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요의 측면에서 살펴본 대학 커리큘럼

        진미석,Jin, Mi-Seok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大學敎育 Vol.148 No.-

        대학이 산업체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공별로 대학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산업체에서 활용되는 기술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불일치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들 질적 불일치에 관련한 연구는 상당한 예산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부는 인적자원 개발의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급인적자원의 두뇌유출 현상의 이해

        진미석(Misug 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3

        첨단과학기술과 연구개발을 통하여 혁신주도적인 경제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한국의 상황에서 고급과학기술인력의 확보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박사들의 미귀국율이 증가하고 있어 정부는 고급인력의 두뇌유출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과학기술분야 고급인력의 두뇌유출 현상을 진단하고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미국박사들의 미국 잔류경향을 분석하고 과학기술 분야 미국박사들의 학위취득 후 5년 이내의 취업활동을 조사한 결과를 활용하여 귀국한 박사(귀국박사)와 미국에 잔류한 박사(잔류박사)들의 취업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미국학위 취득 박사 중 약 30%가 5년 이상 장기체류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 경향은 80년대 말에 비해 점차 높아지고 잔류박사들이 귀국박사들에 비해 임금이나 직업만족도, 전공활용도의 측면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제시한다. 국내 기업에 취업하고 있는 박사들의 직업만족도나 전공활용도가 미국 내 기업에 취업하고 있는 박사들에 비해 크게 낮았고, 국내 대학교나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취업한 박사들에 비해서도 상당히 낮게 나타난다. 직업이동의 경로에서도 국내박사들의 경우 대학으로의 집중이동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의 박사급 전문가 인력활용처, 특히 기업들은 임금이나 근무환경, 조직문화 등에서 국제적인 인력 유치를 하기에는 상당히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들은 고급인력의 두뇌유출에 대응하는 정책은 '유치'가 아니라 '인재활용'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글로벌 인재 활용을 위하여 전문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조직문화와 근무여건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In Korea which has confronted with the challenge to transform to innovation-driven economic development, it is imperative to have sufficient high level R&D experts. In this regard,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cerned about the recent trend of brain drain. In this study, I tried to analyze comparatively employment condition of returned Korean Ph.Ds and that of staying Korean Ph.Ds in USA by utilizing the survey on the 454 Ph.Ds within 5years after degree obtain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taying Ph.Ds do better than returned Ph.Ds in terms of labor market achievement such as earnings, job satisfaction, utilizing expertise, etc. It is notable that the Ph.Ds working in companies in Korea showe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expertise than any other Ph.Ds workers such as those in companies in USA or those in universities or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In general, among returned Ph.Ds, there is strong tendency to work in academia. Thes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invite the global talents in R&D including the Korean high skilled, the curr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such as incentive system, work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n society in general, Korean companies specifically, should be improved considerably.

      • KCI등재

        재외한인고급과학기술인력의 경험 및 고급두뇌 활용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시사

        진미석(Misug JIN),이수영(Soo-Young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인력의 국제적인 이동을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재외 한인 과학기술분야 박사고급인력의 경험과 고급인력의 활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정책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아울러 재미, 재프랑스, 재캐나다, 재영 등 재외한인과기 박사 31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과 귀국의지, 그리고 한국과의 연계 협력에 대한 경험과 인력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의견들을 조사하였다. 장기 체류계획 재한인과기박사들 가운데 3명중 2명은 한국에 체류하였다면, 현재와 같은 연구성과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한국의 고급인력유출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고급인력을 제대로 흡수하고 활용하지 못하는 연구환경 및 풍토, 자녀들의 교육여건 등 다양한 요인들이 인력유출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재외고급인력들의 50%정도는 한국과 어떤 형태로든 교류경험을 갖고 있었으나, 공동연구나 국내에서 강의 등 심도있는 교류 경험은 학회참석과 같은 일회성이나 단순교류 경험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 가는 해외에 있는 글로벌 인재들을 활용을 위해서 공동 프로젝트 기회확대와 같이 연구에서의 교류지원 및 외국인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 등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Korean Ph.Ds in S&E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to make the best use of the highly skilled overse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brain circulation".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and surveyed 313 Korean Ph.Ds who have been staying abroad. Two out of three Ph.Ds who decided not to go back home evaluated their stay overseas provided opportunities to produce far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research output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lives. Most Ph.Ds overseas perceived the current brain drain in Korea as a serious problem, resulting from divers factors such as unfavorable research environment and climate, living conditions like children"s education, etc. While abou 50% of Korean Ph.Ds have experiences of cooperating and networking with domestic researchers, their experiences are mainly focused on interpersonal network or participation in conferences. They have far less experiences of cooperation activity, such as joint projects or teaching in Korea.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globally talented researchers, we suggest to increase divers research programs that they can join without necessarily their going back Korea.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of Korea that can attract the global talented, such as housing, children"s education, communication supports,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시아-유럽 6개국 교육이해관계집단의 핵심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

        진미석(JIN Misug),윤수린(YOON Soorin),김효정(KIM Hyoj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유럽정상회담(ASEM) 교육장관회의 소속 혁신역량/기업가정신 (Innovative Competence/Entrepreneurial Skills) 실무그룹 소속 6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고용주 등 이해관계집단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은 빠른 과학기술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한 노동시장변화와 고용없는 성장의 추세가 진전되면서, 청소년의 미래역량으로 전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이다. ASEM 교육부장관회의 의제 회의 중 하나인 혁신역량/기업가정신 교육(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실무그룹은 2014년에 결성하여 제1단계(2013-2015)에서는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진행하였고, 제2단계(2016-2018)에서 각국마다 혁신역량/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을 실제로 살펴보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논문은 실태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 것이다. 6개국의 다른 경제상황과 교육, 문화의 맥락에서 기업가정신에 대한 주요이해관계 집단의 인식을 살펴 본 바, 각국의 교육이해관계집단들은 공통적으로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고용주들은 기업가정신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강하다고 판단되나 실패에 대한 관용이나 위험이 따르는 새로운 대안 모색 등 기업가정신장려 문화나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이나 지원시스템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의 시사점으로 청소년들의 미래역량으로서 혁신역량/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기업가정신 교육의 강화, 산업체와의 연계, 교사교육 강화, 실패를 허용하고 연습하는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였다. Entrepreneurship is a core competence that is emphasized globally as the future capacity of young people along with the rapid change of labor market and the growth without employment growth. The 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Working Group, one of the agenda of the ASEM ㅡMinisters of Education, was formed in 2013, and in the first phase (2013-2015), the conceptualization of core competencies was discussed and in the second phase (2016-2018),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in 6 countries was condu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all education interest groups such as education policy officers, teachers, employers, etc. perceived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are very important as the core competence to cope with changing society.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the culture such as tolerance on risk taking and generosity to failure is not pervasive in each society. The lack of industry involvement in innovation compet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reaffirmed as in other areas of education. The survey showed that the industry is not actively involved in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and that it lacks systems to support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variety of ways to encourage industry participation in the contents and delivery method of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Young entrepreneurs who have proven their innovation capability can be invited as role-models for entrepre­ neurship education. Risk takers and management competencies should be included and emphasized especially in content competency training. Risk-related factors can includ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new projects, mock-ups, lectures by seniors, and performance-based tasks. In addition, since the risk-taking capacity is accumulated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it repeatedly, we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take various risk-taking and failure experiences starting from a young age. Teachers agree on the need for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but there is limited will or expertise to actually participate. There must be a lot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respect, many of the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shared during Phase 1 and Phase 2 of the ASEM Working Group could be good reference cases. Based on experience in this working group, it would be helpful to build and operate a platform to share relevant knowledge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ducation interest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but the integrated efforts such as education policy area, school education, industry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ere lacking.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system is needed for the expansion of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and should support the ecosyst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luding industry, school, parents, and government.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culture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ame frame to discover common trend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to identify points of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due to financial and time limitations, it is difficult to strictly limit the size and sampling of the subjects to b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ize of the sampling and the sampling method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미국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

        진미석(Misug 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의 정책과 실천상의 변화를 분석학고 한국 중등단계 직업교육 개혁정책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 고등학교 직업교육은 취약계층을 주요 대상으로 한 고등학교 졸업이후 특정 직업영역의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으로서의 직업교육으로부터 전(全) 학생대상, 취업준비와 아울러 진학준비 교육, 직업과 관련한 다면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 등으로 직업교육정책의 목적이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변화는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영역 전공의, 심화된 수준보다는 입문적인 수준의 직업교과목을 선택하는 고등학생들의 직업교육과정 선택 유형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직업교육과저 ㅇ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보편화된 직업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은 중등단계에서의 직업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란을 가져오고 있는 가운데 향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대안적인 학습방업으로서의 그 기능에 관심이 점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사례는 보편화 다양화를 지향하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직업교육개혁방안의 방향성을 지지하며, 직업교육과정의 다양화의 필요성, 학습방법으로서의 직업교육의 중요성, 직업교육의 평가 체계화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in terms of federal government policies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drew some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Unlike Korea with separate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has been existed in separate courses in comprehensive schools. Vocational educational policies has expanded the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by emphasizing academic achievement of vocational students, providing the broad level of knowledge skills instead of specific job skills, vocation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the preparation for higher education. This change could be found in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hi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taking vocational courses has not been decreased, that of occupational concentrators or advanced occupational concentrators has been sharply decreased during 1982-1998. The relative proportion of vocational courses credits has been also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academic credits. In addition, the vocational courses taken by students has been expanded to emerging vocational area such as LCT, food and hospitality, and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non traditional vocational students such as high academic achiever has been increased. Th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basic function and identity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 work based learning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 change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USA supports the policy direction of the Korean recent reform polici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provides some implica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revision of vocational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and data collection on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신규입직박사의 진로활동 실태와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고급 인적자원개발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진미석(Misug 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2003학년도 국내박사학위취득자 가운데 신규로 직업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신규입직 박사 263명을 중심으로 졸업후 1년 반 후의 진로현황과 그들의 박사학위 가치와 향후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신규입직 박사들은 졸업후 40%가 정규직에 취업하고 있었고 나머지 60%는 시간강사, 비정규직이나 구직중 등 불완전한 취업상태에 있었다. 이들의 진로현황은 계열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바, 인문계열의 경우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소득 등, 여러 가지 노동시장 활동지표를 보았을 때 가장 낮은 경제활동성취율을 보이고 있으며, 공학계열의 경우 가장 높은 성취를 보이고 있다. 취업상황의 계열별 차이는 향후 취업전망에 대한 박사들의 주관적 판단에서도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지방대학원출신이 수도권대학원출신들보다 어려운 취업상황을 맞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사들은 박사학위의 경제적인 가치는 비교적 낮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박사학위 효용가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향후 박사학위자들이 대학이외의 취업처에서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전반적인 인력수요 전망과 연계한 고급인력양성과 활용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mainly to analyze career activities of doctor recipients in Korea who had to enter labor market newly with their doctoral degrees. The sample was 263 drawn from 20 universities. Among doctorates one and half years after graduation, 40% have full-time regular jobs. 60% are in the position of part-time lecturer positions, full-time irregular job, or job seekers. The career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jors, gender, and the type of graduate schools. Doctorates of engineering are far better off than those of liberal arts in terms of full-time regular employment and earings. Female doctorates and doctorates of graduates schools located in provincial areas are less likely to have a full-time regular job and earned less than male doctorates and those of graduates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vers career path for doctorates both by graduate schools and individual doctorates. It is suggested to develop HRD policies to link more closely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 power of high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