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직종별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정현철,유일선,펑샤웨이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3

        1990년 후반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산업별, 학력별, 직종별과 성별, 또한 기업규모와 고용형태 등 다양한 층 위에서 노동자간 임금격차 확대와 고용불안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한국 노동시장의 분절현상을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직종별 노동을 고학력과 전문자격증을 소지한 전문직과 그렇지 못한 단순노무직을 독립 요소로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3요소(물적자본, 단순노무직, 전문직)와 외생요인으로 생산량, 세계화와 기 술진보를 포함한 콥-다글라스 생산함수를 설정하였다. 여기에 비용이론을 적용하여 직종별 노동수요 추정식을 유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결정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정결과 단순노무직 노동수요는 생산량과 기술진보에 서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생산요소의 상대가격과 세계화요인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문직 노동수요 는 물적자본의 상대가격, 생산량, 세계화와 기술진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단순노무직 상대임금에 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생산량변화에 대해 단순노무직 노동수요가 전문직보다 더 탄력적이어서 경기변동에 더 민감하고 물적자본과 전문직 간에 보완요소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 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단순노무직은 경기침체기의 고용감소와 기술진보에 따른 고용구축효과로 인한 실업에 대응한 고용안정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세계화의 기술진보로 인한 전문직 노동수요에 부응한 교육제도 개편과 인재양성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한 정상 한국인과 백인의 안와 구조의 비교

        정현철,안희배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9

        목적: 정상 한국인과 백인을 대상으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안와부 계측을 시행하여 한국인과 백인에서 안와의 구조적 차이를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본원에서 안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안과적 질환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들 중 한국인 22명 44안,백인 22명 44안을 대상으로 안와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2명의 연구자가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열 가지의 길이 척도와 세 가지의 각도 측정을 통해 한국인과 백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전측내안와 간 거리는 24.05 ± 2.00 mm, 백인은 21.96 ± 1.96 mm였다. 전측안와수직길이는 한국인이 34.19 ±1.67 mm, 백인이 35.03 ± 1.18 mm로 나타났다. 전측내안와 간 거리와 전측안와수직길이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안와 간 각도는 한국인이 47.69o ± 1.49o, 백인이 46.15o ± 2.19o로 나타났고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안와의 입구 부분이 백인에 비해서 좁고, 안와 사이가 더 벌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안와 질환이나 기형의 진단,수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orbital anatomy in Korean and Caucasian subjects using computed tomography(CT) measurements. Methods: Two observers performed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analysis of 44 CT scans of subjects (22 Koreans, 22 Caucasians) with no appreciable orbital or globe disease. Ten length measurements and 3 angle measurements of various orbital aspects were obtained.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changes in these parameters were associated with race. Results: Anterior medial interorbital length was 24.05 ± 2.00 mm in Korean and 21.96 ± 1.96 mm in Caucasian subjects. Anterior vertical orbital length was 34.19 ± 1.67 mm in Korean and 35.03 ± 1.18 mm in Caucasian subjects. The anterior medial interorbital length and anterior vertical orbital length (p < 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orbital angle was 47.69o ± 1.49o in Korean and 46.15o ± 2.19o in Caucasian subject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Compared with Caucasians, the orbit of Korean subjects has a narrower orbital opening and longer interorbital distance. The present study regarding the anatomy of Korean and Caucasian orbits will assist physicians with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rbital diseases.

      • KCI등재

        양막 콘텍트렌즈의 임상적 효용성

        정현철,이재훈,최수영,김성포,박완기,박우찬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7

        목적: MS-Amnion 양막 콘택트렌즈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점상각막염 또는 각막상피결손 환자를 대상으로 MS-Amnion 양막 콘텍트렌즈를1주일 동안 착용하였다. 3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18안을 대상으로 시술 전과 시술 후 시력,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지각과 각막혼탁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 치료 성공률 및 병변 재발률과 기타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18안 중 15안(83.3%)은 2주 이내에 병변이 호전되어 추가 양막 치료 없이 회복하였고, 3안(16.7%)은 치료 이후에도 병변이 지속되어 추가적인 양막이식술을 하였다. 회복되었던 15안 중 3안(20%)은 기존 병변이 재발하였다. 양막 콘택트렌즈 착용 기간 동안 5안(27.8%)은 양막이 저절로 탈락했고, 2안(11.1%)은 반으로 접혀 있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시술 전 평균 0.89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에서 3개월 후 0.27 logMAR로 호전되었고, 각막혼탁 정도는 시술 전 평균 0.38에서 3개월 후 0.11로감소하였으며 두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눈물막파괴시간과 각막지각은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MS-Amnion 양막 콘택트렌즈는 봉합사를 이용한 일시적 양막이식술과 달리 외래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난치성 안구 표면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있어 일시적 양막이식술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Quantification of apixaban in human plasma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정현철,김태은,신광희 대한임상약리학회 2019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27 No.1

        Apixaban, an inhibitor of direct factor Xa,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cevents or prevention of stroke. Unlike many other anticoagulant agents, it does not need periodicmonitoring. However, monitoring is still required to determine the risk of bleeding due to overdoseor surgery. Usually, apixaban concentrations are indirectly quantified using an anti-factor Xa assay. However, this method has a relatively narrow analytical concentration range, poor selectivity, andrequires an external calibrator. Therefore, the goal of current study was to establish an analyticalmethod for determining plasma levels of apixaban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UPLC-MS/MS). To this end, apixaban was separated using 2.5 mMammonium formate (pH 3.0) (A) and 100% methanol containing 0.1% formic acid (B) using thegradient method with a Thermo hypersil GOLD column. The mass detector condition was optimized using the electrospray ionization (ESI) positive mode for apixaban quantification. The developed method showed sufficient linearity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0.997]) at calibrationcurve ranges. The percentage (%) changes in accuracy, precision, and all stability tests were within15% of the nominal concentration. Apixaban concentration in plasma from healthy volunteers wasquantified using the developed method. The mean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was371.57 ng/mL, and the median time to achieve the Cmax (Tmax) was 4 h after administration of 10 mgapixaban alone. Although the results showed low extraction efficiency (~16%), the reproducibility(% change was within 15% of nominal concentration) was reliable. Therefore, the developed method could be used for clinical pharmacokinetic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