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수적 영장준수 장치 편입을 통한 영장주의의 재구성 - 헌법재판소 2018. 8. 30. 2016헌마263 결정 -

        정인경(Jung, In-Kyung)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5

        영장주의는 강제수사로 인한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헌법이 특별히 정한 대표적인 적법절차 원칙으로, 기본권 침해 우려가 있는 강제수사 영역에서는 헌법 제37조 제2항의 과잉금지원칙보다 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입법 지침이자 위헌심사기준이다. 헌법은 신체의 자유 및 주거의 자유와 관련하여 영장제도를 정하고 있지만, 최첨단 정보통신시대에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등의 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높은 인터넷회선 감청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대물적 강제수사에 대해서도 헌법상 영장제도에 관한 규정 및 제12조 제1항 등에서 도출되는 영장주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다만 헌법상 영장주의의 실질적 보장을 위해서는 정보화시대에 새로이 등장하는 개별 수사의 특성 및 기본권 침해 우려 수준, 영장주의의 본질 등을 고려하여 그 구체적 실현 방안 내지 영장주의의 내용에 편입되어야 하는 사항을 미리 정립해놓을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는 통신비밀보호법상 범죄수사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회선 감청, 소위 ‘패킷감청’ 관련 조항에 대하여 청구인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등을 침해하므로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다고 결정하였는데(헌재 2018. 8. 30. 2016헌마263), 이는 정보화기술의 발전 속도에 부응하여 새로이 등장한, 그리고 지속적으로 개발될 새로운 수사방식에 대하여 헌법상 영장주의 원칙의 적용 가능성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헌법재판소는 위 결정에서 헌법상 영장주의가 수사기관이 강제처분을 함에 있어 중립적 기관인 법원의 허가를 얻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 외에 법원에 의한 사후 통제까지 마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고, 과잉금지원칙 위반 여부만을 중점적으로 판단하였는데, 패킷감청과 같이 집행 단계에서 사전에 허가받은 범위를 넘어 수사목적과 무관한 정보까지 수집될 가능성이 높은 대물적 강제수사에서는 법관에 의한 사전적 사법통제뿐만 아니라 실제 집행 단계에서 영장에 부합하게 집행이 이루어지는지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제도가 함께 마련되어야 ‘영장에 따른 강제수사’라는 영장주의의 본질 내지 핵심이 지켜질 수 있다. 압수·수색 영장의 집행에서 피처분자에 대한 영장의 제시, 당사자 참여, 불법·부당한 집행에 대한 불복제도 등은 법관이 발부한 영장에 따라 적법하고 공정하게 실제 집행이 이루어지는지 감시하고 사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수적 영장준수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통신감청 수사에서는 그 특성상 사전 통지나 당사자 참여를 보장하는 것은 어렵다 하더라도, 수사상 필요한 정보의 선별을 위한 기술적 조치 또는 제3의 독립적인 기관의 절차 참여, 수사와 무관한 정보의 삭제, 법관에 의한 사후 감독 등 감청의 특성에 맞는 부수적 영장준수 장치의 마련이 요청된다. 개별 강제수사의 특성을 고려한 이러한 부수적 영장준수 장치가 영장주의의 내용으로 편입되어, 영장주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 입법 지침으로, 영장주의 위반 여부가 문제되는 위헌심사에서 구체적 판단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어야, 우리 헌법이 강제수사 영역에서 특별히 준수를 명한 적법절차 원칙인 영장주의가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본권 보장에 기여할 수 있다.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due process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a criteria of constitutional review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of the proportionality test to prevent human rights from law enforcement compulsory investigation process. The Constitution sets up a warrant system in relation to freedom of the body and freedom of residence, but in the high-tech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w methods of compulsory investigation, such as wiretapping of Internet lines that are feared to infringe upon the basic rights of privacy, should also be applied with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However, in order to ensure practical guarantee of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measures for realization or inclusion in the contents of the principle of warrant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vestigations emerging in the information age, the level of concern over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and the nature of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CCK) decided that the clauses related to wiretapping of Internet lines for criminal investigations under the Communications Secrets Protection Act, so-called "Packet wiretapping", is of u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because it infringes on the freedom of privacy (CCK 2018. Aug. 30, 2016 Hun-ma 263). In this decision, CCK reasoned that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does not include post control of the investigation process in addition to prior warrant examination by judges. The presentation of warrants or participation of the parties in search and seizure can be said to be the subsidiary preservation devices of warrant that can monitor and control the actual execution in accordance with the warrant issued by judg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nsure prior notification or participation of the parties in the wiretapping of Internet lines, such subsidiary preservation devices of warrant considering the nature of forced investigation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so that they can serve as a independent criteria in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issue of whether there is any violation of the doctrine of warrant system.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건강한 돌봄놀이터’ 프로그램 효과 검증

        정인경(Jung, In-Kyung),김정현(Kim, Jung-Hyun),우승호(Woo, Seung-Ho) 한국체육과학회 201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rograms to prevent obesity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or 423 local children"s centers in 50 metropolitan areas, the program was tested for its effectiveness after running two hours of physical activity and one hour of nutrition/food education per week for eight weeks (July 30 to September 21).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used the SPSS Statistics V21.0 (IBM), and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set a significant level (α=.05). Changes in pre- and post-obesity level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used the descriptive, frequency analysis, and Paired samples test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ealthy care playground” program, which was conducted together with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education, was effective in managing obesity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long with changes in body composition (during abdominal obesity rate, muscle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asic metabolic rate), it also showed positive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問いかけ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機能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志田原由美子(Shidahara, Yumiko),丁仁京(Jung, In-Kyung),?浦?人(Takiura, Masato)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0 No.88

        This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in conversation is based on scenario materials in Japan and South Korea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how questions are performed and what kind of roles they play in Japanese and Korean. After classify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questioning utterances that appeared in conversation, we performed statistical tests on the numbers of occurrences to identify function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Japanese, back-questioning by repeating words or phrases in the antecedent utterance of the interlocutor and asking for objective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frequent. On the other hand, in Korean, the significantly frequent type of function was questioning so that the speaker him/herself could make an assertion. Further examination of conversations revealed that in Japanese, short and incomplete questions were often uttered and responded to immediately, which resulted in frequent turn-taking. In contrast, the Korean data showed a tendency for each participant to make an assertion alternately with irony, jokes, and sarcasm, and speakers did not change even after a ques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wo languages differ most in that a “co-locution” style of conversation is adopted in Japanese, whereby two people collaboratively create one conversation, while Korean has an “inter-locution” style of conversation where they mutually hope to make themselves understood.

      • KCI등재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통합체육교육 평가지표 개발 연구

        정인경(In-Kyung Jung),최윤소(Yoonso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통합체육교육과정 평가지표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 그리고 수정 델파이 분석 (modified Delphi technique)이 연구방법으로 채택되었으며, 15명의 학교체육 전문가가 본 연구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우선, 본 교육과정에 적합한 평가준거 설정을 위하여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정책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수정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동시에 각 평가 영역에 따른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종 확정된 통합체육교육 평가지표는 학생 평가영역에서 25개, 교사영역에서 14개, 환경인프라영역에서 15개로 총 54개로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체육교육 평가의 현장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adopted related research analysis, expert consultation, and modified delphi technique as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were created by examining evaluation-related literatures, which allows this study to develop proper index for each domain(student, teacher,, an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curriculum was created through the first delphi technique and the consistency of each index was verified by Kendall’s Coefficient of Concordance W through the second delphi technique. Third,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curriculum was finalized through the expert consultation. There are a total of 14 P.E experts in the delphi group for this study, which are organized by 11 P.E teachers who are currently on duty and 3 research staffs who have developed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finalized evaluation index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ere created 25 evaluation index for students, 14 evaluation index for PE teachers, and 15 evaluation index for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Lastly, this study concluded by discussing thre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and suggested follow-up stud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current educational setting.

      • KCI등재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과 식민지 과학기술

        정인경(Jung In-Kyu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05 과학기술학연구 Vol.5 No.2

        이 글은 일제에 의해 이식된 은사기념과학관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과학관은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정치적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일제는 과학사상을 보급한다는 미명아래 과학관을 식민지 지배에 이용하였던 것이다. 식민지 과학관은 ‘위대한 과학제국’ 일본을 부각시켜 열등한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과학관의 전시와 강연, 실험, 과학영화 등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이데올로기를 선전하였다. 식민지 과학관의 이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낳았다. 첫째, 과학관이 정치권력의 선전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식민지 과학관의 건축, 전시, 운영의 모든 면이 공공연하게 권력의 정책방향을 선전, 옹호하고 그것이 ‘개발’, ‘발전’이라는 장미빛 환상을 심었다. 둘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과학기술은 ‘결과’와 ‘도구’로 취급되었다. 일제는 과학이 사회적 위기를 해결했던 역사적, 문화적 산물임을 부정하고 ‘도구적 합리성’만을 주입시켰다. 셋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다루었던 과학기술은 매우 수준 낮은 것이었다. 생활의 과학화를 내세우며 교육했던 것은 근대적 규율을 내연화시켜 권력이 요구하는 노동자형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Eunsa Memorial Science Museum is a political space to justify ruling colony. Japanese imperialism made use of science museum in ruling colony under the cloak of propagating science thoughts. The science museums made it natural to rule the inferior Joseon(Korea) by bring the concept of 'Great Science Empire' into relief. The exhibition, lecture, experiment and science movies propagated those colonial ruling ideology. This transplantation of the colonial science museumrais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science museum was used as means for the propagation of political power. All the aspects of the architecture, exhibition, and operation of the colonial science museum propagated and supported the direction of political authority, and furthermore planted a rosy phantasm of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to the colony. Second, The science technology of science museum was treated as 'Result' and 'Instrument'. Japanese imperialism denied that the science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staple product; it instilled only the 'Instrumental Rationality' in the colony. Third, the science technology dealt in the colonial science museum was below the level. What they educated and set forth as domestic science was to cultivate the laborers people for the political power by internalizing modernistic discipline.

      • KCI등재
      • KCI등재

        u-러닝 기반의 직접교수모형에 의한 클렌징 교수학습

        정인경 ( In Kyung Jung ),송태임 ( Tae Im Song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6

        Direct instruction (DI) is a teaching method that is focused on systematic curriculum design and skillful implementation of a prescribed behavioral script. I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odel for teaching academic skills and for teaching various skin care techniques, e.g., cleansing. But in this present conditions, DI has som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time restriction and large-scaled class. As a complement for DI, u-learning may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U-learning, which is based o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is a more creative and more individually suited learning model that the learner can study anytime and/or anywhere. For esthetitians, it is essential that he or she get enough experiences and new techniques through field practice to provide individually suited skin care services to customers. To meet the demand of the customers, the esthetitian may acquire the latest techniques through real-time u-learning. In this study, the ulearning- based direct instruction model for the cleansing in the skin care subject is proposed.

      • KCI등재

        건강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정인경(Jung, In-kyung),전세경(Jeon, Se-ky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학교 학부모교육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건강가정생활과 관련된 주제의 학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해봄으로써 효과적인 학부모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의 학부 모교육 담당교사이며 대전광역시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총 292개 학교에 공문과 함께 이메일로 설문 지를 전달하여 회수된 132부 중 총 12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주로 학교 자체적으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고등학교에서는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주제 선정에는 학교운영자와의 협의 또는 학부모 요구도 결과를 반영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부모교육 운영에서 학부모의 관심 저조와 홍보의 어려움을 애로사항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사대상 교사들은 참여한 학부모들의 교육 만족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학부모교육으로서 자녀들을 위한 건강가정 생활 주제의 교육적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교육내용은 자녀교육에 대한 바른 가치관 함양, 자녀와의 의사소통방법, 자녀가 타인에 대한 배려심으로 갈등과 화를 잘 다스리도록 교육하는 방법 등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자녀의 가정생활역량 중 신체관 리기술이나 시간활용기술, 합리적 소비기술 등의 자원환경 관리교육이었다. 향후 건강가정생활 주제 학부모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특강 보다는 토론이나 실천적 실습을 통한 교육이 요구되며, 학부모와 학부모교육 운영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의견과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며,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도 다양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icient program and guideline of parenting education related to family lif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operating status of school based parenting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129 teachers from 29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t Deajeon metropolitan were participated with help of office of education. Most of schools conducted self-operating program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frequently was held. The topic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ere determined by needs of parents and opinion of principal. Many teachers often have difficulties for activating parent concern and public relations, but they thought that parents were satisfied with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e teachers perceived that parenting education related healthy family life is very necessary and helpful to strengthen family life empowerment. Also educational needs in the contents such as ‘educational view of child’ and ‘good personality and abilities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were high whereas ‘management skills for time, consumption, and environment’ were low. They also requested for more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sired that the education should comprise how will be helpful in a real lif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mmunity and school should reflected the fundamental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provide th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parenting education related healthy family life in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