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전류의 역사와 한문 학습 자전의 필요성

        정재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한자 문화권에서는 언어사전을 흔히 字典이라 불러 왔다. 이것은 현대의 辭典에 해당하는 것인데, 편찬의 목적과 방식에 따라 字典을 韻書, 類書, 字書의 셋으로 나눈다.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운서들은 대부분 『三韻通考』의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의 어문 생활에서 필수적인 시부를 지을 때에 同韻字의 검색을 용이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또한 실학 시대에 편찬된 物名類의 類書들은 당시 중국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한자 어휘들을 우리 고유의 방식으로 고증하고, 이를 새로운 한자 어휘 수용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한자 자전으로서의 체제를 온전히 갖추고 있는 자전은 정조 때에 간행된 『全韻玉篇』으로, 이 책에서 규범화된 한국 한자음은 현대 한자 자전의 한국 한자음에 대한 기본 틀이 되었다. 2008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간행한 『漢韓大辭典』은 한자문화권에서 간행된 각종의 韻書, 類書, 字書 등에 수록된 문자와 어휘를 집성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한글이 창제된 것을 계기로 ‘語文一致’의 필요성이 절실했음에도 불구하고 -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것을 계기로 ‘語文一致’의 여건이 조성되었지만, 여전히 한글이 문자 생활의 중심이 되지는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한문중심의 어문 생활에서 한자의 音과 義에 대한 지식, 나아가서 한문 속의 한자어 등의 주석적 지식은 필수적이었다. 최세진이 1522년에 편찬한 『訓蒙字會』는 한문중심의 언어생활에서 아동들이 한자교습서로 사용하던 『千字文』과 『類合』의 문제점을 보완한 한자 학습용 사전이다. 이 책에 제시된 표제자들이 대부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僻字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최세진이 살던 시대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가 언어적 환경이 서로 다른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세진이 어린아이들의 한자 교육을 위해 편찬한 『훈몽자회』는 한문중심의 언어생활에서 책에서 학습한 문자와 실제 눈으로 본 사물을 하나로 일치시키는 ‘字與物一’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한문 학습 자전의 편찬은 기본적으로 한문 문장을 독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한문 문장을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문장 속에서 구사된 한자 어휘의 의미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한문 문장에는 한자 어휘는 經書나 史書 등 중국과 한국 고전 문헌에서 사용된 것과 함께 불경 번역어와 중국 근대어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학교 현장에서 ‘2009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하기 이해서는 한문 문장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불경 번역어와 근대 중국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또한 근대 이후 서구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신문명 어휘들은 현재에도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물론 학교에서 사용하는 모든 교과서의 학술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한문 학습 자전에 수록할 표제어를 선정할 때에는 위와 같이 한자 어휘의 중핵을 이루고 있는 불경 번역어, 중국 근대어, 신문명 어휘들에 대한 합리적인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e language dictionary has usually been called the Jajeun字典. It is divided by three kinds according to their editing purposes and methods as the Uoonseo韻書, Ruoseo類書, and Jaseo字書. Many of the Uoonseos in Korea were composed by the way of 『Samuoontogo三韻通考』 and conceived to make it easy for the users to look up words in them. Also, the Ruoseos of Moomyongruo物名類s were published in the period of Silhak實學, or the practice science and they were the outcome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and accommodating the newly made Chinese words by peculiar way to Korea. 『Junuoonokpyon全韻玉篇』 is a lexicon published in the reign of King Jungjo正祖, completed the perfect system as a dictionary so that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d been regulated by this book became the fundamental pronunciation form of today in Korea. 『Hanhandaisajun漢韓大辭典』 b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of Dankuk University in 2008 compiled all sorts of the characters and vocabularies in the Uoonseo, Ruoseo, and Jaseo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In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Korean alphabet invention and the desperate need of Umoonilchi語文一致, Hanguel, or the Korean alphabet couldn't be the center of the literal life. In the Chinese writing centered language society, it was indispensible to have the knowledge of the annotations as well as the pronunciations and meanings of the characters in the Chinese sentences. 『Hoonmongjahul訓蒙字會』, edited by Choi Se-jin in 1522, was a learner's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it was complemented the problems of 『Chunjamoon千字文』 and 『Ryuhab類合』 which has been used as the children's Chinese study books in their Chinese character centered language lives. Most of the headletters(表題字) in this book are constituted by the an unusual letters and not included in the 18000 letters for the fundamental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reason is because the language circumstances of Choi's period are different from ours. His 『Hoonmongjahul』,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for children was originat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for Jayumoolil字與物一, which means the conc urrence of characters in books and things in actual life. The public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for Chinese characters is basically to help comprehend Chinese sentences.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m correctly, one should grasp the meaning of the Chinese vocabularies of the sentences in the dictionary. The Chinese vocabularies of the sentences include many words of the classics and history books in Chinese and Korean classic literature, translation words for the Buddhist scriptures, and modern Chinese. To complete the revised curriculum for Sino-Korean subject in 2009,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inese translation words for the Buddhist scriptures and modern Chinese placed deeply in the Chinese sentences. Futhermore, new cultural vocabularies mad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civilization after modern ages have been using as the technical terms in all school textbooks as well as in the actual language life. Therefore, choosing headwords(表題語) for the Chinese character study dictionary,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 reasonable solution plans about the Chinese translation words for Buddhist scriptures, modern Chinese, and new civilization vocabularies because they construct the core of the Chinese characters as above-mentioned.

      • KCI등재
      • KCI등재

        팔준준마 신화의 정치적 상징조작 연구

        정재철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8 excellent Horse’ myth in the case of political icon manipulation. the “8 excellent Horse”, originally introduced in the ‘San hae jing’, corresponds to the hero myth of King Mok, but is used for political purposes by various kings of the Joseon Dynast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ight-level characteristics of Lee Seong-gye’s rational system are as follows. First, “Paljundo” emphasizes a painting image rather than a oral version through myths. Second, “Paljundo” aims for political effects through characters by turning the image of the seller into a figure. Third, ‘Paljundo’ is a mythological transformation according to political purposes, and later increases the political effect by adding literary and musicality. In conclusion, Paljundo corresponds to the manipulation of symbols using myths, and Joseon political leaders have various forms of symbol manipulation according to political purpose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팔준도’를 통해 나타난 정치적 상징조작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산해경에 소개된 ‘팔준준마’는 원래 주(周)목왕의 영웅 신화에 해당하지만 조선시대 여러 왕들에 의해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연구 결과 태조 이성계의 팔준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팔준도’는 신화를 통한 구전보다 회화적 이미지가 강조된다. 둘째 ‘팔준도’는 팔준 이미지가 인물로 전환됨으로써 인물을 통한 정치적 효과를 노린다. 셋째 ‘팔준도’는 정치목적에 따라 신화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후 문학성, 음악성을 첨가하여 정치 효과를 상승시킨다. 결론적으로 팔준도는 신화를 활용한 상징조작에 해당하며, 조선 정치지도자들은 정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징조작이 이루어진다.

      • KCI등재

        『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 구성에 대하여

        정재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1 東洋學 Vol.50 No.-

        The institute of Asian Studies of Dankook University has been making 『Digital漢漢大辭典』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wo dictionaries, 『韓國漢字語辭典』 published in 1996 with 4 books and 『漢韓大辭典』 published in 2008 with 15 books. The Grand Chinese Character Digital Dictionary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aper dictionary and increase the uses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remarkably. This dictionary would have not only common vocabularies but professional vocabularies as well such as systematic vocabularies, religious vocabularies. It will also include proper nouns such as names of people and places, names of plants and animals and minerals and will have a feature like an encyclopedia in reality as well as in name. And analyzing the different shaped letters and embodying the similar letters and substitutional meaning letters would be possible because this dictionary transformed all of the letter informations to Web fonts, Therefore it will broaden the approach for all of the users from professional researchers to common men of culture and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guide to succeed our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basic direction to make a dictionary that helps users to interpret the Chinese classics properly, only solid vocabularies which could be proved by the sources and illustrative sentences has been chosen as the head words in 『漢韓大辭典』 and 『韓國漢字語辭典』. Therefore in these two dictionaries the terms for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and the modern Chinese characters were rarely included or included only a few even if there were. Considering of the impacts of the Buddhism to Chinese cultural areas and the use frequency of the modern Chinese in Chinese classics, it is desirable to put the Buddhist terms and modern Chines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ead words of 『Digital漢漢大辭典』. And in the dictionary some of the new civilization vocabularies which has been used in the Chinese classics were included, but all of the new cultural vocabularies like those must be included in the Chinese classic literature published at the time of enlightenment.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는 현재 1996년에 4책으로 완간한 『한국한자어사전』과 2008년에 15책으로 완간한 『한한대사전』을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한 『디지털한한대사전』을 편찬하는 사업을 진행하고있다. 『디지털한한대사전』은 페이퍼 사전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한자 사전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사전이 될 것이다. 이 사전에는 일반 한자 어휘뿐만 아니라, 제도어, 종교어 등 전문어와 함께지명, 인명, 동식물명, 광물명 등 고유명사도 수록하여 백과사전적 면모를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이 사전은 모든 문자 정보를 웹 폰트로 전환한 사전으로 이체자의 성격별 분류나 유사 의미자 혹은 대체 의미자의 구현까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사전은 고전 문헌의 전문 연구자에서부터 일반 교양인에이르기까지 모든 사용자에 대해 한자에 대한 접근의 폭을 확대하여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전통 문화의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한대사전』과 『한국한자어사전』에 수록된 표제어는 한문 고전을 독해하는 데 필요한 사전을 만든다는 기본 방향에 따라 각 한자 어휘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출전과 예문이 확실한 어휘만을 수록하였다. 따라서 이 두 사전에는 불경 번역어와 근대 중국어가 거의 수록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적은 수의 어휘만수록되어 있다. 불교가 한자문화권에 끼친 영향으로 보거나 근대 중국어가 고전 문헌에 사용된 비중으로보아, 『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를 구성할 때에는 불교 경전을 번역한 한자 어휘나 근대 중국어를 폭넓게 수록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한대사전』에는 동아시아에서 서양의 문명을 수용하던 시기에 두 나라의 고전 문헌에서 사용된 신문명 어휘의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를 구성할 때에는 위와 같이 개화기 전후에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고전 문헌에 나오는 신문명 어휘들을모두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