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 놀이 시설물 디자인의 국제화 전략에 관한 연구

        정지현,이재용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6 No.3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with the status of Korea through the example of design for Korea Children’s playground and status of government for safety to be related to Korea children’s playground and expectation of market by the safety rules of children, three international strategies for facilities of children playground have been analogized to be summarized with the analysis of children play design features per each companies of North America and Europe. Especially, the example of design for Korea Children playground has been included with contents of the study which been evolving from the green safety playground busines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children playground of the type for the experience of the big construction company into the urban community facilities from the children to the adult. In the comparis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es for children playground, the characteristics design of children playground for each company of North America and Europe have been summarized and analyzed. The companies of the children playground which representative of each country have been analyzed deeply with Germany, England, France, Spain, Norway, Italy and Finland in case of Europe and America and Canada in case of North America as the central figure, and then the factor of design differentiation for each company of children playground has been studied. These three international strategies for facilities of children playground have been got through these kinds of studies. First of all, they could be summarized with the globalization through the standard of children safety management in Asia and the globalization to be utilized Asia culture contents and globaliz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Korean medium companies including facilities to be related to urban health. In the future study,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 for the children playground would be needed urgently from the material, design and works. 본 연구는 어린이 놀이 시설물 디자인의 국제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우선 어린이 안전법에 의한 시장예측과 국내 어린이 놀이시설에 관련된 안전성 관리기관 현황 그리고 국내 어린이 놀이터 디자인 사례를 통해서 국내현황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내 어린이 놀이 시설물의 디자인 사례는 환경부의 친환경 안심놀이터 사업과 대기업 건설사의 체험중심형 어린이 놀이터 그리고 어린이부터 노인까지의 도심 커뮤니티 시설로 진화하는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어린이 놀이 시설을 위한 기업별 특성 비교에서는 북미와 유럽의 기업별 어린이 놀이 시설물 디자인 특성을 분석 종합하여다. 북미의 경우는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유럽의 경우에는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노르웨이, 이탈리아, 필란드를 중심으로 각 나라를 대표하는 어린이 놀이 시설물 기업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어린이 놀이 시설물의 기업별 디자인 차별화 요인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어린이 놀이 시설물의 국제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우선 아시아 어린이 안전관리기준을 통한 국제화와 아시아 문화컨텐츠를 활용한 국제화 그리고 도심 건강관련 시설물을 포함한 국내 중소기업 협력을 통한 국제화로 요약정리 할 수 있었다. 향후연구과제로는 소재에서 출발하여 디자인과 설계 그리고 시공 이르는 어린이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필요하고 시급하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지현,박선미,이지현,김종훈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22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job crafting, and innovative behavior a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with 296 daycare center teachers in B Metropolitan City and K-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22.0 and AMOS 22.0,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post-proces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both social support and job craf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Moreover, the results of the bootstrapping method found that both the indirect effect of having job crafting as a parameter between social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the direct effect of not having it as such a parameter were meaningful; in this way, it was verified that job crafting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on innovation behavior though job crafting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on innovative behavior.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as to promote innovative behaviors at a time where new changes are required in the teaching behaviors of childcare teachers due to the advent of the post-COVID era and the reinforcement and simplification of the current childcare teaching curriculum.

      • KCI등재

        낙동강 중류 지천의 식물상(영강, 내성천, 위천, 감천, 병성천)

        정지현,홍순천,박희준,백원기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2 No.5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2016 to October and from April to October 2017 in Tributary Region of Middle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survey was carried out at 66 sites including Young-gang 11, Naeseong-cheon 21, Wi-cheon 16, and Gam-cheon 9, Byeongseong-cheon 9.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474 taxa in total ; 99 familly, 288 genera, 421 species, 4 subspecies, 39 varieties and 10 forma. Among them, 5 Korean endemic plants, 7 rare plants, 31 taxa were listed as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uralized plants was confirmed 73 taxa, their Urbanization Ratio 22.7%, and naturalization ratio 15.4%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Life form(Dormancy form) review results as follows ; Therophytes 159 taxa, Hemicryptophytes 91 taxa, Hydrophanerophytes 68 taxa, Geophyte 52 taxa, Nanophanerophytes 35 taxa, Megaphanerophytes 32 taxa, Microphanerophytes 25 taxa, Chamaephytes 12 taxa, and Epiphyten 1 taxa. 본 연구는 경상북도 중북부지역 낙동강 중류의 하천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향후 유사지역 하천에서의 관속식물상 조사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6년 5월부터 10월, 2017년 4월부터 10월에 걸쳐 영강, 내성천, 병성천, 위천 및 감천 등 5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조사지역에서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99과 288속 421 종 4아종 39변종 10품종 등 총 474분류군이었다. 이 중 양치식물은 8과 8속 10종 1변종 등 11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3속 4종등 4분류군, 쌍자엽식물 73과 217속 312종 3아종 25변종 8품종등 348분류군, 단자엽식물 14과 60속 95종 1아종 13변종 2품종등 1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특정종으로 중요도가 높은 Ⅲ등급 이상을 살펴보면 Ⅴ등급은 조사되지 않았으며,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귀화식물은 7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소산식물의 생활형 분석결과 Th 159분류군, H 91분류군, HH 68분류군, G 52 분류군, N 35분류군, MM 32분류군, M 25분류군, Ch 12분류군, E 1분류군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엘리베이터 디자인 컨설팅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정지현,박응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elevator design consulting internationally by embodiment of elevator design consulting from the existing elevator consulting in detail. That i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pproached with expecting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design activity of elevator consulting by embodiment clearly of the role and concept of elevator design consulting for the super-tall and high-rise building. Firstly, the prospects of elevator design consulting will be bright. Secondly, the portion of elevator design consulting is lower and the history of elevator consulting companies are short in Korea than overseas countries. Thirdly, in order to overcome these kinds of handicap, firstly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EAN elevator design research center could be expected these various strategies and establish strategy of design infra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c world,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LED/OLED elevator lighting ,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future oriented elevator space design,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space accessability through 3D control system, the co-operation strategy between architects of super-tall and design. Even though the elevator consulting business has been established 4 years ago in Korea, there are no regulation, rules or supports by the government. Therefore, strong supports of government would be earnest to be more active for the elevator consulting companies which are the elevator expert group to work hard to improve the safety and quality of people for elevators and escalators. Furthermore, these kinds items can be set up the future research, in the beginning, the elevator makers can be difficult but they should understand that is to increase the safety and quality and support strongly and follow the consultant’s requiremen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컨설팅에서 디자인컨설팅을 심도 있게 구체화시켜 국제적인 엘리베이터 디자인 컨설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즉, 초고층 건물을 위한 엘리베이터디자인 컨설팅의 역할과 개념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구체화시켜 부족하고 결핍된 엘리베이터 컨설팅의 국제적인 디자인의 활동가능성을 기대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엘리베이터 디자인 컨설팅의 미래 전망은 밝다. 둘째, 해외 엘리베이터 컨설팅 업체에 비해 우리나라 엘리베이터 컨설팅 업체는 역사도 짧지만 디자인 컨설팅의 비중이 낮다. 셋째, 이러한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초고층 건축설계와 디자인 연계전략, 3차원 통제 시스템을 통한 공간 접근성 특화 전략, 미래지향적 엘리베이터 공간디자인의 특화전략, LED/OLED 엘리베이터 조명특화 전략, 관산학연을 통한 디자인 인프라 구축전략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전략들을 종합하여 한.아세안 엘리베이터 디자인 연구소 수립을 진심으로 기대해 본다. 엘리베이터 컨설팅이라는 새로운 사업이 국내에 생겨나서 현재 4년 정도 흘러왔으나 관련 제도나 규정 또는 정부지원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누구보다 국민의 안전과 품질향상에 힘쓰고 있는 엘리베이터 전문가 집단인 컨설팅 업체를 보다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업계에서는 초기에는 어렵겠지만 컨설턴트들이 요구하는 사항이 곧 안전과 품질 향상을 위한 것임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컨설턴트들의 요구사항에 대해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를 바라며 이러한 사항들을 본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로 설정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