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다변양(多變量) 해석법(解析法)에 의한 시호(柴胡)의 초형분류(草型分類)

        정해곤,성낙술,김관수,이승택,채제천 韓國藥用作物學會 1994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 No.2

        형질이 고정되지 않은 도입 삼도시호의 유용초형을 선발하고자 다변량 해석법에 의해 개체간의 유전적 거리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Cluster analysis로 초형군을 분류를 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호의 지상부 및 지하부 8개 형질을 대상으로 Complete linkage cluster 방법 에 의해 초형을 분류한 결과 6개 군(群)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최초 분지 착생절위가 낮은 개체는 분지수가 많아 다분지형으로 최초분지 착생절위가 높은 개체는 분지수가 적어 소분지형 초형으로 구분되었다. 2. 초형 II군(群)과 VI군(群)은 다분지형으로 그리고 I군(群), III군(群), IV군(群) 및 V군(群)은 소분지형으로 분류되었다. 3. 시호의 건근중은 분지수와 고도(高度)로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을 보였으며, 최초분지 착생결위와는 유의힌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B. falcatum plant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from group I to grop VI by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method depending on 8 charactenstics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number of branches, position of the first branching node root diameter, root length, number of lateral root, dry weight of root. These groups are divided into two plants types, such as multi-branching and non multi-branching type by the number of branches, group II and group VI were the multi-branching types and the other groups were nonmulti-branching ones, Dry weight of root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branche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on of first branching nodes.

      • KCI등재

        자원식물의 기능성 정유성분 이용 고찰

        정해곤,방진기,성낙술,김성민 韓國作物學會 200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8 No.S

        The number of natural products obtained from plants has now reached over 100,000 and new chemical compounds are being discovered ever year.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and their extracts have been used for centuries to relieve pain, aid healing, kill bacteria and insects are important as the antifungal and anti-herbivore agents with further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symbiotic associations. Although their functions in plants have not been fully established, it is Known that some substances have growth regulatory properties while others are involved in pollination and seed dispersal. The complex nature of these chemicals are usually produced in various types of secretory structures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 of a plant family and also influenced and controlled by genetic and ecological factors. Detailed anatomical description of these structures ave relevant to the market value of the plants, the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of a given species and for the detection of substitution or adulteration. Volatile oils are used for their therapeutic action for flavoring of lemon, in perfumery of rose or as starting materials for the synthesis of other compounds of turpentine. For therapeutic purposes they are administered as inhalations of eucalyptus oil, peppermint oil, as gargles and mouthwashes of thymol and transdermally many essential oils including those of lavender, etc. With these current trend for using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will be increasing in the future in Korea and in the world as well.

      • KCI우수등재SCOPUS

        자호(紫胡)의 종자조건(種子條件), 등숙기문(登熟期問) 및 저온층적처리(低溫層積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정해곤,성낙술,채제천 한국약용작물학회 1994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시호 종자를 파종했을 때 발아율이 낮고 발아 소요기간이 길어 입모확보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단기(短期) 동시 발아시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호 종자의 발아특성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호종자의 크기는 입경 2.0~3.0mm 범위이었으며, 평균입경은 삼도시호가 3.0mm 재래시호가 3.1mm이었다. 대립종자일수록 발아기간이 짧고 발아율이 높았다. 2. 시호 종자의 선종에 알맞는 비중은 1.05로 판단되었으며 비중선에 의해 70% 이상의 발아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3. 시호 종자의 등숙기간은 최소 60일 이상되어야 하며 80일간의 저온 층적 처리에 의해 발아율은20% 이상 증가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ncrease ofgermination percent by the seed diameter, specific gravity, different grain filling period and stratification in Bupleurum falcatum seeds. The seed size of B.falcatum ranged from 2.0 to 3.9mm in diameter, The large seed showed the higher germinability, The optimum specific gravity of salt selection for seed screening was 1.05 resulting in screening out seeds with high germinability over 70%.The seeds needed grain filling period for 60 days or longer after flowering to keep high germinability The optimum period of stratification treatment to promote seed germination was about 80 days.

      • KCI등재

        타지키스탄의 농업현황 및 금후 농업기술 협력방안

        고호철,강만정,조규택,마경호,이석영,정해곤,박홍재,곽재균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5 No.1

        1. 타지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남동쪽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국가로서 국토의 50%이상이 해발고도 3,000미터 이상의 고산지이고, 국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7천 미터를 상회하며, 국토면적의 약 6%가 빙하로 되어 있다. 2.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로서 농업이 경제의 축이며 농촌인구가 74%, 농업부문 종사자가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9.8%이고, 농업생산이 국가전체 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4%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다. 3. 이 나라의 농업은 강우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조건 때문에 주로 관개에 의존하고 있으며, 관개재배 면적은 약 70.2만 ha 이고, 주요 농작물은 밀, 목화, 보리, 사료작물, 사과, 포도, 옥수수, 감자, 양파, 벼, 토마토 등 이지만, 수량성이 낮아 밀 등 주곡을 수입하고 있다. 4. 축산업이 농업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1.7%이고 주로 유목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우, 육우, 면양, 염소, 토끼 및 닭이 주된 가축이고 양봉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타지키스탄에는 5,000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고, 왜성밀, 참깨, 멜론, 무, 마늘, 사과, 배, 포도, 베리 류 등 50종의 원산지이고 총 5,317점의 자원을 현지외 보존하고 있으며, 식물원에서도 중앙아시아 고유종 750종을 포함하여 1,500종의 식물을 보존하고 있다. 6. 타지키스탄과는 현재 농업기술협력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농업생산기술이나 농업생산 기반시설 분야에 대한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식물유전자원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비교적 보유자원 수도 많으나 유전자원 저장시설이 미흡하고 증식 등 관리 분야도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있지 못하므로 농업유전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통하여 협력관계를 구축하면서 상호 도움이 되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troduce agricultural status of the Tajikistan republic for whom are interested in agriculture of Tajikistan. Tajikistan is situated in the south-east of Central Asia and shares borders with Afghanistan, China, Kyrgyzstan, and Uzbekistan. The total land area of the Republic is 143.1 thousands km2 and 93 percent of the territory is mountain, and nearly half of the country area is located at 3,000 masl and above. Agriculture accounts for approximately 21.4% of GDP in 2011, and approximately 74% of the population resides in rural areas, and 49.8% of the work force is engaged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09. Because of a little amount of precipitation, almost all of arable land(702 thousands ha, 94.6%) should be irrigated. Important crops in Tajikistan are wheat, cotton, barley, corn, potato, onion, rice, and tomato. Because of low crop productivity Tajikistan imports many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wheat, wheat flour, and potato. The livestock industry occupied 21.7%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 and important livestock are cattle, sheep, goat, rabbit and chicken. There are about 5,000 plant species in Tajikistan, including 650 endemic species and Tajikistan is homeland for fifty plant species including dwarf wheat, sesame, melon, radish, garlic, apple, pear, grape, and berries, etc. The total amount of conserved samples ex situ is 5317, out of which 981 are local varieties and landraces, and 1775 are breeding materials. At present, though there is no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ve project between Korea and Tajikistan, it will be needed to develop cooperative projects in various field of agriculture in the near future. Plant genetic resources can be a good example of cooperative projects on the basis of mutual profit.

      • KCI등재

        호박 유전자원의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

        김상규,노나영,허온숙,곽재균,허윤찬,이주희,성정숙,정해곤,권택윤,백형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6 No.4

        호박 흰가루병은 호박 재배에서 중요한 병중의 하나이다. 호박 흰가루병 발생을 억제한는 최선의 방법은 흰가루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선발과 이를 이용한 저항성 품종의 육성 일 것이다. 본 연구는 호박 생산에 걸림돌이 되는 흰가루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항성 품종 육성하고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되고 있는 유전자원으로부터 흰가루 저항성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를 위해 248점의 유전자원을 흰가루병에 감염된 잎을 가지고 접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접종 한달 후에 평가하였다. 호박 흰가루병 저항성으로 Cucurbita maxima 3점과 Cucurbita moschata 1점이 선발되었으며, 5점이 중도저항성으로 평가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정도는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흰가루병균의 침입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항성 자원 4점은 흰가루병 저항성 육종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Powdery mildew is one of the important diseases occurred in Cucurbitaceae. Screening of pumpkin germplasm for powdery mildew resistance is the best way in developing new variety to prevent or reduce the occurrence of this dis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sistance accessions of pumpkin germplasm in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RDA. Identification of powdery mildew resistant germplasm was conducted after inoculate with infected pumpkin leaves in powdery mildew for two hundred forty-eight accessioins of pumpkin germplasm. Degree of disease resistant was evaluated one month after inocul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Out of two hundred forty-eight accessions of pumpkin germplasm, three accessions of Cucurbita maxima and one accession of Cucurbita moschata were recognized as resistant germplasm to powdery mildew. Five accessions were moderate resistant. The resistance levels of powdery milde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epidermal cell wall and cuticle layer in Cucurbita maxima and Cucurbita moschata. The thickness of epidermal cell wall and cuticle layer may play a role to prevent infection of powdery mildew. Four resistant germplasm can be used as breeding resources for the powdery mildew resistance.

      • SCIEKCI등재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VI.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sterol 화합물의 분리-

        방면호,정해곤,송명종,유종수,정선아,이대영,김세영,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Bang, Myun-Ho,Chung, Hae-Gon,Song, Myoung-Chong,Yoo, Jong-Su,Chung, Sun-A,Lee, Dae-Young,Kim, Se-Young,Jeong, Tae-Sook,Lee, Kyung-Tae,Choi, Myung-Sook,Bae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9 No.2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sterol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림 데이터를 해석하여, ${\beta}-sitosterol$ (1), dehydroergosterol $5{\alpha},8{\alpha}-epidioxide$ (2), stigmasterol (3), daucosterol (4)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Sajabalssuk (Artemisia herba)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successively.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four sterol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and ODS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sterols were determined as ${\beta}-sitosterol$ (1), ergosterol peroxide (2), stigmasterol (3) and daucosterol (4). They were the first to be isolated from Sajabalssuk (Artemisia herb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