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특성을 감안한 공공 고용서비스의 새로운 평가 방안

        정인수(Insoo Jeong),지승현(Sunghyun Jee) 한국노동연구원 2011 노동정책연구 Vol.11 No.2

        공공고용서비스센터 간의 공정한 성과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식이 요구된다. 기존의 고용센터 취업실적 등을 활용한 단순한 실적 측정 수준에서 벗어나, 지역별 경제여건을 차감한 각 고용센터의 노력을 계측하는 성과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별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지역 경제, 인구구조, 센터 현황 요인의 객관적이면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아홉 가지 변수를 선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용서비스를 통한 취업의 질적 상태를 함께 평가하기 위해서 실업급여 수급일수, 중기실업률, 장기실업률 등 세 가지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성과지표와 지역 환경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산출된 추정치와 실측치의 차이를 센터의 노력 성과로 측정하는 연구모형을 한국 실정에 맞추어 개발한다. 분석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추정치의 편차가 커 센터 간의 변별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첫째, 전체 센터별 순위보다는 지수의 크기가 큰 센터를 그룹별로 분류하는 방안과 둘째, 추정치의 편차 유의수준을 벗어나는 센터에 대해서만 인센티브를 제안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용센터의 실적평가 시 제안된 성과지표의 실측치와 두 가지 방안을 이용한 결과를 함께 활용한다면 평가의 공정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센터 평가에 국내 실정에 맞는 지역 경제, 인구구조 등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모형 개발의 새로운 분야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In order for imparti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each job center, it is required for public employment service(PES) to improve more objective evaluation system. The former performance evaluations of PES were merely measured by how many jobs were found: Yet it is necessary for PES to measure each job center’s efforts by taking into account of local economic condition. This study suggests nine variables to consider various local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three factors of local economy, population, and PES status. And, in order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status three performance indices of the unemployment benefit period, the mid-term unemployment rate, and the long-term unemployment rate are proposed. Developed according to the Korean labor environment a research model that measures the performance of PES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from regression analysis model with the variables of the local characteristic and the performance indices. The result indicated the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ignificance of the gaps between PESs’ performance is low due to the high deviation of predicted value. We, therefore, suggested two ways of applying the results: first, grouping centers according to the size of performance deviations from mean value rather than the rank of the whole PESs, second, adding incentives to the PESs which performances lie outside the variances with an explicit statical significance rate of the predicted value. The evaluati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impartial when the real value of the performance and the two ways are considered together for the evaluation of the PESs. It i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ry developing a new PES evaluation model which considers the domestic local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local economy, population etc.

      • KCI등재

        지역간 노동이동 연구

        정인수(InSoo Jeong) 한국노동연구원 2004 노동정책연구 Vol.4 No.1

        고용보험 DB를 이용하여 지역간 노동이동을 분석해 보았다. 대도시와 비대도시에 대한 추정 결과, 대도시 지역은 대기업 출신의 경우 퇴직하더라도 자기 지역 내에서 취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대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대기업 프리미엄은 없음을 알려준다. 대도시에 국한할 경우 산업별로 볼 때 제조업과 전기ㆍ가스ㆍ수도업에서 지역이동이 아주 강하게 나타난다. 지역간 이동을 중점 지역으로 추출하여 살펴보고 있다. 지역간 모두를 살펴보기에는 너무 많으므로 이동비율을 찾아내어 가장 높은 지역을 중점지역으로 추출하였다. 광주 지역의 경우 전산업에 걸쳐 아직 저숙련-저임금 유휴노동력이 많이 존재하여 부산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조업 저임금산업인 음식료품제조업, 섬유업, 신발업에 기능직 및 단순노무직 등 생산직으로 취업하고 있다. 즉, 광주의 저임금 퇴직 노동력이 부산의 저임금 부족 노동력을 메워 주고 있다. 대구의 경우에는 섬유업의 퇴직자가 30%로 주류를 이루어 섬유산업에서의 산업구조 변화가 강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반영한다. 또한 제조업으로부터 서비스업으로 이동하고 있음이 뚜렷하지만 서비스업이라 하더라도 운수업, 기타사회서비스업, 기타 서비스업 등 상대적으로 전문적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업종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on interregional labor mobility based on detailed observ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DB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logit analysis using interregional mo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wage level and large corporate employment made significant impact on the decision to move to another region, and by industry and occupation, manufacturing industry and production-related jobs showed the highest mobility respectively. Agriculture sector, although smaller sample was drawn, showed higher mobility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which bear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in light of the opening of local agricultural sector. Logit analysis on metropolitan areas and small cities/rural areas indicated that those resigned from large corporate in metropolitan areas had a high possibility of re-employment, whereas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large corporate premium’ didn't exist in the job market. By industry, manufacturing and utilities sectors showed strong labor turnover in metropolitan areas. The city of Kwangju with redundant unskilled and low wage workers across the industries supplied much needed low wage workers to Busan in the industries including food and beverage manufacturing, textile industry and shoe manufacturing as low-level technicians or laborers. In other words, unemployed low-wage workers in Kwangju filled in low wage positions in Busan, where the supply of such workforce was relatively low. In the case of Daegu, 30% of the unemployed consisted of ex-workers from textile industry, indicating that the textile industry has been undertaking substantial restructuring efforts. In addition, overall labor population has been moving from manufacturing sector toward service sector. In particular, labor mobility was more evident in transportation, other social services and other services where professional skills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 KCI우수등재

        컴퓨터비전을 활용한 건설현장 중장비의 단독작업 자동 인식 모델 개발

        정인수(Jeong, Insoo),김진우(Kim, Jinwoo),지석호(Chi, Seokho),노명일(Roh, Myungil),Biggs, Herbert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4

        건설현장에서는 수많은 중장비와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을 동시다발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위험한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복잡한 현장에서 중장비가 단독으로 작업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제한, 판단오류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장비는 신호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중장비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을 탐지하기 위해 많은 컴퓨터비전 기술들이 개발되었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중장비 단독작업 인식에 필요한 중장비와 신호수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장비-신호수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컴퓨터비전 기반 중장비의 단독작업 자동 인식 모델을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개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건설현장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된 모델은 중장비와 사람을 83.4 %의 정확도로 인식하였고, 일반 작업자와 신호수를 84.2 %의 정확도로 분류하였으며, 중장비-신호수 간 상호작용 또한 95.1 %의 높은 정확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건설현장에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중장비의 단독작업을 사전에 탐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onstruction sites are complex and dangerous because heavy equipment and workers perform various operations simultaneously within limited working areas. Solitary works of heavy equipment in complex job sites can cause fatal accidents, and thus they should interact with spotters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environments during operations. Recently, many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automatically monit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detect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resources. However, previous methods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interactions between equipment and spotters, which is crucial for identifying solitary works of heavy equipment. To address the drawback, this research develops a computer vision-based solitary work detection model that considers interactive operations between heavy equipment and spotters.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e research team performed experiments using image data collected from actual construction 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was able to detect workers and equipment with 83.4 % accuracy, classify workers and spotters with 84.2 % accuracy, and analyze the equipment-to-spotter interactions with 95.1 % accur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utomate manual operation monitoring of heavy equipment and reduce the time and costs required for on-site safety management.

      • KCI등재

        PAN 섬유 표면에서 성장하는 ZnO 나노로드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황화합물 제거 특성

        이재영,한경식,정인수,이홍기,LEE, JAEYOUNG,HAN, KYEONGSIK,JEONG, INSOO,LEE, HONGKI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8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9 No.3

        Zinc oxide (ZnO) nanorods were grown on a palladium (Pd) activated polyacrylonitrile (PAN) fiber where Pd activation was carried out in advance by the following dry process: palladium(II) bis(acetylacetonate), $Pd(acac)_2$ was sublimed, penetrated into the surface of PAN fiber and spontaneously reduced to Pd nanoparticles at $180^{\circ}C$ for various tim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ZnO nanorod morphology was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 elemental composition was confirmed by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ZnO nanorods was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showing Wurtzite structure consisting of hexagonal lattice. Sulfur remov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 퍼지매칭을 이용한 매칭유예 알고리즘 자동화 연구

        김형래 ( Hyoungrae Kim ),정인수 ( Insoo Je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온라인상에서 흥미 있는 고객을 상호 매칭시키는 알고리즘은 취업 시스템, 결혼 중매 시스템, 비행기표 구매 시스템 등에 적용가능한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조건검색의 단방향과 양쪽 사용자의 의사를 모두 고려하는 양방향 방법이 있다. 양방향 방식에서 기존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흥미를 직접 입력하였으나, 이는 상대 사용자가 입력을 하지 않거나 서비스 초기에 사용자가 적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의 흥미를 잃을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사용자의 흥미를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하였으며, 매칭유예 알고리즘으로 명명하였다. 매칭유예 알고리즘의 적용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취업사이트에 적용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도입 효과 분석 결과 취업 활동 동기를 부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