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의 진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용(Yong Cho)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미래사회 대비 기술교육의 비중 확대와 관련된 교육과정 요구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을 진단하고 이공계 인재 양성과 기술적 소양 함양을 위한 향후 기술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의 시간 배당 기준의 문제, 현황 진단 및 비중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유‧초‧중등학교 교원과 대학교수 및 연구원 등의 전문 연구원, 대학생, 학부모 등 1,000여 명의 의견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의견조사는 2018년 3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 달간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별 평균과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은 미래사회에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교과목으로 우선순위에 두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미래사회 변화를 고려할 때, 직업․고용을 창출하는 정도가 높은 분야로는 이공계가 90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86.8%를 차지하며 높은 결과가 나왔다. 둘째, 현행 기술교육에 대해 학교급이 낮을수록 생활에 친근한 교과로 학교급이 높을수록 진로와 친근한 교과로 인식하고 있으나, 실습 시간과 실습을 위한 시설․설비가 부족하여 향후 교육과정에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이공계 분야 집단이 비이공계 분야 집단에 비해 실습 시간과 실습을 위한 시설․설비가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이공계 분야 집단은 이공계 분야 집단에 비해 기술 교과가 가정 교과와 묶여 있어 이공계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막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기술 전공자는 기타 교과 전공자에 비해 장기간 수행하는 프로젝트 도입, STEAM 교육과의 연계, 디지털 기자재 활용, 기술․가정 교육에서 2균분의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반면, 기타 교과 전공자는 기술 전공자에 비해 기술교육의 이론 설명 부분을 사이버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 동의 정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by examining the curriculum requirement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proportion of technology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suggest future improvement plans for nurturing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s and cultivating technological literacy. To this end, as an improvement plan to diagnose the problem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to expand the proportion, about 1,000 opinion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niversity professors and researchers,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etc. was investigated to derive implications. Firstly,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among the subjects that should be treated with importance in the future society in school education. And when considering future social change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with a high degree of job and employment creation were 907, accounting for 86.8% of the total respondents, showing high results. Secondly, as for the current technology education, the lower the school level, the more familiar the subject is, and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more friendly the subjec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it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future curriculum due to the lack of practice time and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practice. Thirdly, it is recognized that th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lacks practical time and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practice compared to the non-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non-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perceives that technology subjects are tied to home subjects compared to th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preventing them from advancing in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urthly, compared to other subject majors, technology majors are suggesting two-fold improvement in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projects, linked with STEAM education, use of digital equipment, and technology and hom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majoring in other subjects had a higher degree of agreement than those majoring in technology about replacing the theoretical explanation part of technology education with cyber learning.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개별화수업모형의 설계 및 적용 사례

        남용(Nam Yong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현재 수업연구의 동향은 수업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측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업을 보다 더 잘하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체육교수자들의 고민일진대, 수업연구는 체육교수자들의 수업개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아 보인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수업모형을 설계하게 되었다. 설계과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수업개선 욕구를 지닌 체육교수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 D 교육청 소속의 5 중학교의 정교사를 사례교사로 선정하여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1년 동안 연구자와 함께 개별화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수업의 효과보다는 수업설계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수업설계상에서 겪은 어려움과 그 해결방안은 구체적으로 상술하였다. 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개수업을 2회 실시하였고, 긍정적인 반응과 향후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받았다. 수업설계과정은 문제의식과 모형선정, 학습단원의 선정 및 조직, 개인학습지의 구성, 동영상자료의 수집, 교육전문가들의 의견, 수업설계과정의 반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개선의 구체적인 흐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objec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design the Personalized System for Instruction(PSI), an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PSI. PSI empowers students to be self-directed learners and does teachers to be experts. Because PSI allot the role to each individual(teacher and student). The personal workbook and making workbook process were given for the teachers trying to teacher better. The applicability of PSI was verified Experts group(principal. vice principal. supervisor, and other P. E. teachers) from around the D educational district .They also commented this was a nice try and it would be provide physical education with bright future. Finally, the considerations from the case teacher`s experience were summarized for the future research and inquiry.

      • KCI등재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조용(Yo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의 어려움을 교원 및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하여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규모학교에서의 고교학점제 담당 교사 및 업무 담당 교육전문직원(지역청, 도교육청) 대상으로 1~9차 심층면담(2022. 5.~2022. 9.)을 진행하였다. 1차 면담에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담당자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고, 9차 면담에서는 지역 단위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면담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녹음 후 전사문을 작성하였다. 결과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에 대한 면담 분석을 통해 (1) 교과 신청 및 개설, (2) 교원 수급, (3) 업무 증가, (4) 학사일정 조정 및 학교 간 이동거리, (5) 학교시설 및 지역자원 활용, 공감대 형성 및 인식의 전환 등 여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사례,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운영 모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현재 지역 내 교과연구회 차원의 교류를 넘어 교육지원청 중심의 교사 간 소통이 일상화되도록 지역별 협의체를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부 강사 활용 인력풀 구축 및 안정적인 교원 수급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업무조직이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담당 교사의 업무량 적정성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experts on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by G Office of Educ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hods To this end, 1st to 9th in-depth interviews (May 2022 to September 2022)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and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in charge (regional offic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first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 small school and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school joint curriculum was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inth interview, cases of joint education courses between local unit schools were discussed, an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Results G Through interview analysis on small school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cases, (1) course application and opening, (2) teacher supply and demand, (3) work increase, (4) academic schedule adjustment and travel distance between schools, (5) Opinions were identified in six aspects, including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the formation of consensus, and the shift in perception.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in small schools, cas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between schools, demand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and demand operation model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Conclusions First, regional consultative bodies should be activate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centered on the Office of Education becomes routine beyond exchanges at the level of current subject research associations in the region. Second, it is urgent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pool using external instructors and improve the stable supply of teachers. Third, the school work organiz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ust be reformed. Fourth, the principle of adequacy of the teacher's workload should be applied.

      • KCI등재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조용(Yong Cho),김소영(So-Young Kim),박상현(Sang-Hyu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 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 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