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도로기능별 횡단보도 적정 설치간격 기준 연구

        조준한,오동희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지 Vol.41 No.6

        The standards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in Korea follow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Road Traffic Act, and apply a uniform standard of 100m or 200m from overpasses, underpasses, and other crosswalks, excluding protection zones for mobility handicapped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mong these, it was confirmed through accident statistics that the crosswalk installations interval is an important factor in relation to the mobility and safety of pedestrians on local roads. This study determined that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ccidents was examined, and standards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considering road traffic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Through a survey of areas with frequent jaywalking acci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ccidents was identified, and the appropriate pedestrian detour distance was calculated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to derive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results, the final standard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was prepared by using the number of lanes by two-way, speed limit, and vehicle traffic volume as variables for determining appropriate standards. The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was subdivided into 50-200m, and the standards were flexible, allowing autonomous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environment. If the standards for appropriate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s presented in the study are supported by road facilities, signal operation, and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we can expect to improve safety against traffic accidents while crossing pedestrians that occur in places other than crosswalks in the future. 우리나라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을 따르며, 교통약자 보호구역(어린이, 노인, 장애인)을 제외하고 육교, 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100m 또는 200m로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고통계자료를 통해 이면도로에서 보행자의 이동성과 안전성과 관련하여 횡단보도 설치간격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도로교통특성을 고려한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을 제시하였다. 무단횡단 교통사고 다발구역 실태조사를 통해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으며, 보행자 통행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이론적 방법, 경험적 방법 등을 근거로 보행자 적정 우회거리를 산출하였다. 기존 문헌과 공학적 이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적정기준 판단변수를 고려하였으며, 최종 판단변수로 왕복 차로수, 제한속도, 차량 교통량을 활용하여 최종 설치간격 기준을 마련하였다. 횡단보도 설치간격을 50-200m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고, 교통환경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준에 유연성을 두었다. 연구에서 제시하는 적정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과 더불어 도로시설, 신호운영, 법·제도 측면이 함께 뒷받침된다면, 향후 횡단보도가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보행자 횡단중 교통사고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국도 도로특성분류를 위한 통계적 군집분석과 Kohonen Self-Organizing Maps의 비교연구

        조준한,김성호,Cho, Jun Han,Kim, Seong Ho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9 No.3D

        본 연구는 기존의 도로기능분류 정의와 방법론을 벗어나 교통특성에 따른 도로분류 방법론인 도로특성분류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로특성분류에 대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다양한 교통특성을 반영하는 설명변수를 기초로 요인점수를 산출하고, 동질한 도로구간을 그룹핑하는 군집화 분석과정과 적정 군집수 도출에 따른 군집결과비교에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었다. 도로분류를 위해 병합적 계층 군집분석인 Ward법, 비계층적 군집분석인 K-means법, 자율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K-SO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각 군집기법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비교분석한 결과, 군집 수 5 이하에서는 K-means법, 군집 수 14 이상에서는 Kohonen selforganizing maps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수 5~9사이에서는 Ward법과 Kmeans법의 군집 성능이 불규칙한 패턴을 보임에 따라 세밀한 결과분석을 통해 우수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교통특성을 고려한 도로구간의 군집 속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분류화 작업에 중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described clustering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based highway classification in order to deviate from methodologies of existing highway functional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the clustering techniques performance based on the total within-group errors and deriving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 This research analyzed statistical clustering method (Hierarchical Ward's minimum-variance method, Nonhierarchical K-means method) and Kohonen self-organizing maps clustering method for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The outcomes of cluster techniques compared for the number of sample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from subsets derived by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 As a comprehensive result, the k-means method is superior result to other methods less than 12. For a cluster of more than 20, Kohonen self-organizing maps is the best result in the cluster metho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use important the basic road attribution information that produced the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 SCIESCOPUSKCI등재

        용융방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섬유의 물리적 성질

        조준한,최경식,김상용 한국유변학회 1989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Vol.1 No.1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혼합하여 블렌드를 만들었다. 압출물의 morphology 와 유변학적 성질을 측정하고 그 용융하고 섬유의 X-선 회절, 인장 성질, 복굴 절률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파단면의 SEM 사진으로부터 폴리에티렌 성분비가 25%, 50% 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75%에서는 폴리에틸렌이 연속상을 이루며 분산상은 고르게 분포함을 알았다 점도와 용융탄성은 모두 폴리에틸렌이 폴리프로필렌보다 크며 블렌드에서 는 그중간에 위치 하였다. 폴리에틸렌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압풀물의 제 1법선 응력차는 증가하였고따라서 방사 섬유의 복굴절률도 증가하였으며 초기 탄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결정 배향도는 조성 의존성을 갖지 않는다. 두 고분자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강도는 짓선성에서 벗어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교의 목표 및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준한,박경자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3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school goal structure,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93 second graders (270 boys and 223 girl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dolescents were said to have a mastery goal orientation when they believed that their intelligence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exertion of efforts. In addition, the more that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ir schools value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cademic tasks, and as they received greater support from both parents and teachers, they tended to develop a mastery goal orientation. Adolescents were also said to have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hen they believed that their intelligence was fixed instead of malleable. In addition, as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ir schools valued students' grades and cared more for academically competent students, and as they received greater support from both parents and teachers, they were more likely to either possess or acquire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n conclusio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school goal structure, and social support ar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development or acquisi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adolescents. When adolescents perceive their environment as one in which their schools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tasks and they receive greater support from both parents and teachers, they tend to possess a mastery rather tha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