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절을 고려한 직립 이안제에 작용하는 파력의 공간적 변화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6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선형파 이론으로 제시된 반무한방파제 주변의 회절에 대한 해를 중첩하여 직립 이안제 주변에 발생하는 회절에 관한 해석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이안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전·후면에 작용하는 합성파력에 대한 해를 유도하였다. 이안제 전면과 후면에서는 회절파와 중복파, 이안제 양쪽에서 회절한 회절파와 회절파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상대진폭이 공간상에서 주기적으로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규칙파, 일방향 불규칙파 및 다방향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직립 이안제에 작용하는 파력을 검토하였다. 규칙파 내습시 이안제 전·후 면의 파력을 모두 고려한 최대 합성파력의 경우 회절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최대 1.6배까지 파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ung et al.(2021)이 반무한 방파제에 대해 회절효과를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인 1.34배보다 큰 수치이다. 이안제에 작용하는 최대파력은 규칙파, 일방향 불규칙파, 다방향 불규칙파 순으로 크게 계산되었다. 파랑이 비스듬히 입사하는 경우 이안제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보다 최대파력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안제를 설계할 때, 회절효과, 이안제 전·후면에 작용하는 파력, 파랑의 입사각의 고려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solution for diffraction near a vertical detached breakwater was suggested by superposing the solutions of diffraction near a semi-infinite breakwater suggested previously using linear wave theory. The solutions of wave forces acting on front, lee and composed wave forces on both side were also derived. Relative wave amplitude changed periodically in space owing to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racting waves and standing waves on front sid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racting waves from both tips of a detached breakwater on lee side. The wave forces on a vertical detached breakwater were investigated with monochromatic, uni-directional random and multi-directional random waves.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 considering the forces on front and lee side reached maximum 1.6 times of wave forces which doesn’t consider diffraction. This value is larger than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 of semi-infinite breakwater considering diffraction, 1.34 times, which was suggested by Jung et al. (2021).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s were calculated in the order of monochromatic, uni-directional random and multi-directional random waves in terms of intens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ximum wave force of obliquely incident waves was sometimes larger than that of normally incident waves. It can be known that the considerations of diffraction, the composed wave force on both front and lee side and incident wave angle are important from this study.

      • KCI등재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수로에서 규칙파의 유속장에 관한 해석해 개발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수로에서 재현된 규칙파의 2차원 유속장에 대한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바닥 조파장치로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이 적용되었다. 선형파 이론과 움직이는 바닥에 대한 경계조건, 동역학적 및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속도포텐셜을 유도하였으며, 이로부터 각 방향 성분의 유속에 대한 해석해를 구하였다. 적분식 형태로 유도된 속도포텐셜 및 유속에 대한 해석해를 수치해석으로 계산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조파수로에서 규칙파의 유속 특성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Analytical solutions for two-dimensional velocities of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flume were derived in this study. Triangular and rectangular bottom wave makers were adopted. The velocity potential was derived based on the linear wave theory with the bottom moving boundary condition, kinematic and dynamic fre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Then, analytical solutions of two-dimensional particle velocities were derived from the velocity potential. The velocity potential and two-dimensional particle velocities which were derived as complex integral equations were numerically calculated. The solutions showed physically valid results as velocities of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flume.

      • KCI등재

        회절을 고려한 반무한방파제 형식의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점별 파력 분포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조용식(Yong-Sik Ch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회절을 고려하여 반무한방파제 형식의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점별 파력 분포를 검토하였다. 비쇄파 조건에서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규칙파 및 불규칙파의 파력에 대해 방파제 전, 후면의 회절을 모두 고려하여 연구하였다. 방파제의 폭이 0인 조건을 비교 대상의 기준 조건으로 채택하였다. 규칙파의 경우 방파제 두부(head of breakwater)에서는 전후면의 입사파 및 회절파가 동시에 작용하여 상대 파력이 0이 되었으며, 두부에서 멀어지면 상대 파력 1.0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또한 경사입사각이 증가할 경우 규칙파의 상대 파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곱평균의 제곱근비와 파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불규칙파의 상대 파력을 정의하였다. 각 성분파가 갖는 임의의 위상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불규칙파의 경우 방파제 두부 근처에서 규칙파와 마찬가지로 상대 파력이 0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에서 멀어질 때에는 다양한 성분파의 합성에 의해 상대 파력 1.0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패턴이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ave force distribution at points on a vertical structure of semi-infinite breakwater considering diffraction. Wave forces of monochromatic and random waves on a vertical structure are studied considering diffractions in front and lee side of the breakwater for non-breaking wave condition. We selected width of breakwater are 0 for reference condition. In monochromatic wave case, relative wave force becomes 0 on the head of the breakwater by acting incident wave force and diffracting wave force simultaneously and oscillating patterns of relative wave force occurs based on 1.0 as distance from the head increases. Relative wave force of monochromatic waves decreases as incident wave angle increases.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is defined by using ratio of root mean square and wave force spectrum in this study. The case considering random phase of each wave components are compared to the case which don’t consider random phase and both results are almost similar.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is also 0 near the head of the breakwater likewise monochromatic wave. Oscillating pattern of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becomes relatively weaker for composition of each wave components as distance from the head increases.

      • 하구에서의 홍수위 산정방안연구

        정재상 ( Jaesang Jung ),김지성 ( Jisung Kim ),송현구 ( Hyunku Song ),이영진 ( Youngjin Lee ),조권상 ( Kwonsang Cho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새만금 종합개발 계획(MP)(2011.3)은 2010.1월에 발표한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합도시, 농업용지 등 8개 용지별 토지이용계획과 내부 간선도로망 등 기반시설을 구체화하여 확정된 계획이다. 본 계획은 ‘2010.1 내부개발 기본 구상’의 개발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기존계획의 미비점을 보완·발전시킬 필요성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과 국토해양부가 공동으로 국토연구원에 용역 의뢰한 결과를 국무총리실(새만금사업추진계획단)주관으로 관계부처와 전라북도의 협의를 거쳐 마련한 것이다. 종합개발계획(MP)이 확정됨에 따라 토지이용별 매립고 산정 등 개발계획의 수립을 위해 새만금호 홍수위 산정이 대두되었다. 이에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따른 수리·수문 분석 및 매립고 산정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개발계획(MP)이 완료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상류측 빈도별 유입 홍수량에 따른 새만금호 및 주요지점별 홍수위을 산정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새만금 토지용도별 내부개발계획 수립 시 매립고 및 지반고 산정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 KCI등재

        감정은 내가 소유한 것인가 - 순자 성정론의 인식론적 지평과 의의 -

        정재상 ( Jung Jae-s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이 글은 순자의 성정론(性情論)이 자리하고 있는 인식론적 지평을 확인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순자』 유효편에 보이는 “감정(情)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언명을 논의의 실마리로 삼아 고찰하였다. 순자의 이 언명은 그 동안 순자 연구나 중국철학 연구에서 전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텍스트상의 `정(情)`자 해석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청대 학자 왕념손의 해석으로 대표되는 통설은 텍스트 원문의 `정(情)`자를 `적(積)`자로 고쳐 읽는 독법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해석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언뜻 궤변처럼 들리는 순자의 언명은 고대 중국인들이 공유하고 있던 인식론적 사고에 기반해서 발화된 것이다. 그것은 기(氣)의 감응론적 사고라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인간의 인식이나 감정이 외부 사물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난다고 보는 사고이다. 감정이 기의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는 인식론적 토대 위에서 전국시대의 유가철학은 도덕감정의 발현이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性)`인가 아닌가를 묻는 철학적 담론의 길로 나아가게 된다. 이것이 바로 “감정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순자의 언명이 발화된 컨텍스트이다. 이러한 언명은 `감정`을 나와 타인의 관계를 맺어주는 `매개`로서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순자는 이를 통해 자연 발생적인 감정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위(僞)`의 개입을 가능케 하고 있다. 기의 감응론은 `감정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와 `감정이 이미 발현된 상태`라는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감정을 대상화해서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이나 자리를 요청한다. 바로 그러한 시선이나 자리로 이야기되는 것이 `마음(心)`이란 개념이다. 순자철학에서 `마음`은 인식(知)과 사려(慮)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자연성과 인위성의 양면성을 지니지만, 순자는 감정발현을 관조하고 주재하는 `마음`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자연성`(情性)에 대한 `인위`(僞)의 자리를 확보한다. This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pistemological ground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uman nature, or dispositions, in Xunzi`s philosophy. Special attention is drawn to Xunzi`s dictum, “Emotions are not what I possess.” This striking statement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by modern Chinese Philosophers, since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altered the Chinses term `情(qing, emotions)` into `積(ji, accumulation of learning),` following the suggestion of Wang Niansun 王念孫(1744-1832). I delve into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ation deeply rooted in the above-mentioned collation after scrutinizing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Xunzi`s statement per se. In ancient China, it was widely believed that emotion as well as thinking (affect and cognition) takes place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which operate on mutual resonance (ganying 感應) of 氣(Qi). The fourth-century BCE Confucian philosophy had an epistemological ground that a certain emotion occurs as a mechanical interaction to a certain Qi. In this context, early Confucian thinkers consequently ask an ethical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moral emotions are human natural dispositions. Furthermore, the dictum that “Emotions are not what I possess, but they are manageable (to be expressed in an appropriate manner)” offers new insight into emotions: they are channels to express oneself and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is scenario, Xunzi makes it possible to artfully control the expression of emotion rather than spontaneously 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Qi. The Qi resonance theory facilitates the cognitive process constituted by emotions` unexpressed state (weifa 未發) and expressed state (yifa 已發). In this process, there still remains a possibility that one can objectify one`s own experience of emotion in the locus known as the mind (xin 心). According to Xunzi, the mind has the following functions: cognition (zhi 知) and consideration (lu 慮). Given its contrasting spontaneous and inhibiting aspects, the mind serves to contemplate and control emotional expression. Hence, the mind is conceived of as an artificial effort in response to natural emotions.

      • KCI등재

        자연적 情과 당위적 情

        정재상(JUNG, Jaesa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이 글은 『荀子』에 나타난 ‘자연적 情은 禮에 반하는 것이다’라는 언설과 ‘禮는 인간의 자연적 情에 기반한다’고 하는 두 가지 언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荀子의 ‘情’은 기본적으로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지만 ‘性惡’ 논증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는 것으로 이야기 된다. 한편, 『荀子』 「禮論」편에서는 ‘復情’에 관해 논의되고 있고, 또 의례와 관련해 情이 禮의 근거로 서술되고 있다. 이러한 情과 禮의 연속성과 상보적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거나 荀子사상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분석되지 못하였다.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情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 태도는 荀子禮論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전국시대 및 한대 이후의 유가의 人性論및 禮論속에도 숨쉬고 있는 것이다. 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荀子』의 性情論을 재고찰해 보는 일은 荀子의 性惡說이나 禮論의 성격을 좀 더 분명히 드러내 줄 것이며, 나아가 중국 고대 인성론사를 조망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takes two controversial arguments of Xunzi into consideration, which are “the natural sentiments are against the proprieties (li 禮)” on the one hand, and “the proprieties are based on those natural sentimen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entiments (qing 情)’ in Xunzi are basically neutral concepts in value judgment, they are described negatively in the demonstration of ‘evilness of human tendency (性惡)’. However, the chapter of “Theory of the Proprieties (禮論)” discusses of ‘the recovery of human sentiments (復情)’;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ritual, ‘the sentiments’ are the very ground for the proprieties. Thi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iments and the proprieties, or qing and li, has never been properly analyzed in the overall context of Xunzi’s thoughts or even rarely paid attention to. Both arguments are seemingly contradictory, but the ambivalence toward human sentiments is the crucial point of Xunzi’s theory of the proprieties, as well as in ongoing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proprieties of Confucian School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If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point of ‘sentiments (qing)’, we can make clearer both characteristics of arguments on the evilness of human tendency and the proprieties.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a new viewpoint for the history of thoughts on human nature in ancient China.

      • KCI등재

        근대적 학술 범주로서 풍수학의 정립: 핫토리 우노키치(服部宇之吉)의 〈풍수론〉

        정재상 ( Jung Jae Sang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풍수(風水)는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 사상·신앙이다. 발상지인 중국을 비롯해 한국과 일본에서도 풍수사상은 전통시대 주거 및 장묘 문화에서 중요한 근간이었고, 현대 사회에 들어서도 일상생활 속에 깊이 침투되어 있다. 학술적으로도 풍수는 민속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철학, 지리학, 건축학, 조경학, 환경학, 미술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 학술 담론에서 풍수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해방 이후 이병도의 고려시대 풍수 연구부터이다. 그러나 근대 학술 담론으로서 ‘풍수’가 다루어진 것은 그 이전 메이지-다이쇼 시대 일본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글에서는 핫토리 우노키치(服部宇之吉, 1867~1839)의 〈풍수론(風水論)〉(1916)을 고찰한다. 핫토리 우노키치는 전통적인 ‘한학(漢學)’이 ‘중국철학(中國哲學)’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근대적 ‘중국철학’을 개척한 대표적 학자이다. 〈풍수론〉 역시 ‘풍수’를 근대적 학술의 연구 대상으로 삼은 논술이란 점에서 학술사적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은 〈풍수론〉의 다양한 주제들, 즉 풍수 관련 사건, 풍수설의 연혁, 풍수의 사상, 풍수와 도덕의 관계 문제를 검토하며 핫토리의 풍수설의 특징을 밝힌다. 핫토리는 풍수사를 크게 ‘지리·감여’의 시기와 ‘풍수’의 시기로 대별한다. 풍수는 본래 도성이나 궁궐·주택 같은 산 자의 터(양택)를 다루는 ‘지리·감여’로부터 발생했는데 후대에는 죽은 자의 터(음택)를 다루는 장술(葬術) 중시의 ‘풍수’로 전환되어 갔다는 것이다. 핫토리의 풍수설의 특징은 풍수의 기반이 되는 관념이 중국 고대의 혼백론과 동기감응론에 기반한 유교의 조상 숭배 사상을 근본적 관념으로 삼고 있음을 논증하여, 풍수사상의 유교연원설을 주장한 데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는 풍수 관련 사건의 의미 및 풍수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서도 유교 사상과의 유기적 관련을 논한다. 핫토리의 〈풍수론〉은 풍수의 사상과 신앙이 근대적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보여준 것으로, 풍수학을 근대적 학술 범주로 정립시킨 연구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핫토리의 연구가 식민지 시기 조선총독부의 풍수 조사 사업 및 김효경의 풍수 연구에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식민지 아카데미즘 속 풍수 연구의 계승과 변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Fengshui is an idea and belief that originated 風水 in ancient China. In China, as well as in Korea and Japan, fengshui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residential and burial cultures of the traditional era, and it has deeply penetrated daily life even in modern society. Academically, fengshui has been studied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folklore, cultural anthropology, history, philosophy, geography,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al studies, and art history. The fengshui study as a modern academic discourse in Korea began with the work of Lee Byung-do 李丙燾 (1896~1989). However, the modern academic study of fengshui in East Asia should be traced back to Meiji- Taisho Japanese research. This article explores Hattori Unokichi 服部宇之吉 (1867~1839)’s “Theory of Fengshui (Fusui-ron 風水論)”, published in 1916. Hattori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pioneered modern ‘Chinese philosophy’ when classical Chinese studies, kangaku, 漢學 were being transformed into Chinese philosophy, shina tetsugaku 支那哲學, in Japan. The “Theory of Fengshui” is also historically significant as a treatise that made fengshui the subject of modern academic research.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Hattori’s fengshui theor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topics such as fengshui-related incidents in earlymodern China, the history and changes in fengshui concepts and practices, and related moral issues. Hattori suggested a perspective that divides the history of fengshui into two periods: the period of geomancy (dili 地理·kanyu 堪輿) and the period of fengshui. He argues that fengshui originally a rose from geomancy, which dealt with the sites of the living (yang-zhai 陽宅), such as cities, palaces, and houses, but later shifted to fengshui, which mainly dealt with the sites of the dead (yin-zhai 陰宅), selecting the burial place and direction of the coffin. Hattori maintains the Confucian origin of fengshui, in arguing that the ideas underlying fengshui are based on the beliefs of Confucian ancestor worship, which were grounded on the ancient Chinese concept of soul and synchronicity among the same kinship. Based on this analysis, we can understand how Hattori’s theory made connections among the Confucian cultures and the happenings related to fengshui in early modern China, and eventually with the ethics issues of fengshui. Hattori’s “Theory of Fengshui”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reating the ideas and beliefs of fengshui as a subject of modern academic research, and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fengshui as a modern academic category. Its legacy and changes of fengsui studies in the colonial academism are noteworthy because Hattori’s work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fengshui survey project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Kim Hyo-Kyeong 金孝敬’s fengshui stud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경사면을 입사하는 불규칙파랑의 방향 비대칭 매개변수 및 최대 방향분포 매개변수

        정재상(Jung, Jae-Sang),이창훈(Lee, Changhoon),조용식(Cho, Yong-Sik)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5 No.1

        해안선에 비스듬히 입사하는 다방향 불규칙파랑은 굴절에 의해 방향 비대칭성이 발생한다. 방향 비대칭은 최대 방향분포 매개변수(S<sub>max</sub>)와 연관된 비대칭 매개변수의 항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해에서 다양한 주파향각과 최대 방향분포 매개변수 등의 특징을 갖는 다방향 불규칙파랑에 대해 수심 변화에 따른 비대칭 매개변수와 최대 방향분포 매개변수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계산 값들은 파랑의 방항 비대칭성을 무시한 Goda and Suzuki(1975)에 의한 결과와는 다르다. 비대칭 매개변수와 최대 방향분포 매개변수의 계산을 위해 JONSWAP 스펙트럼(Hasselmamn et al., 1973)과 Lee et al.(2010)의 방향 분포 함수를 사용하였다. 계산 과정과 결과들은 일반화를 위해 심해에서의 유의파고, 첨두주기, 첨두주기에 해당하는 파장 등으로 무차원화 하였다. Multidirectional random waves that obliquely approach the shore were found to become directionally asymmetric due to refraction. The directional asymmetry was expressed in terms of the asymmetry parameter which is related to the maximum spreading parameter (S<sub>max</sub>). In this study, we calculate variation of both the asymmetry and maximum spreading parameters at different water depths for various cases of incident wave angles and maximum spreading parameters in deep water. These values are different from Goda and Suzuki (1975) who neglected directional asymmetry of waves. In calculating directional asymmetry and maximum spreading parameters, we use the JONSWAP spectrum (Hasselmann et al., 1973) and Lee et al.'s (2010) directional distribution function. The processes and results are nondimensionalized with significant wave height, peak frequency and peak wave length in deep 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