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호주, 한-뉴질랜드 FTA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정재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최근 우리 정부가 호주, 뉴질랜드와의 FTA를 추진하는데 즈음하여 양 지역간 경제관계를 개관하고 FTA 체결의 필요성과 협정 발효시 기대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지리적으로 세계 경제중심에서 떨어져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동안 적극적으로 다양한 국제협력에 참여해 왔고 특히 최근 들어서는 인접국 뿐만 아니라 타 대륙의 거대 경제권과의 FTA 체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 나라는 그동안 한국과의 FTA 체결을 희망해 왔으나 국내 농업에 대한 피해 등을 우려한 우리 정부는 이들 국가와의 FTA 추진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그동안 한-미 FTA가 타결되고 한-EU FTA, 한-캐나다 FTA 타결이 임박함에 따라 국내 농업에 대한 개방이 상당 수준 진전되어 농업 분야의 민감성이 많이 약화되었고 특히 호주가 태국, 중국 등과 체결한 FTA로 인해 우리 공산품의 수출이 위협을 받게 됨으로써 이들 국가와의 FTA 추진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과 호주․뉴질랜드 간의 경제관계를 개관하고 FTA 체결시 기대되는 효과와 향후 추진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 지역간 FTA에서는 상품관세 철폐를 통한 교역 확대 효과도 있지만 이와 함께 투자․서비스 진출, 자원협력, 농업협력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성공적인 FTA 체결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Australia and New Zealand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various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s to overcome the geological handicap of being remote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economy. Recently, both countries have pursued conclusion of FTAs with not only neighbouring countries but also big economies in the different continents. Korean government has hesitated to start FTA negotiations with these countries due to possible damages to the agricultural sector. But meanwhile, Korea has signed FTA with the U.S. and almost concluded FTA negotiations with the EU and Canada resulting in the substantial opening of its agricultural market. At the same time, Australia and New Zealand have concluded FTAs with Korea's competitors like Thailand and China which caused shrinking of Korea's market shares i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imports. These changes increased the necessity for Korea-Australia and Korea-New Zealand FTA. In this circumstance, this paper looks into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and the possible effects of Korea-Australia and Korea-New Zealand FTA. In these FTAs, the essential factors for successful FTA will be not only the integration of commodities market, but also opening of investment and services, and development of cooperations in various areas like natural resources and agriculture, etc.

      • 서울특별시의 재정력 실태 및 개선방안 :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을 중심으로 Reform of Grant-In-Aid System

        정재화,강여진,최호진 대진대학교 2002 大眞論叢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seeks to present the financial capacity improvement pla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at focus on reform of grant-in-aid system.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explanation on conception, style and purpose of grant-in-aid system, the examination on financial problem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ue to several changing conditions, and the investigation on improvement plan to enhance the financial capacit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conclusion, We presents that should be to reform of grant-in-aid system by a important method to strengthen the financial capacit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so, that reform should be to carry in the direction of to enhance or reorganize benevolence's criteria and limits.

      • 우리나라 地方行政區域의 變遷에 관한 연구

        정재화 대진대학교 1998 大眞論叢 Vol.6 No.-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the local government areas in Korea from it's origin to the Stage of Japanese Rule. Through this study, it is realized that the local government areas has not been formed in a short time but long on the historical context. Thus it is required that the future reforming of the local government areas be on the such historical background.

      •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받은 유방암 환자에서 미세진행암 검색을 위한 Cytokeratin-19 검사의 의의

        정재화,,이규택,박성규,원종호,백승호,서원석,홍대식,박희숙,이민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1978년 악성 림프종에서 처음으로 자가골수이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자가골수이식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최근에는 동종골수이식보다 더 많이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은 유방암 환자에서 최근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자가이식의 잠재적인 한계인 골수나 말초 조혈모세포 수집으로부터 얻은 오염된 조혈모세포의 재주입의 가능성 여지가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에 따른 잔존 세포암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어져 왔고 이는 잔존 암세포를 발견할 수 있는 분자적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고 있다. 유방암 환자에 있어 정상 혈액 단핵구내 유방암 세포 발견을 위해 cytokeratin-19 (CK-19) mRNA와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뛰어난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세포 특이 단백질에 대한 mRNA를 RT-PCR에 의존한 검사로서 10^(7)개의 정상세포중 최소 1개의 tumor cell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utograft 내의 유방암 세포의 발견을 위한 RT-PCR 방법의 민감도를 평가하고 CK-19에 대한 RT-PCR 검사 양성인 말초혈액 내 암세포의 존재와 임상양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1996년 9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입원하여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총 13명의 환자중에서 10개 이상의 림프절 양성을 보이는 고위험군 유방암 환자가 6명이었고 재발성 유방암 환자가 7명이었다. 대상환자들에게 2번의 FAC 요법이후 mobilization으로 doxorubicin, paclitaxel 및 GM-CSF를 투여하였고 전처치로는 thio-tepa, carboplatin, mitoxantrone을 사용하였다. Mobilization 이후 채취한 조혈모세포의 일부를 이용하여 CK-19에 대한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RT-PCR의 민감도는 유방암 세포주인 MCF-7을 이용하였을때 정상 골수세포 100만개 중 1개의 MCF-7 세포가 존재하여도 RNA가 증폭되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감수성은 1:10^(6)의 비를 보였다. CK- 19에 대한 RT-PCR 결과는 13명의 환자 중 2명에서 CK-19 양성 소견을 보임으로써 15.4%의 양성률을 보였다. 2명의 환자는 모두 재발된 유방암 환자군에 속했으며 이중 1명은 1번에서만 CK-19 양성 소견을 보였고 나머지 한명은 2번 모두 apheresis 내에 CK-19 mRNA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전체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고위험군에서 2년 생존율이 52.6%, 재발된 군에서 19.1%가 관찰되었으나 PCR 양성인 2명의 재발환자는 각각 4개월과 16개월째 사망하였다. 결론:고위험군과 재발된 유방암 환자에서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은 비교적 안전하며 잠재적 이득이 있는 치료법이다. 유방암 환자의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내에 미세 잔존암 여부를 확인 위해 시행한 cytokeratin-19에 대한 RT-PCR은 특이도와 민감도가 뛰어난 검사이며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내 잔존 암세포의 존재는 무병 생존률이나 전체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 향후 유방암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할 때 잔존 암세포의 검색을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채집된 조혈모세포 내에 오염되어 있는 암세포의 제거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Breast cancer is a chemosensitive tumor and dose intensification might improve the disease-free survival and cure rates in high risk and relapsed breast cancer patients with poor prognosis.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s (PBSCs) provide accelerated hematopoietic recovery after myeloablative and myelosuppressive chemotherapy. The appreciation of the importance of minimal residual disease has been associated with a dramatic increase in reports describing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detect minimal disease, especially molecular techniques based primarily o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Cytokeratin-19 mRNA and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mRNA were shown to be highly specific and sensitive markers for the detection of breast cancer cells within normal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ensitivity of RT-PCR assays for the detection of breast cancer cells within autografts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outcome and the presense of tumor cells in PBSCs that positively reacted to RT-PCR assays. Methods:A cytokeratin-19 (CK-19) specific-nested RT-PCR assay was developed andoptimized by using limited dilutions of the MCF-7 breast cancer line mixed with normal bone marrow cells. The optimized assay was then used to examine PBPCs samples obtained from 13 patients with high risk and relapsed breast cancer. Results: In the sensitivity, CK-19 expressing tumor cells were detected in the mixture of 10 MCF-7 cells in 10^(7) normal bone marrow cells. Two patients of 13 (15.4%) scored positive to CK-19 in PBSCs with breast cancer, indicating minimal residual disease. Two patients with relapsed breast cancer with positive of CK-19 were died at 4 and 16 months after PBSCT. Conclusion: RT-PCR of cytokeratin-19 assay is a sensitive, specific and rapi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inimal residual cancer cells within PBSCs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presence of minimal residual tumor in PBSCs was trending toward short median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and this assay can be used for detection of cancer cells in harvested PBSCs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high dose therapy with autologous PBSCT.

      • 칼륨이온에 의해 유발된 내장통과 체성통이 심맥관계와 호흡계에 미치는 영향

        정재화,나흥식,남숙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88 고려대 의대 잡지 Vol.25 No.3

        Somato - sympathetic and viscero - sympathetic reflex responses were studied by recording the activity of cardiac sympathetic efferents and blood pressure simultaneously following chemical activation of receptors in the skeletal muscle and small intestine in anesthetized and vagotomized cats. Respiratory responses to chemical activation of receptors in the skeletal muscle and small intestine were also measured by recording the phrenic nerve discharge r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tassium ion, injected into mesenteric and sural artery, increase the blood pressure and the activity of cardiac sympathetic efferents. 2. The respiratory response followed by injection of potassium ion Into mesenteric and sural artery consisted of increases in respiratory frequency and inspiratory discharge rate where upon the neural equivalent of increased minute ventilation. 3. The reflexogenic effect to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 evoked by intestinal pain is stronger than that of muscular pain.

      • 글로벌시대의 반(反)부패대책 : OECD「부패방지협약」을 중심으로

        정재화 대진대학교 2000 大眞論叢 Vol.8 No.-

        OECD took the lead in concluding the Corruption Round for the sake of removing the corruption practices between business connections and the public servants relating to them in inter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s, and the Corruption Round came into force in February 15, 19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into the details of the Corruption Round which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new and fair orders in international trades and to suggest the accommodating strategy for it in our country. Now, the prevention of the corruption in the world trade society is the indispensable condition to survive in it.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 power of our country, our country is to cooperate to decrease corruption and to act in concert with OECD and WTO for the aim.

      • KCI등재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한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

        정재화,이효녕,고수진,오영재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about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 total of 28 students in the attached center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o the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ir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the perceived danger levels, certainty, and tangibility of the selected 13 Earth environmental problems. The DAET (Draw-An-Earth Test)-Checklist were developed and used to analyze the images of the Earth drawn by student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larify the meanings and components of students’ image. Results indicated that a total of 80 components regarding Earth systems, 11 components of Earth systems interaction, and 4 components related to Earth systems literacy were identified through the DAET-Checklist and additional interviews. Regarding the students’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they reported that they were most knowledgeable about air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water pollution. and they also recognized global warming, air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as the most dangerous problem.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certain that acid rain, air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were problematic, and that acid rain, air pollution, and forest desertification were tangible issu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selected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