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Efficacy of Body Weight Reduction on the SGLT2 Inhibitor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조현아,Young Lee Jung,이용훈,이유창,Jung Eun Lee,이솔재,정수진,김종화 대한비만학회 2017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6 No.2

        Background: Dapagliflozin, a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reduces hyperglycemia and body weight by inhibiting renal glucose reabsorption.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efficacy of dapagliflozin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in Korea.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dapagliflozin for Korea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data from 61 patients who received 12 months of dapagliflozin therapy and who visited a single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15 and July 2016.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dual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 triple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 with sulfonylurea, or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s, and quadriple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metformin, and sulfonylurea with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s. Patients who achieved ≥5% body weight reduction were classified as responders, and those who achieved <5% body weight reduction were classified as non-responders. Results: After 12 months, the mean change from baseline body weight was -3.4±2.6 kg (P<0.001) for all patients, -3.4±3.1 kg (P<0.001) for group 1, -2.7±2.0 kg (P=0.008) for group 2, and -4.0±2.3 kg (P<0.001) for group 3. Fasting C-peptide level was high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3.25±1.07 ng/mL vs. 2.62±1.02 ng/mL, P=0.023). In total, reductions in HbA1c, PP2, and FPG levels were -0.61±0.82% (P=0.000), -35.4±62 mg/dL (P=0.000), and -21.3±56.2 mg/dL (P=0.012), respectively. They had mild adverse events included orthostatic dizzines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Conclusion: SGLT2 inhibitor improved glycemic control and reduced body weight in a safe manne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 분석 -올인원화장품을 중점으로

        조현아,박초희 한국미용학회 2022 한국미용학회지 Vol.28 No.4

        Recently, the men’s cosmetics market has been on a steady rise due to rising interest in men’s appearance management, and is launching various kinds of products. In particular, men’s cosmetics brands are launching all-in-one cosmetics with various functions in one produc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who are reluctant to bothered. However, the all-in-one cosmetics are not well known to male consumers yet and their efficacy is less reliable. He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hat can help encourage growing market of all-in-one cosmetics for men, finding the consumers’ need, by analyzing use and buying behavior of men’s all-in-one cosmetics and finding improvement. Total 353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men, 10s to 40s years old and older, residing in Korea and 346 out of them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men who have tried the all-in-one cosmetics are more than those who have never done, and the efficacy was considered a priority for them to buy the all-in-one cosmetics. And as an improvement of all-in-one cosmetics, it was found that many men thought that improving their quality was most necessary.

      • KCI등재

        수용전념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현아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f Low-income Children decreasing. Thirty-six low-income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of student received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he second group receiv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 third group of children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Scale were used to measure of low-income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low-income Children,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gained scores of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by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continues afterwar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f low-income Children.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수용전념치료를 저소득층 아동에 적용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ㄷ’시 소재의 ‘ㅂ’청소년문화의집 저소득 초등학교 5학년 아동 36명을 수용전념치료집단에 12명, 인지행동치료집단에 12명, 통제집단에 12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수용전념치료집단에게는 수용전념치료를 2010년 10월 7일부터 2010년 11월 25일까지 매주 50분씩 8회기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집단에게는 인지행동치료를 동일시기에 50분씩 8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처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실시 직후, 실시 한 달 뒤 즉, 세 번에 걸쳐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전념치료는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수용전념치료에 의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하위 요소 중에 교사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부모관련 스트레스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용전념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지원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수용전념치료는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조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music therapy literatur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122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from 1999 to 2012 and 76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formerly known 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from 2004 to 2012 were analyzed.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following items: type, population, topic, and methodology of published articles.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between these two publication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scriptive studies (KJMT, 46%,; JMHB, 45%), applied research (KJMT, 51%; JMHB 66%), and quantitative studies (KJMT, 82%; JMHB 37%). In addition, ordinary people with no particular diagnosi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population (3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a historical study was only found in KJMT whereas a philosophical study was published only in JMHB.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JMHB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applied research than KJMT. In KJMT,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eared twice as often as qualitative a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ed. On the other hand, a similar number of each of the three methodological types of studies appeared in JMHB.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학술지 연구의 현황과 미래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한국음악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122편과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전, 음악치료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76편의 총 198편의 논문을 유형, 대상, 주제 및 방법에 따라 연도별 게재 현황과 비율을 고찰하고 각 영역별 비율에 대한 두 학술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유형 중 기술연구가 46%(KJMT), 45%(JMHB)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일반대상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34%). 연구주제에서는 학문연구가 51%(KJMT), 66%(JMHB)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82%(KJMt), 37%(JMHB)를 보이며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차이점으로 KJMT에 게재된 연구유형에는 역사연구가 있었으나 철학연구는 없었던 반면, JMHB에는 철학연구는 있었으나 역사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에서는 KJMT보다 JMHB에서 학문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KJMT에서 양적 연구가 질적, 통합적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JMHB에서는 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동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학문발전을 위한 연구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상황에서 상사 신뢰가 직장고립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재택근무 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현아,공정민,송세경,심현정,송지훈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상황에 상사 신뢰와 직장고립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재택근무 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최종 18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근무 상황에서 상사 신뢰는 직장고립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 상황에서 조직몰입은 상사 신뢰와 직장고립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재택근무 강도는 조직몰입과 직장고립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넷째, 재택근무 강도가 상사신뢰가 조직몰입을 통해 직장고립에 이르는 경로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재택근무와 직장고립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 기업의 재택근무 관련 HRD 실행에 있어 재택근무의 강도, 직원 관리방식, 신뢰 기반의 리더십, 조직 차원의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