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아동양육시설의 변화와 생활지도원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주해란,김한나,이예진,황소연,안태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xperiencing certain changes after COVID-19 and experiencing changes for life instructo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dicated to infants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life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Standards Act was not observed as life instructors performed heavy roles and tasks other than their original roles. Second,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experienced due to work increase or decrease and overtime work. Third, even though COVID-19 was confirmed, the life instructor who worked felt skeptical about the job and considered changing jobs. Fourth, life instructors who self-quarantined due to COVID-19 had conflicting feelings of relief and sorry for their colleague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중 영유아 전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어떤 변화를 겪었고, 변화를 겪을 때의 정서적인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지도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원은 본래의 역할 이외의 과중된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근로기준법은 지켜지지 않았다. 둘째, 업무 증감과 초과근무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셋째, 코로나 확진이 되었음에도 근무를 하는 생활지도원은 직업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고 이직을 고려하였다. 넷째, 코로나 확진으로 자가 격리를 했던 생활지도원들은 확진에 대한 안도감과 동료에 대한 미안함이라는 상반된 감정을 가졌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사회복지현장에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해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7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10 children who have been protected to explore the opinions of the parties on the reduction of military service for children who have been protected and the experiences of being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and receiving social discrimination. Children who have been protected are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for the reason of 'orphan', and the belief that they can be discriminated against by recording them as orphans for the reason of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in society was universally established. However, it is not easy to answer whether it was discriminated against by recording it as an orphan for the actual military service exemption.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rather than discrimination,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in the case showed that the contents of 3 main categories and 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there were cases whe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but there were those who regretted and had to go now. Second, there were cases where they gave up their employment by experiencing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releas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recording it as an orphan for reasons of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Third, they were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and experienced informal alienation. Fourth, they argued for complaints and improvements about the reasons for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being discl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etter information on military service reduction to children who have grown up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provid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artie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보호종료아동 병역 감면에 관한 당사자들의 견해와 병역을 감면받고 사회적 차별을 받은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자 보호종료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보호종료아동은‘고아’사유로 병역을 감면 받았는데, 사회에서 병역 면제 사유에 고아라고 기록함으로 자신들이 차별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보편적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하지만 이는 실제 병역 면제 사유에 고아라고 기록함으로 차별을 받았는지에 대한 답은 쉽게 내릴 수 없다. 이들은 차별이 아닌 차별감을 경험한 것으로 사례 내 분석 결과 3개의 주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역을 감면 받은 것에 대해서 만족해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반면 후회하고 이제라도 가야 하나 뒤늦은 고민을 하는 대상자들이 있었다. 둘째, 병역 면제 사유에 고아라고 기록하면서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과정에서 차별감을 경험하여 취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셋째, 병역을 감면받고 비공식적인 소외감을 경험하였다. 넷째, 병역 면제 사유가 공개되는 것에 대한 불만과 개선을 주장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성장 한 보호종료아동에게 병역 감면에 관한 보다 나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향후 당사자와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양육시설의 양육 환경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보호종료아동의 관점에서
주해란,마미나,이예진,황소연,안태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of child-rearing facilities, and to do thi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0 children who had grown up in child-rearing facilities during adolesc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willful environment, and the social environment were derived from the three main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24 contents. First, although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availability of various facilities in child care facilities was made, it was regrettable that the lack of personal space due to group life.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he life instructor had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leaving the office. Third, the diverse and autonomous program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while the uniform program was not effective. Fourth, the rules in the group life are considered necessary, but the coercive form should be changed. Fifth,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nsor felt ambivalent feel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ystems by suggesting a better parenting environment and the direc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for adolescents who grow up in child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의 양육 환경을 탐색하고자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를 양육시설에서 성장한 보호종료아동들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 의지적 환경, 사회적 환경으로 총 3개의 주범주, 9개의 하위 범주, 24개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내 다양한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단체생활로 인해 개인 공간이 부족한 점을 아쉬워하였다. 둘째, 생활지도원과 맺은 관계가 퇴소 후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양육시설의 다양하고 자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은 심리·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획일화된 프로그램은 효과성이 미비했다. 넷째, 단체생활을 하는 데 있어 규칙은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여기면서도 강압적인 형태는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후원자와의 관계에서 양가적인 감정을 느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를 아동양육시설에서 성장하게 하는 청소년에게 더 나은 양육 환경과 아동양육시설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함으로 사회복지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양육시설과 가정위탁 성장 환경에 따른 정서적 경험과 지원정책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주해란,길건혁,안태구,이예진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n 12 young people who grew up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home consignment to explore the physical environment, emotional experience, and physical support and emotional experience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had a common experience in the growth environment, but in the home consignment environment, I used only the minimum cost while worrying about academy or hospital expenses. Second, they felt anxious that the main caregiver could be changed in common. Third, even though there were the same support benefits after the end of protection, participants in home consignment termination missed some things due to differences in inform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upport benefits. Fourth, I experienced all the feelings of freedom to become an adult after the end of protection, but there was a burden on self-reliance in child care facilities, but I felt stable because I could communicate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ed a direction to provide a better parenting environment for children subject to protection.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가정위탁에서 성장한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성장 환경에 따른 물리적 환경과 정서적 경험, 보호 종료 이후 물리적 지원과 정서적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12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환경에서는 공통적인 경험을 하였지만, 가정위탁환경에서는 학원비나 병원비를 걱정하면서 최소한의 비용만을 사용하였다. 둘째, 공통적으로 주 양육자가 변경될 수 있음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보호 종료 이후 동일한 지원 혜택이 있었음에도 정보의 차이로 가정위탁 종결 참여자는 놓친 것들이 있었고 지원혜택에도 차이가 있었다. 넷째, 보호 종료 이후 어른이 된다는 해방감은 모두 경험하였지만 아동양육시설에서는 자립에 부담감이 있었지만, 가정위탁은 보호종료 이후 소통하며 지낼 수 있어서 안정감을 느꼈다. 본 연구결과는 보호대상아동에게 보다 나은 양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서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원보드 마이컴을 이용한 정밀온도 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주해호,조덕현 대한기계학회 1989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개발된 온도 제어 시스템을 더욱 소형 경량화하기 위해 서 일반 마이크로 컴퓨터 대신에 원보드 마이컴(one-board micom)을 사용하였다. 원보드 마이컴은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작성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주변장치가 필요없으며, 크기가 작아 제어시스템을 소형경량화 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트 애니메이션의 영상이미지에 나타난 레토리케에와 포이에티케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주해정(Joo Hae jeong),김치용(Kim cheeyo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8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8 No.1
영상은 이미지의 서사적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장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이미지에서는 단순한 이미지 전달이 아닌 강한 목적 자체를 수용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지 전달기법은 기호학적 측면에서 많이 해석되고 있지만 보다 수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전문적인 분류에 의해서 연구되어질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Rhetorike와 Poietike를 아트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해외의 아트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표현기법에서 Rhetorike와 Poietike가 추구하는 표현적 특성을 분류하고 더욱 세분화 된 영상의 표현 기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표현적 특성은 수용자의 몰입과 분산을 유도하고 사유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현장 시뮬레이션 헬스시스템에 관한 연구
주해종,한기준,편동현,Joo, Hae-Jong,Han, Ki-Jun,Pyun, Dong-Hyun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3 情報學硏究 Vol.6 No.1
본 논문은 인터넷을 통하여 전세계 원하는 곳의 영상 및 음향 그리고 지형에 따른 경사 환경 등 방대한 량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나라, 원하는 지역을 달리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현장 시뮬레이션 헬스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