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에 대하여 -불화의 미학과 탈경계적 정치학-

        진은영 ( Eun Young J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미학적 정치성을 조명하는 데 있다. 김수영이 추구하는 문학은 삶의 낡은 관습이라는 뜻에서의 에토스와 불화할 뿐만 아니라 삶의 새로운 감성적 가능성을 창조하고 그것을 삶 일반의 영역으로 확산시켜가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사유는 최근 정치와 미학에 대한 독특한 관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랑시에르(J. Ranciere)의 문제의식을 선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랑시에르는 `정치적인 것`을 세계를 감성적으로 재분배하는 활동으로 규정한다. 이 점에서 중요한 감성적 재분배 활동의 하나인 문학은 필연적으로 정치성을 지닌다. 김수영의 `시 무용론(無用論)`이 보여주듯 문학은 감정적 재분배 활동의 이중적 계기인 자율성과 타율성의 긴장 속에서 운동해야 한다. 그의 시론은 문학이란 그 긴장을 해소하지 않고 세계와의 불화 속에서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를 횡단하는 탈경계적 활동을 수행하는 것임을 강조하면서 순수/참여의 구분을 넘어서는 새로운 미학적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politics of aesthetics in Kim Su Young`s literature. Kim Su Young pursues the literature that dissents from ethos as old conventions, creates new possibilities of the sensible and distributes them into the various domains of life. His idea as such can be regarded as a preoccupation of Jacques Ranciere`s unique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to which we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Ranciere defines `the political(le politique)` as aesthetic activities to redistribute the world. In this regard, literature has to move in the tension between autonomy and heteronomy, two moments of aesthetic activities of redistribution. Kim Su Young`s poetics emphasizes that literature has to move across the border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t shows that the new aesthetical politics can overcome the problem of dualism of purity vs.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문학상담에 대한 몇가지 단상

        진은영 ( Eun Young Jin ) 영미문학연구회 2014 안과 밖 Vol.0 No.36

        Literary counseling is the practice of restructuring self narratives and reflecting on oneself through the receptive component of Bibliotherapy and the expressive component of Poetry Therapy. In the past, literature was defined primarily as poiesis or the act of evaluating value by assessing the end result. However, literature can also be defined as praxis, a process that accrues meaning in itself. This new definition is based on Hanna Arendt`s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action.” Literary counseling combines Arendt`s definition of literature as praxis and Irvin D. Yalom`s theory of counseling. Counseling in literary counseling is more than the expression of support and sympathy for the subject in pain. literary counseling seeks to prod the client to search for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problems he or she is experiencing. As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work together, they attempt to confront the existential condition with courage and recogniz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hat gave rise to the problems. Reading of literary texts plays a key role in this process of confrontation and recognition. The client can then attempt to restructure his or her Self by giving metaphorical expression to the Self and the problems. The performativity of literary expression can result in the metamorphosis of the subject. This involves not only writing but the sharing of writing, the giving of feedback either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or between clients (in the case of group therapy). Literary counseling prompts pained subjects to actively express themselves and relate with others, allowing them to make themselves visible and in this process realizing literary democracy.

      • KCI등재후보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살생각과 분노표현양상 비교

        진은영 ( Eun Young Chin ),고성희 ( Sung Hee Ko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지역과 세계 Vol.36 No.2

        본 연구는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살생각과 분노표현양상의 정 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0년 4월 1 일부터 4월 30일까지, J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여 재가노인 과 시설노인 2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의 정도와 분노표현양상은 재가노인과 시설노인 간에 차이가 있었다. 즉, 시설노인의 자살생각과 분노표현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27, P=.003). 재가노인의 분노표현양상은 여성인 경 우(t=-2.20, P=.030)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F=7.08, P=.001),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분노표현양상이 더 높았다(F=3.17, P=.046). 재가노인의 자살생각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t=-2.76, P=.007) 와 가족 자살력이 있는 경우에 더 높았고(t=-3.56, P=.001), 시설노인 의 자살생각은 경제수준에 만족하지 못하고(F=3.53, P=.033),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자살생각이 더 높았다(F=3.58, P=.031). 시설노인의 분노표현양상은 종교가 없는 경우(t=2.20, P=.030), 유병질환이 있는 경우(F=4.59, P=.012),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분노표현양상이 더 높았다(F=21.83, P<.001). 따라서, 재가에 있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여성노인과 시설에 있는 신체 및 정신 질환이 있으면서 약물을 복용 하며 종교가 없는 노인은 분노조절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배우자 가 없으며 가족 자살력이 있는 재가노인과 경제수준에 불만족하고 약물을 복용하는 시설노인은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중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to examine and to compare the levels of anger and suicidal ideati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at their homes and the elderly living in institutions. Method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231 elders who were 65 years old or more: 112 from one community and 119 from four institu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community-living elders reported higher scores of anger and suicidal ideation than elders in institu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anger and suicidal ide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mmunity-living elders, but it was weak, while significant, in institutionalized elders(r=.27). Anger was higher if they were community-living female elders with poor perception of health, and if they were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co-morbidities, medicines to take, and no religion. Suicidal ideation was higher if they were community-living elders with familial history of suicide and no spouse, and if they were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medicines to take and dissatisfaction with their economic statu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lde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anger and suicidal ideation depending on their living status. It is require to consider those characteristics when they develop interventions specifically to manage elders` anger and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 정도간의 관계

        진은영(Eun-Young Chin),서영미(Young-Mi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 정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고등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2011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SPSS Win/17.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과 분노표현 및 자살생각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분노표현과 자살생각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게 나타났고 친구관계도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의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영향 주는 주요인으로 인터넷 사용시간과 분노표현 변수가 총 29.0%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건전한 인터넷 활용을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좋은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대인관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anger, suicidal idea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get the data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191 subject were selected from 1th to 30th of April,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17.0.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icidal ideation, anger and internet addiction. Internet use hour and anger explained 29.0% of variance for internet addi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should be need to prevent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와 정치: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

        진은영(Jin Eun-young)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문학은 윤리에 대립함으로써 감각적 자율성을 지닌 미학의 정치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랑시에르의 주장은 최근 ‘문학과 정치’ 담론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기성의 감각적 분배 방식을 고수하는 습속의 윤리(ethos)와 그 분배 방식을 파열하고 침입하는 모럴(moral)을 대비시킴으로써 랑시에르는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그에 따르면 미학적 아방가르드 시인이 시인적 모럴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실험을 수행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실험적 문학이든 현실참여적 문학이든 삶과 타자가 가하는 제한 속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수행을 통해 양자는 문학의 고유한 경계를 넘어서 기성의 분배 방식에 침입하며 (‘미학적 자율성’) 삶의 새로운 형식이 됨으로써 삶에 침입한다(‘미학적 타율성’). 바로 이 점에서 시인의 모럴은 침입자의 모럴이며, 미학적 자율성만을 옹호하는 ‘숭고의 미학’과 달리 문학의 삶-되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침입의 모럴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시 창작 과정에는 이중의 시작(始作)이 존재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시에는 바디우가 말라르메의 표현을 인용하여 강조한 바와 같이 ‘모든 필기구를 벗어난’ 시작이 있다. 그것은 작품이 읽히는 시 · 공간과 감응하면서 하나의 문학적 사건을 발생시키는 시작이다. 여기서 시는 시인의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는 필기구로 쓰여지기 전부터 시인의 모든 삶의 경험 속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시작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중의 시작은 미학의 정치를 이해하는 관건이 된다. 미학의 정치를 위한 아방가르드 시인의 모럴은 시인의 현실참여로 환원되지 않지만 그와 무관하거나 그것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 감각적 파열과 발명을 가져오는 사회적 ·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참여는 미학의 정치를 실현하는 시 창작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문학적인 방식의 현실참여 활동은 그 자체로 미학의 정치를 실현할 가능성을 지닌다. The politics of aesthetics argued by Ranci?r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ecent discour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e argues that literature should involve the politics of aesthetics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sensible. Ranci?re offers a new understanding on the moral of the aesthetic avant-garde, contrasting it with the conventional ethos insisting on the existing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ccording to him, the aesthetic avant-garde poet should not only conduct literary experiments. Literature should be produced within the restrictions imposed by life and others, whether it is experimental literature or participative. It thereby intrudes on existing distribution, going beyond the intrinsic bounds of literature(‘aesthetic autonomy’), and intrudes on life, becoming a new form of life(‘aesthetic heteronomy’). Therefore the moral of the poet is that of the intruder that doesn't refuse art’s becoming-life unlike ‘the aesthetic of the sublime’ advocating only aesthetic autonomy. To understand fully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of the intruder, we should realize that there is a double beginn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First, there is a beginning ‘‘set free of any scribe's apparatus’’ in Mallarm?’s words that Badiou quotes. The beginning generates a literary event responding to time and space in which we read literary works. Poetry can not be reduced to poet’s experiences. However there is the other beginning in that poetry has already begun to be in all experiences of the poet’s life before it is written with any scribe’s apparatus. This double beginning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moral of the avant-garde poet for the politics of aesthetics can not be reduced to the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but even so, it is not unrelated to the participation, and neither prohibit the participation. The participation in social-political events, bringing about the ruptures and inventions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can be a moment of writing poetry realiz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and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performed literarily as such has a possibility to realize it.

      • KCI등재

        감응(Affect)과 유머의 정치학

        진은영 ( Eun Young Ji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시대와 철학 Vol.18 No.2

        스피노자에 따르면 공동체 구성의 실제적 계기를 이루는 것은 정서적 감응(Affect)이다. 감응은 정신과 신체의 이행활동으로서 기쁨과 슬픔의 두 방향을 갖는다. 기쁨의 감응은 우리의 능력을 증대시키는 이행활동이며, 슬픔의 감응은 우리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이행활동이다. 코뮨은 기쁨의 감응의 하나인 능동적 구성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체이다. 능동적 구성활동이란 원인에 대한 명석판명한 관념을 갖는 것으로, 이것은 단지 원인을 인식하는 문제가 아니라 스스로 내부적 원인이 되는 능동적 실천의 문제이다. 내부적 원인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슬픔의 감응의 일종인 공포로부터 벗어나야만 한다. 유머는 공포의 가장 효과적인 해독제로서, 처벌의 사소함을 환기시킴으로써 코뮨의 능동적 활동을 극대화한다. 따라서 코뮨적 감응의 중요한 원리 중 하나가 유머이다. 그것은 자기를 타자화할 수 있는 태도이며, 실패의 사례들 앞에서도 부단히 코뮨의 구성활동을 반복할 수 있는 능동적 능력이다. The notion of affect is claimed by Spinoza to constitute an actual moment to construct a community. The affect is the passage of mind and body. Joy and sadness is the most basic affects which other passions are bifurcated into. The affect of joy increases our power whereas that of sadness decreases it. What composes commune is the practice of an active construction as the affect of joy. The practice denotes to possess a clear and distinct ideas of a cause, which is not a matter of recognizing a cause but that of making oneself an internal cause of an practice. In order to be an internal cause, most of all, one ought to be unrestrained by the fear, a kind of sadness. Humor, as the most efficacious antidote to fear, maximizes the power of active activities by virtue of underscoring the triviality of punishment. Thus, humor comes to be a crucial principle of communal affect. Humor is an attitude to objectify oneself, and also a power that repeat the constructing practices of a commune despite the preceding cases of failure.

      • KCI우수등재

        다문화주의와 급진적 인권

        진은영(Eun-Young Jin)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5

        다문화주의는 세계화에 따라 동장한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을 하나의 윤리적ㆍ정치적 원리로 제안한다. 다문화주의는 1970년대 다민족 국가인 캐나다의 정책으로 제기된 이래 테일러와 킴리카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교화되었다. 다문화주의는 후기 자본주의의 시장 이데올로기와 노동 통제 전략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철학적 맥락에서는 개인과 공동제의 관계 및 공동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려는 시도이다. 다문회주의자는 아무리 소수 집단의 문화라 할지라도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입장은 문화를 고정된 것으로 전제하고 문화 내적 갈등을 무시함으로써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고 전체주의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할 위험성이 있다. 이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여성주의의 비판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다문화주의는 갈등과 투쟁의 모델과 열린 주체의 형성을 강조하는 개방적인 급진적 인권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그 한계를 극복하고 민주주의적으로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Multiculturalism maintains that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is one of the key ethical and political principl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its appearance in the multi-racial country of Canada in the 1970s, multiculturalism has been elaborately theorized by scholars such as Charles Taylor and Will Kymlicka. Although it is used as both a market ideology and a labor control strategy in post-capitalism,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it is an attempt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as well as those between communities. Advocates of multiculturalism argue that we must respect any culture of minority groups, for such respe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individual identity. Yet this respect has within it a danger in that it may violate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function as a totalistic ideology, assuming culture to be a fixed entity and disregarding the various conflicts within a culture. These problems are revealed specifically by a feminist criticism of the concept. I argue that such problems with multiculturalism can be solved by introducing the model of conflicts and struggles together with the notion of radical human rights, an idea tha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open subjects. The result is a model of cultural critique that can function democratically.

      • KCI등재

        니체에서의 영원성(永遠性)의 긍정적 양식

        진은영(Eun Young Jin) 철학연구회 2002 哲學硏究 Vol.58 No.-

        니체는 서구 역사를 통해 나타나는 니힐리즘과 그 귀결인 근대 문화에 대한 치유책을 `불멸성`을 추구한 희랍인들에게서 발견한다. 불멸성은 니힐리즘적인 기독교적 `영원성`에 대립하는 것으로, 희랍인들은 현실세계의 배후 혹은 심층에 본질과 목적이 존재한다고 상정하는 대신 현실세계의 표면과 표층성에 관심을 두고서 폴리스에서의 삶을 통해 불멸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불멸성의 추구는 다시금 니힐리즘적 정조로 빠져들기 쉬운 허약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 니체는 `영원희귀` 개념을 통해 기독교적 영원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차원의 영원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원회귀 사상은 니체의 후기 저작 속에서 시적(詩的)인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지만, 초기의 문헌학적 저술들 속에서 이미 발아되기 시작하였다. 니체는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생성의 철학을 구상했던 것이다: 생성의 철학은 `차이`와 `차이의 차이나는 반복`을 통해 수립된다. 이것은 모든 종류의 인간학적 특권을 제거함으로써 우리가 새로운 영원성의 지평과 그에 따르는 윤리학적 지평을 획득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 KCI등재

        논문 : 기억과 망각의 아고니즘 -기억의 정치학을 위한 철학적 예비고찰-

        진은영 ( Eun Young Ji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1

        본 논문은 20세기 이후의 현대사에서 양산된 집단적 피해자들이 고통의 기억으로부터 치유되기 위해서는 사회적·정치적 활동들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니체의 기억/망각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기억의 정치학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철학적 기억이론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니체는 망각을 기억의 부재라는 수동적 상태가 아니라 외상적 기억의 외부성을 보존함으로써 삶의 파괴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조형적이고 적극적인 힘의 결과로 본다. 망각이 긍정적 활동의 귀결이 되기 위해서는 본래적 의지의 기억, 즉 약속의 기억이 필수적이다. 약속의 기억이란 과거의 특정 순간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순간을 위한 능동적 실행이 필요함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 점에서 외상적 기억과 건강한 망각의 투쟁은 흔적의 기억과 약속의 기억 간의 투쟁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를 `기억들의 아고니즘`으로 명명하였다. 기억들의 아고니즘은 한 사회의 지배적 기억 담론과 대항적 기억 담론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집단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Since 20th century a great many victims have been created by the World Worlds, the Holocaust, regional conflicts, military interventions and so forth. And in everyday life, there are many individuals suffering the destruction of life caused by trauma from violence, abuse or sex crimes. In order to recover their lives, it needs to treat their memories of suffering in the socio-political dimension. In this article, I seek a new model of memory serving to promote the discourse on the politics of memory, and show that Nietzsche`s theory regarding memory and forgetting can provide the significant insights for the socio-political treatment to overcome traumas. While we generally regard memory as a storing capacity and forgetting as a passive state of the loss or absence of memory, Nietzsche thinks that forgetting is the plastic and active power to keep us from the destruction of life. It needs the original memory of will, the faculty of promising for forgetting to be a result from positive activity. In this point, we can see the struggle between traumatic memory and healthy forgetting as that between memories of traces and promising. I call this struggle `Agonism between Memories`. This must be collectively developed between the dominant discourse of memory and the counter-memor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