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시도로서 대학 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8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에 재학중이며 신입생 기초필수 교과목 수강자 중 자발적 참여자 226명을 대상으로 의사 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디지털 시민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이검증, 상관분석,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주목할만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모든 하위요인은 디지털 시 민성의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과 모두 정적이며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시민성 인지영역의 52%를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 통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영 역의 55%는 의사소통능력의 타인관점이해, 주도적 의사소통, 고정관념적 사고 극복 그 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지적공정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민성 행동영역의 51%는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그리고 비판적 사 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 기 위해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강조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digit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as an attempt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s in digital citizenship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no remarkably huge differences.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Third, 52% of the cognitive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55% of the affective domain was explained by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leading communication, and overcoming of stereotypical thinking of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llectual fairnes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lso, 51% of the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oviding implications about how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One-pot 공정을 이용한 InP/ZnS core/shell 나노결정 합성 및 특성 연구

        주소영,홍명환,강이승,김태형,이찬기,Joo, So Yeong,Hong, Myung Hwan,Kang, Leeseung,Kim, Tae Hyung,Lee, Chan Gi 한국분말야금학회 2017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4 No.1

        In this study, simple chemical synthesis of green emitting Cd-free InP/ZnS QDs is accomplished by reacting In, P, Zn, and S precursors by one-pot process. The particle size and the optical properties were tailored, by controlling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In]/[MA] (MA: myristic acid) mole ratio,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The results of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UV-vis), and of photoluminescence (PL), reveal that the exciton emission of InP was improved by surface coating, with a layer of ZnS. We repor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 luminescent properties of InP/ZnS core/shell QD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X-ray powder diffraction (XRD) technique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as-synthesized QDs. In contrast to core nanoparticles, InP/ZnS core/shell treated with surface coating shows a clear ultraviolet peak. Besides this work, we need to study what clearly determines the shell kinetic growth mechanism of InP/ZnS core shell QDs.

      • 피혁슬러지 고형화시 시멘트 혼화제의 영향

        주소영,박상찬,전태성,손종렬,김태영 대한위생학회 2003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18 No.4

        The cement-based system among S/S(Solidification/Stabilization) is widely used to treat hazardous wastes. In this study, tannery sludge was solidified to evaluate the stabilization effects of using admixtures in the cement-based S/S. Fly ash as substitute also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S of hazardous waste. The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and leaching experiment of chromium metal of solidified mortar were carried out to compare and evalu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lidified hazardous waste sludg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increased of compressive strength by using AEW-3(early-hardening AE water reducing agent), and leaching concentration of chromium became low enough to satisfy the regulatory criteria. The successful solidification for the organic contaminant and heavy metal in hazardous waste should enable to treat by cement-based system using early-hardening AE water reducing admixture and fly ash as substituted cement.

      • KCI등재

        가정폭력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와 또래애착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주소영,이양희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and peer attachment on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on early adolescent aggression. To do this, latent growth modeling adapt to elementary school 4thgrader’s panel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are on the rise but self-control and peer attachment are on grow less for 4-year.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year intercept and the 4-year slope of individual. Second, Adolescents whose self-control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of aggression but adolescents whose peer attachment was high represented increase of aggression. Third,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self-control has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Finally,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peer attachment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These results supported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and peer attachment. Specifically, self-control of the early adolescence, which plays the mediating role, emerges as the more important protective factor. This study suggested casting light on preventive interventions in enhancing adolescent's positive trajectories with domestic violence. 본 연구는 가정폭력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초기청소년의 자기통제와 또래애착이 갖는 매개효과를 시간에 따른 변화와 연계해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각 변인의 발달궤적을 살펴보고, 자기통제와 또래애착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KYPS)연구 초4 패널 1차년도~5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주요변인에 대한 초4(1차)~중1(4차)까지의 해당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정폭력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자기통제는 낮아지고 자기통제 증가율이 높을수록 공격성은 크게 감소하였다. 자기통제는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종단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래애착은 가정폭력이 심할수록 또래애착이 낮아지나 또래애착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래애착은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고 종단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자기통제가 공격성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지속적인 보호기제가 되도록, 그리고 또래애착이 갖는 질적인 특성을 긍정적으로 조정하도록 개입해야한다는 함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에 따라 비판적·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주소영,이신동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인 가정환경, 학교환경에 따라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웩슬러 지능검사 IQ 125 이상 또는 레이븐 지능검사 결과 백분위 90 이상인 영재아동 25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개인변인 점수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동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교사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 확인하기, 비판적 성향 전체와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또래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확인하기,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또래와 관계가 좋지 않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신뢰로운 정보 선택하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개인변인에 따라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I intended to examine what impact it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of the gifted students in accordance with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to 6th grade 25 students whose IQ of 125 or more based on Wechsler Scale of Intelligence or with 90 or more based on Raven Intelligence Test. The overall briefed contents of the result carri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graphic organizer to the children who have received psychological support well in the family,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self-reliance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it to the children who does not receive psychological support well in the family,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openness, exploratory proper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in the motiv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eative personality. Secondly,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the graphic organizer to children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in the identifying hidden assump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in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such as openness, exploratory property and the whole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the PBL program utilizing graphic organizer to the children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identifying hidden assump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openness and self-relia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critical personality. And when applying it to the children who do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it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in the selecting reliable inform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 KCI등재

        청소년용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주소영,이양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s(RSA)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SA was administered to 1115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27 item scale demonstrated Cronbach’s α=.87 for internal consistency of total item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four-factor structure. Retest stability was acceptable for the four-factors. Tests of the present scal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compared favorably with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ce (Jung, 2000) and the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Kim and Kang, 2003). To see whether the final 27 items of RSA were applicable to adolescents, multi-groups equality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In view of the results, the final scale was equally applicable to confirming its applicability to adolescents assessment of resilience. 본 연구는 청소년용 탄력성 척도(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s:이하 RSA)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예비문항으로 내용타당도, 문항이해도를 평가한 후 58문항을 구성하고 예비연구에서 28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경기, 부산, 광주, 경남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18세 청소년 1115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RSA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하위요인의 구조모형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와 타인에 대한 신뢰, 문제해결 능력, 부정적 감정의 인내, 학업적 유능감의 관찰변인이 청소년의 탄력성이라는 잠재변인을 설명하는 정도가 매우 양호하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RSA의 전체 문항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87, 각 하위요인은 .82, .75, .68, .63의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2(p<.01)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자기지각 척도와 .73(p<.01), 스트레스대처 척도와 .69(p<.01)로 양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척도에서 최종 확정된 27문항의 4요인 구조모형을 청소년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다집단동등성을 검증하고, 교차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이로써 RSA는 일반 청소년의 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이공계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

        주소영,정연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As a starting point for promoting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and providing proper educational experiences to freshme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student engagement,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46 freshmen taking the basic required general educational course of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rom October 19-27, 2020.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 on resilience, which, in turn,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Furthermore, i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aspects of student engagemen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freshmen’s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resilience must be accompanied with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to promot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can provide suggestions for concrete steps to promote such satisfaction.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 이공계 신입생에게 적합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이공계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 중 교양 기초필수 교과목 수강자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와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은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이공계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해 본 결과 학습참여와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교양교육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참여와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회복탄력성이 동반되어야 교양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공계 신입생의 교양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떤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