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통합의료정책의 특성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통합의료정책의 변화 방향

        정준호,주효진 한국비교정부학회 2019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3 No.4

        China is not only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Chinese medicine-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but also the earliest initiation of policy interest and support for integrated medicine. Since the 1950s,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pursued bo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edicine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medicine and advocated the integration between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ing process of China's integrated medical development policy that has been pursu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w China.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the promotion system of integrated medicine were analyzed. And to develop integrated medicine, the policy of fostering integrated medical professional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detailed.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China's integrated medical policy are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for the integrated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was established; Second, the system of fostering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needed to provide high-quality integrated medical services in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was established; Third, the independent certif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medical professionals in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중국 중요농업문화유산제도의 특징 및 함의

        정준호 중국학연구회 2016 中國學硏究 Vol.- No.78

        由于人口的持续增长和耕地面积的持续减少,中国的传统农业文化遗产处于消失的危机 状态。为保护并合理利用传统农业文化遗产,2012年3月中国农业部制定了'中国重要农业文 化遗产认定标准',并提出了重要农业文化遗产的标准。为施行对重要农业文化遗产的系统性 保护和管理,2014年5月制定了'中国重要农业文化遗产管理办法(试行)'。根据'认定标准'的 规定,重要农业文化遗产应具备六个特点: 活态性、适应性、复合性、战略性、多功能性和 濒危性。在'管理办法'上明确规定,重要农业文化遗产发掘工作应当遵循"在发掘中保护和在 利用中传承"的方针,并提出了"动态保护、协调发展、多方参与以及利益共享"的管理原则。 为了分析中国重要农业文化遗产的特征,该研究从法规侧面、组织结构和运行机制侧面 以及个别重要农业文化遗产的具体特点侧面,分析了已经被选定的62个重要农业文化遗产的 制度性区别和运行情况。对重要农业文化遗产的分析后得出了以下政策含义: 第一、从重要 农业文化遗产的法规侧面上,制度化水平逐渐提高了。以后完善有关法规则需要覆盖愈来愈 多样化的农业文化遗产; 第二、中央政府主导重要农业文化遗产保护政策。以后从中央政府 主导的分工型运行机制转为强化遗产地人民政府和农民的自律性、责任性的分权型运行机制; 第三、为了动态保护、合理利用重要农业文化遗产,强调可持续发展管理。重要农业文化遗 产的运行机制从自助型逐渐变成产业型或研究型,每年进行的评估制度也需要改进。

      • 위성통신시스템 성능분석

        정준호,이해선 한국통신학회 1996 정보와 통신 Vol.13 No.8

        위성통신시스템의 효율적인 성능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통신시스템 시뮬레이션 Tool을 수정 보완하여 위성의 각종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른 전체 위성통신시스템의 성능분석을 디지털 전송 방식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상 하 각각 한 채널씩의 인접채널 간섭을 고려하여 성능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성통신시스템에서 단일 반송파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의 위상천이, 군지연 특성과 같은 위상관련 특성들이 전체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극한기후 변수가 농업에 미친 영향에 대한 리카디언 분석

        정준호,조창현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3 기후연구 Vol.8 No.2

        This paper analyses the impact of extreme climate events’ annual variation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agricultural land values with a panel data of 49 municipalities for 1992-2010 based upon a Ricardian approach in order to consider the short and long-term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 estimates indicate that heavy rainfall-related extreme climate events negatively affect agricultural land values. However, summer-related extreme events in temperature are negatively related to agricultural land values, while winter-related ones in temperatur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m except for extreme cold wave in the daytime. This result confirms that temperature-related variables are more significant than precipitation-related ones in explaining and measuring the economic effect of global warming and extreme climate events on agriculture in Korea.

      • 유기적 비행 어레이의 동역학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

        정준호,오복영,김승균,석진영,홍진성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덕티드팬 무인기의 결합/분리를 통해 새로운 형상을 갖는 유기적 비행 어레이(OFA, Organic Flight Array)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유기적 비행 어레이의 단순화된 동역학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구현된 모델을 적용하여 궤환 선형화 기법과 최적 제어 이론을 이용한 제어기를 설계 하였다. 다섯 기의 단일 비행 개체 결합으로 구성된 비행 어레이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경로점 항법 임무를 통해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organic flight array(OFA) which has new configuration to consist of assembly and separation of ducted-fan unmanned aerial vehicle(UAV) modules. Simplified dynamic modeling method is carried out for the proposed OFA, and a feedback linearization technique with optimal control theory is applied for controller design to use the derived dynamic modelling. Moreover, a numerical simulation environment is built for the OFA with five ducted-fan modules. In addition, the designed controller is verified for waypoint navigation via simulation.

      • KCI등재

        지역문제의 담론지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준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0 동향과 전망 Vol.- No.78

        A critical review is made regarding the theoretical, empirical and policy-related discourses of regional problems in economic terms. In particular, it is discussed whether or not the regional problem can still be raised as a progressive topic through a critical assessment of elaborated mainstream economic discourses on regional disparities at the macro level. It is suggested that a concept of regions would be in fact ignored in the recent regional development discourses such as neoclassical new growth theories, endogenous growth theories and new economic geography theories, thus leading to an abstract conclusion. Moreover, empirical data on regional disparities are analyzed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 allowing a different interpretation that the Korean spatial structure could be hierarchically structured by the locational requirements of production. The significance of multi-polar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is discussed after a critical review regarding the current discursive terrains of regional policies in which old regional policies are declining. 본고는 경제적 관점에서의 지역문제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그리고 정책적 담론지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거시적인 차원의 지역 간 격차와 공간분포에 대한 정교한 주류 경제담론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지역문제가 여전히 진보의 화두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지역발전론에 대한 신고전파의 신성장이론, 내생적 성장론, 그리고 신경제지리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지역개념이 실종되어 결국 주류의 일반적 결론으로 회귀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지역격차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시도와 시·군·구 단위에서 제시하고 한국의 공간구조가 산업의 입지요구량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는 대안적 해석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본래적인 의미가 퇴색하는 현재의 지역정책에 대한 담론지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극 지역경제성장의 의의를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