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를 중심으로 -

        지현숙,황설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지현숙․황설운, 2018.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80 : 375~398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어떠한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구사하는지를 도시언어담론에 의거하여 살피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응용언어학 연구와 도시언어담론의 횡단언어학이 개진하고 있는 전략의 개념을 비교·고찰하고 외국인 유학생, 한국인 학생과 교수, 외국어 교수자 등이 생산한 발화와 SNS 대화 등의 언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내 대학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창의적인 상호작용 전략들이 구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넘어가기, 텍스트화, 재맥락화, 언어 이동, 언어 변환’으로 나눈 후 참여관찰법을 통해 그 구체적 양상들을 분석하여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한국언어문화교육은 어떻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여 제안하였다.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에 부합하는 도시언어담론을 심화하고 접촉지대, 횡단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연구자적 관심을 생성하며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생산한 언어 자원들을 실증적으로 보고한 것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ich kind of interaction strategies that dialogue participants existing in the university space in Korea are using based on urban language discourse.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strategy that existing applied linguistics studies and metrolingualism have introduced, and collected and analyzed discourse and SNS dialogue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Korean professors, and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transforming into a space where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come into contac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at new and creative interaction strategies are being employ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author determined and suggested ways to chang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holds a primary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eepened the urban language discourse that is in conformity with the multi-lingual era and stoked the researcher’s interest in contact zones, trans-linguistics, interaction strategy, and so o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iewed the linguistic identity of speakers whose as creative communicators as well as open and active culture enjoyers, and that it empirically reported the language resources such community members produce.

      • KCI등재

        실세계 접근을 통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의 설계 방안

        지현숙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This thesis explores how to design an academic Korean listening textbook to improve the learner's listening ability. I examined a few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und in spite of the fact that listening ability is a basis and essential language skill, current teaching methods don't correspond to learner's needs. A Real-world approach is the new education paradigm that developed in correspond to previous teaching methods' narrow focus on theory, language structure and form. The real-world approach is close to the learner's real life, centers on practical function rather than skill, and emphasizes language use and performance. Therefore my primary interest is in enhancing language education, so learners know how to use and what to do with language, by using methods applicable to real-world situation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meaning of language itself, the capabilities of the learners, and practicality in real life. In this article, I had 17 foreign students in graduate school to keep listening diaries about what they heard for a week, and then after analysing their entries I produced lists of the main themes and situations from their listening discourses. Accordingly, I found that the main themes of Korean listening experiences were ‘understanding lecture’, ‘discussion’, and ‘finishing assignments’, but also included everyday situations like ordering meals, shopping, listening to the news, and talking on the phone with friends. I thus argue that academic Korean listening textbooks should follow suggested principles. First, the contents must be valuable in actual environmental contexts; second, they must provide practical experience in using language in real life; and finally, the tasks of textbook should be individualized to the learner's own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듣기 교재의 설계 방안을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듣기 능력은 학문을 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고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재가 희소하고 실제 유학생들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듣기 교육이 이루어져 왔음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세계 중심 접근법은 기존의 언어 교육이 가진 이론 중심성과 언어 구조 중심성을 비판한 데서 나온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 접근법은 언어 학습자의 실생활에 닿아있으면서 기술보다는 ‘기능’에 초점을 두고 실제 언어의 ‘사용과 수행’을 강조하는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 여기’의 언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실제로 언어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일차적인 관심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실세계 중심적인 교육은 언어의 의미와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 활동 과제 등을 중시한다. 본고에서 연구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 17명을 대상으로 그들 각자가 한 주 동안 들은 내용을 일지로 작성하게 한 후 작성된 일지의 내용과 듣기 담화를 분석하여 학문 목적 듣기 교재가 포함해야 할 주요 주제와 상황들을 도출하였다. 그럼으로써 학문 목적용 듣기 교육은 무엇보다도 ‘강의 이해’, ‘토론’, ‘과제물 제출’ 등의 학업과 관련한 내용이 핵심이 되지만 이와 더불어 동료학습자 및 교수와의 대화, 유학 행정에 관한 상담, 도서관 이용 등의 대학 내 생활에 필요한 내용과 친구와의 친교적 대화, 음식 주문, 쇼핑, 뉴스 청취 등 일상적인 담화 상황도 골고루 안배되어야 한다는 것을 조사해 내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연구자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듣기 교재는 다음을 원칙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교재의 내용이 학습자의 실제 삶의 맥락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듣기 교재는 생활 속에서 구체적인 언어 경험 장면을 제공해야 한다, 과제의 구성이 학습자의 학습 특성과 능력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시험에서의 ‘이야기 口述 課題’ 연구

        지현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3

        The storytelling task is a communicative oral language activity in which the learner shares their thinking, feelings, and their emotions. This study outlines the meaningfulness of storytelling tasks and examines the results of carrying out storytelling ability tests.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sis of storytelling samples elicited from a Korean speaking test.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the subject, I discuss the necessity of creating new methods for testing speaking ability and propose using test methods‘structure’, ‘power of description’, ‘rhetorical expressions’, ‘coherence(grammatical accuracy)’ as constructs by which to evaluate and assess storytelling ability. In this study, the speaking test performances of 40 students were collected, and 12 sample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features of structure, description, rhetorical expressions and coherence. The content analysis found that Korean learners were good at grammatical accuracy, but they had difficulties in adding their emotional and judgemental reactions to their narratives and structures. My experiment yielded three results: First, test-takers storytelling abilities were lower compared to their overall Korean proficiency. Second, their ability to use conjecture, tense, and substitute expressions were relatively good, but their abilities to structure their stories, describing characters or situations, and using rhetorical expressions,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rest takers couldn't express their own opinions or evaluations of the stories. Ultimate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various storytelling tasks for intellectual and emotional storytelling education. Also, we should take an active interest in using the Korean style storytelling task to develop good storytellers. ‘이야기 口述 課題’의 개념과 한국어 교육적 의의를 정리하고 고급 학습자 대상의 시험에서 이야기 구술 과제를 시행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이야기 口述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한 다음, 이야기 구술 능력 평가의 構因을 구조, 구체성, 수사력, 문법결속으로 具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시행한 결과 첫째, 한국어 熟練度에 비해 이야기를 구술하는 능력은 부족하다, 둘째, 문법결속에 관한 능력은 비교적 높지만 이야기를 구조화하거나 인물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거나 비유법을 사용하는 능력은 낮다, 셋째, 이야기의 내용에 대해 평가적인 태도를 보여주거나 문화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재함을 발견하였다. 향후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 요소로 구조, 구체성, 수사력, 문법결속을 제안하고 교실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 구술 과제를 개발하자는 것과 한국적인 문화가 담긴 이야기 敎授項目을 체계화할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지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what social issues current Korean proficiency test could bring forward; and, as a consequence,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test’s improvement. The articles about “Korean Language Test” and “TOPIK fever”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examined; and what discourses have been made in Korean society in concern of the test are studied. Also, 17 TOPIK test-takers were interviewed to elicit their understanding, attitude, feeling about the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IK and actual Korean learning. According to the newspaper articles, they, in general, see Korean Wav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o increase also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They repeatedly use phrases such as ‘the greatest in history, fever, the biggest number in history’ highlighting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is historic. Some articles point out that the Asian Korean-learners tend to take the test due to economic causes and that the host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s student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iversities have been maintaining them improperly. The TOPIK test-takers say that they take the test with an integral motivation, adapting to Korean culture better and gaining their self-esteem. TOPIK is regarded as an “only” test to identify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y. Also it is regarded as a mean to get scholarship or financial support, a role of gate-keeping of living on in Korea. They think critically that TOPIK is ‘a test for test’, not ‘a real test for Korean language competency’ since it does not have a speaking test. They also claim that preparing for TOPIK has got nothing to do with their improving Korean ability. The present research, as a conclusion, suggests what follows to correct the problems in the Korean assessment. Fir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racting policy needs sweeping reconsideration and improvement. Second, TOPIK is not to be taken as a test covering all part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testing, issuing working visa, acquiring citizenship, and measuring Korean proficiency; individual tests must be made for different purposes. Third, intensive training programs or specific graduate schools for the Korean assessors need more practical interest and investment to make the Korean assessment specialized much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능력 시험이 어떠한 사회적 논제를 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일간지 신문 5종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에 대해 한국사회 안에서 어떠한 담론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TOPIK 수험자 17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 태도, 감정, TOPIK과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일간지 신문들은 ‘한류→한국어 학습자의 증가→한국어 시험 응시생 급증’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또한 ‘사상 최대, 열풍, 역대 최다’ 와 같은 표현을 신문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TOPIK 응시자수의 증가가 역사적으로 놀랄 만한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부 신문은 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가 경제적인 이유로 TOPIK에 응시하는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하거나 정부나 교육기관의 유학생 관리 소홀을 우려하는 시선을 나타내었다. TOPIK 수험자들은 한국 문화권으로 더 잘 적응하고 자기 만족감을 얻기 위한 ‘통합적 동기’가 강하였다. 그들에게 TOPIK은 한국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또 TOPIK 점수는 장학금이나 생활비 지원 혜택을 받게 해주는 수단이며 한국에서 살아가기 위한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수험자들은 TOPIK을 ‘시험을 위한 시험’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말하기 시험이 없으므로 진정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들은 TOPIK을 준비한 경험이 한국어 구사력과 연계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한국어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고는 결론으로 한국어 평가 분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 유치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TOPIK 하나로 유학생 선발, 노동 비자 발급, 국적 취득, 한국어 숙련도 측정 모두를 할 것이 아니라 시험 점수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각각의 한국어 시험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어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집중 연수 프로그램이나 대학원 차원의 전공 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서 한국어 시험의 전문화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지현숙 시학과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0 No.18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term ‘subject matter’ and discussed its statu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types of subject matter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notion that it is the ‘textbook’ in which the subject matter appears most explicitly because textbooks reflect the develope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er, by means of this process, reflected on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subject matter and proposed the perspective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are desired to take.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in terms of contents, orient to those aims presented below. Firs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which improves the literacy as a communicator of culture should be encouraged. Second, real-world approach should be adopted. Third, the choice of subject matter should be able to provide individualized guidance to each learner. Fourth, subject matter that combine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omplementarily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ofessionally the research methodology on subject matter with open mind to diverse methodologies, and that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eed analys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everal ways: it covers the research trends so far on subject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Korean textbooks published up to date both in and out of Korea; and it proposes specific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초등생(11세~13세) 네일 사이즈 측정 및 네일팁 개발에 관한 연구

        지현숙,김은실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In this study, we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 to 13 years old), the use status of cosmetics and nail tip usage status, and measured and compared the nail size and the tip size in the market. The purpose is to suggest a suitable size for the research subject through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11 to 13 year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data such as books and papers,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se status of the nail tips of the research subjects. Also, in order to obtain the average value of the nail size of the study object, nail size measurement was performed through a direct measurement metho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verage value based on this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nail tip size, an appropriate tip size was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00 elementary school girls (11 to 13 years old)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to find out the use of nail tips by teenagers, and as a result, questions about the use of nail tips. And the answers on the number of specific experiences showed relatively low experience, but when experienced with the use of a nail tip, the reason for the most convenient size adjustment was selected as the answer to the inconvenient parts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I could measure it. Second, in order to measure the size of a commercial nail tip, we selected and analyzed the industry’s No. 1 among nail tip sales brands, and since the brand was released in the form of a nail tip and a strip, both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ird, direct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nail siz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 to 13 years old). The nail size was measured for each of 10 hand nails, and for accurate measurement, the nails were finished with cuticle cleanup.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z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nail tip products and the subjec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was insufficient, and the nail tip type was based on the average nail siz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 to 13 years old) through direct measurement. We proposed a nail size of and strip typ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전기에 해당하는 초등생(11 세∼13세)의 특징 및 화장품 사용실태 및 네일팁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의 네일 사이즈와 시중에 판매중인 팁 사이즈를 직접 계측한 후 비교⋅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에 적합한 사이즈를 제시하는 데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단행본, 논문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 11세∼13세에 해당하는 초등생의 특징을고찰하였으며, 연구 대상의 네일팁 사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의 손톱사이즈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직접계측 방법을 통한손톱 사이즈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평균값과 시판중인 네일팁 사이즈를 비교⋅분석 후적합한 팁 사이즈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대 청소년의 네일팁의 사용현황을 파악하기위해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초등 여학생(11세-13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네일팁 사용경험 유무에 대한 문항 및 구체적 경험 횟수에 관한 답변에는 비교적 적은 경험치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네일팁 사용 경험이 있는 경우 사용 시 불편했던 부분 및 개선 요구사항에 관한 답변으로 사이즈조절 용이성을 가장 많이 선택한것으로 보았을 때, 그 이유를 가늠할 수 있었다. 둘째, 시판 네일팁 사이즈 측정을 위해 현재 네일팁판매 브랜드 중 업계 1위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해당 브랜드의 경우 네일팁 형태와 스트립 형태로 출시되고 있어 두가지 모두 분석대상에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셋째, 초등생(11세-13세)의 네일 사이즈 표준화를위해 직접계측을 실시하였다. 네일 사이즈는 양 손 손톱 10개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 큐티클 정리를 마친 상태의 손톱을 대상으로 하였다. 넷째, 시판중인 네일팁 제품과 본 연구대상의 사이즈를 비교⋅분석한 결과, 사이즈 적합성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접 계측을 통한 초등생(11세∼ 13세)의 네일 사이즈 평균값을 바탕으로 네일팁 타입과 스트립 타입의 네일 사이즈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