 평균금리가 상승한다. 여섯째 외환거래가 자유화된 상태에서 콜금리의 변동성만 지나치게 억제됨에 따라 개방경제 하에서의 금융시장 충격이 금리ㆍ환율 재정거래를통해 환율변동 압력으로만 집중 표출된다. 그 결과 외환당국의 시장개입(market intervention)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은행에 대한 제2금융권의 콜론을 포함하여 대고객 RP, 금융채 및 은행신탁차 등 유사 예금에 대해 지준의무를 부여하는 등 지준제도를 전면적ㆍ체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제2금융권의 콜론에 지준의무가 적용되면 콜시장은 자연스럽게 은행권 중심의 지준조절시장이 될 것이다. 둘째 벌칙성 예금 및 대출제도인 통화안정계정과 일시부족자금대출 제도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동 제도가 활성화될 경우 단기금리의 상하한선이 분명해짐에 따라 정보변수로서 콜금리의 성격을 해지치 않으면서도 변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수동적인 공개시장조작을 탈피하여 선제적 통화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를 콜금리에서 한국은행의 RP거래금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 RP거래 금리는 통제성 및 목표준수 가능성 면에서 콜금리보다 훨씬 우월하며, 동 RP금리가 운용목표가 될 경우 콜금리는 주식ㆍ채권ㆍ외환 등 주요 금융시장에서의 자금사정 및 금리기대를 반영하는 정보변수로서의 성격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정부부문 및 현금통화 등 외생적 지준변동요인(autonomous factors)에 대한 예측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우선 정부부문에 대해서는 정부의 모든 재정집행 계획을 최소 24시간이전에 한국은행에 통보토록 하는 한편 현재의 국고집중제도를 다소 완화하여 세출입으로 인한 지준변동폭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현금통화에 대해서는 미국과 같이 지준계산기간과 적립기간을 일치시킴으로써 은행들의 지준관리에 편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신기술ㆍ트렌드의 국내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촉진 및 방해 요인 분석

        차현진,박태정,계보경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미래교육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 신기술 및 트렌드가 국내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촉 진 요인과 방해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된 20개 신기술 트렌드 에 대하여, 총 24명의 연구, 정책, 학교 및 기업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촉진요인과 방해요인에 대한 개방형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콘텐츠의 효과성과 기술 의 성숙도가 가장 주요한 촉진요인이자 방해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방법에서의 혁신적 이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 기술의 성숙도를 비롯한 기술의 대중화와 보편성 확대가 주요한 촉진요인으로 드러났다. 반면, 윤리적 측면에서의 부작용이나 개인정보 보호, 제도적 측면 에서의 낮은 부합성이나 불충분한 검증, 교육 환경 측면에서의 네트워크 및 인프라 환경 미비 등이 주요한 신기 술 및 트렌드의 저해요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ilitating and conflicting factors on the emerging technologies and trends predicted to impact future education in Korea. To do this, open online questionnaires on 20 emerging technologies and trends derived from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ere completed by 24 experts in research, policy, schools, and corporate fields, and a content analysis of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and the maturity of technology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s and obstacles. In addition,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tivation, and the maturity and popularity of technology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ilitating factors. On the other hand, health problems and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in ethical aspects, the lac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poor networks and infrastructures in terms of education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the main impeding factors of emerging technologies and trends.

      • KCI등재

        초·중등 현직 교원의 스크래치 활용 교수자료 개발에 대한 경험 분석: ASSURE 모형 기반

        차현진,이경숙,Cha, Hyeon-Jin,Lee, Gyeong-Suk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ICT 활용 교수법의 일환으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후,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교수 매체 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현직 교사들이 자신의 교과에 프로그래밍을 활용하는 목적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 및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교과의 학습 목표와 방법에 따라 교수 설계를 시행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크래치 활용 교수 매체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9년 2학기 K대학의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초·중등 현직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교사 10명은 스크래치 교육 후 최종 과제로 수행된 ASSURE 모형 기반 교수 설계와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 참여를 촉진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이끄는 데 스크래치 활용 수업 매체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뿐 아니라 예비 교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ructional media by using Scratch for in-service teachers, after they participated in programming education with Scratch conducted as part of teaching methods using ICT.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service teachers' thoughts and experiences of the objectives and methods integrated the programming education into their subjects creatively and convergently. To achieve the objective, they conducted an instructional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ir subject's learning goals and methods on the framework of the ASSURE model. Then, they conducted a project to develop instructional media with Scratch as part of the instructional design. 10 in-service teachers who attend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eachers showed positive expectation that the use of media developed by Scratch could bring significant results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and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to lead learner-centered class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n programming 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f prospective teacher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tools to promot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classroom teaching

        차현진,안미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icit design guidelines for a teacher tool to support students’ diverse needs by facilitat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s (DIs). The study used a framework based on activity theory and principles from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 for the research methods, design-based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and as the first step, this study selected and interviewed four teachers and five community members. As a result, it identified facilitating and conflicting factors in practicing DI and analyzing the activity system in teaching for DI. From this analysis, specific user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as blueprints for the design of new tools as mediating strategies. Furthermore, the findings helped establish five design guidelines for teacher tools to encourage DI practic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a teacher application as a mediating tool, which will facilitate DI practice by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eachers’ need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in DI activities. It also presents a methodology for eliciting users’ requirements as the first step of design-based research to leads to innovations embodied in specific theoretical claims.

      • KCI등재

        초ㆍ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증거기반의 교육정책을 위해, 전국단위의 진단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 스템을 구축·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국 단위 초·중생이 활용하고 있는 진단평가관리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도울 수 있는 휴리스틱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ielsen의 기본 휴리스틱스를 비롯하여 교 육적 목적에 종속적으로 개발된 휴리스틱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사시스템인 진단·보정학습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휴리스틱스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에 의해 2 회의 타당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정·보완되었고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 맥락에서 사용성 평가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관계자(교사 등)와 학생들이 활용하는 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 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pa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ollect nationwide data has been implemented and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euristics to help to improve usability of such systems, which are utilized by primary and middl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nationwide. To achieve the objectiv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in the educational contexts as well as basic heuristics from Nielsen were reviewed, and usability problems of the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system being currently utilized, as a sample system, were analyzed. Then, the first version of heuristic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heuristics were validated and revised through 2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15 exper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with preparing foundations on improving usability of such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utilized by school community at the nationwide i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초·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Cha, Hyunjin,Hwang, YunJa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증거기반의 교육정책을 위해, 전국단위의 진단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국 단위 초 중생이 활용하고 있는 진단평가관리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도울 수 있는 휴리스틱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ielsen의 기본 휴리스틱스를 비롯하여 교육적 목적에 종속적으로 개발된 휴리스틱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사시스템인 진단 보정학습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휴리스틱스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에 의해 2회의 타당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정 보완되었고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 맥락에서 사용성 평가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관계자(교사 등)와 학생들이 활용하는 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pa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ollect nationwide data has been implemented and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euristics to help to improve usability of such systems, which are utilized by primary and middl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nationwide. To achieve the objectiv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in the educational contexts as well as basic heuristics from Nielsen were reviewed, and usability problems of the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system being currently utilized, as a sample system, were analyzed. Then, the first version of heuristic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heuristics were validated and revised through 2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15 exper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with preparing foundations on improving usability of such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utilized by school community at the nationwide i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을 중심으로

        차현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in 2016-17. This research argues that voter’s voting frequency and patterns of voting choices affec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2016-17 candlelight protests. Firs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protests increases as an individual’s voting frequency becomes higher. This is because protesting and voting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e goals of the candlelight protests deal with the important political issue. Second, a voter type which is classified by an individual’s voting consistency and a supporting party’s political ideology affects the likelihood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A voter’s supporting party affects whether or not the voter is motivated to participate in a candlelight protest, and the consistency of voting choices affects how intensive the voter’s motivation for the protest participation will be. Thus, core liberal voters are most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core conservative voters are the least likely to protest. Swing voters are found in the middle,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conservative voters would, and less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liberals would.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e patterns of voters’ voting choices affect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tion in 2016-17. This research tries to connect electoral studies with contentious politics by suggesting voting choices in consecutive election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protesto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ti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sanship. 본 논문의 목적은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유권자의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이 촛불시위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첫째, 투표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는 시위와 투표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이고, 2016-17년 촛불시위가 현직 대통령 탄핵 요구라는 중요한 정치적 사안을 다뤘기 때문이다. 둘째, 투표 선택의 일관성과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에 의해 구분된 투표자 유형에 따라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 이때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은 유권자가 촛불시위에 참여할 동기 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투표 선택의 일관성은 촛불시위 참여동기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진보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낮다. 그리고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은 두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 사이에 위치할 것이다. 경험 분석을 통하여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이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은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으로 연속된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을 제시하며 그동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온 투표연구와 시위연구를 연계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분석과는 달리 촛불시위 참여자들이 여전히 당파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