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NG냉열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직접팽창 및 유기랭킨사이클의 운전성능평가

        조은비,정문,황인주,강춘형,Cho, Eun-Bi,Jeong, Moon,Hwang, In-Ju,Kang, Choon-Hyoung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3 No.1

        The liquefaction to produce LNG (liquefied natural gas) is the only practical way for mass transportation of natural gas across oceans, which accompanies considerable energy consumption in LNG plants. Power gener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utilization ways of LNG cold energy which evolves during the vaporization process of LNG with sea water. In this work, performance analysis of two cold energy generation processes, direct expansion and organic Rankine cycles, were carried out by using Aspen HYSYS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 Rankine cycle is superior to the direct expansion. 국내에서는 천연가스 공급국가와 수입국가의 거리, 공급시설 투자, 국가 간 협력 등 여러 가지 제약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 수입한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해수를 이용한 기화과정에서 냉열이 낭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냉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냉열발전시스템에서 직접팽창과 유기랭킨사이클 방식의 운전성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시뮬레이션은 Aspen HYSY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운전성능 분석은 T-S 선도 및 시스템 성능 해석을 토대로 비교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발전시스템의 운전 측면에서는 유기랭킨사이클 방식이 유리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COVID-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요인

        조은비,황초롱,유재옥,신현진,김유진,최아론,이한나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COVID-19,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s toward social distancing as a preventative measure for COVID-19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VID-19 preven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included 169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2 May 2020 to 1 June 2020.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IBM/SPSS 26.0 for Window Program. Results: Inten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ocial distancing (β=.29, p=.002), followed by the number of breakfasts per week (β=.18, p=.005), school grade (β=-.16, p<.001), and smoking status (β=-.13, p=.046). These variables explained 35.0% of factors influencing social distancing (F=12.24,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nd present a direction for nursing students and future medical personnel to effectively perform social distancing. It is necessary to educate nursing students so that they can practice proper health care habits and intentions for social distancing. 목적: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감염 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의지가 사회적 거리두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COVID-19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하는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169명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5월 22일부터 6월 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양측 검정하였다. COVID-19에 대한 태도', 'COVID-19 감염예방에 대한 주관적 규범', 'COVID-19 감염예방에 대한 의지', 'COVID-19 감염예방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2.2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R2)는 .349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회적 거리두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지(β=0.29, p=.002)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미래의 의료인인 간호대생의 사회적 거리 두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올바른 건강관리 습관과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각된 브랜드의 따뜻함과 유능함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와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

        조은비,강우성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4 마케팅관리연구 Vol.29 No.1

        As people construct the attitude and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based on their perceived warmth and competence, consumers assign human characteristics to brands and build brand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eir perceptions toward brands’ warmth or competence. Based on Stereotype Content Model, our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brand’s warmth and competence perceptions on brand attachment. In doing so, we also attempt to uncover the mediating roles of brand trust and moderating roles of product types. We utilize a structure equations model in the empirical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brand’s perceived warmth positively affects brand attachment, whereas brand’s competence affects brand attachment only indirectly. We also found that brand’s warmth and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enevolence-based trust and expert-based trust. In addition, benevolence-based trust mediates the effect of brand’s perceived warmth on brand attachment, whereas expert-based trust mediates the effect of brand’s perceived competence on brand attachment. The moderation analysis of product type shows that, in case of hedonic products, the effect of benevolence-based trust on brand attachment is stronger, and expert-based trust has stronger impact with utilitarian product. Based on Stereotype Content Model, our findings imply that building strong brand attachment requires not only brand’s competence and product’s functional benefit but also brand’s intention toward customer relationship. It also suggests that building consistent brand trusts are necessary. 고정관념 내용 모형에 따르면 사람들은 상대방을 평가할 때 따뜻함과 유능함의 두 가지 사회적 인식을 사용하여 태도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소비자들도 브랜드에게 인간적인 특성을부여하고 브랜드가 따뜻한지 혹은 유능한지에 대한 지각을 토대로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소비행동을형성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은 브랜드에 대한 애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기반으로 브랜드의 따뜻함과 유능함 지각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이 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 및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의 따뜻함 인식은 브랜드 애착에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능함 인식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는 유의하지만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뜻함·유능함 인식은 호의성 신뢰 및 전문성 신뢰에 각각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의 지각된 따뜻함은 호의성 신뢰를 매개하여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능함은 전문성 신뢰를 매개하여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호의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쾌락재인 경우 실용재인 경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전문성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실용재의 경우가 쾌락재의 경우보다 더 크게 나타나 제품유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기업들이 브랜드 애착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특성과 표적시장에 맞춘 브랜드의 유능함 이미지와 기능적 편익뿐만 아니라 고객 관계에 대한 브랜드 의도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과 브랜드 이미지에 부합하는 신뢰 구축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Phenolic from apple blossom “Hongro” inhibits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조은비,이은호,박혜진,강인규,영제 한국식품과학회 202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2 No.1

        This study aimed to assess apple blossom extracts as potential natural whitening agents due to their ability to inhibit melanogenesis. Ethanol extracts of apple blossom (ABE) were assessed for biological activity in the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 ABE toxicity was assessed by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Levels of melanogenic enzyme expression in response to ABE supplementation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Also assessed purified kaempferol, one of the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apple blossom, wa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levels of cellular tyrosinas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and TRP-2 proteins related to melanogenesi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ABE treatment of cells.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we identified kaempferol in the ABE. Treatment of cells with purified kaempferol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and the MITF protein to a similar degree as that observed with ABE treatment. This suggests that the efficacy of melanogenesis-related inhibition demonstrated by ABE was due to kaempferol. ABE has an inhibitive effect on melanogenic enzymes and potentially can be applied to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having a whitening effect as a natural materi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