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어학 · 언어교육]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Jung, Eu-Gene)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 KCI등재

        ICT 원격제어 system 이용 식물진단, Phenomics 연구현황 및 전망

        정유진,노일섭,김용권,김회택,강권규,Jung, Yu Jin,Nou, Ill Sup,Kim, Yong Kwon,Kim, Hoy Taek,Kang, Kwon Kyo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Remote sensing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지표면, 물, 요소 기술에 대해 비접촉,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이다. 이들 기술은 센서 등의 요소 기술 뿐만 아니라, 센서를 탑재하는 플랫폼과 정보 통신 기술(ICT)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한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ICT를 중개로 기상이나 토양 등의 환경 정보와 작물 정보를 측정하여 수치화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생산 단계뿐만 아니라 유통 및 소비 단계까지 관리하는 스마트 농업에 크게 기여한다. 식물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비파괴 비접촉 bioimaging (remote imaging)을 포함한 식물기능 remote sensing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식물 과학 분야에서도 유전자 세포 수준에서 개체 수준까지를 대상으로 한 bioimaging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표현형 연구를 통해 환경과 유전자형의 관계를 구명하는 phenomics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식물기능 원격탐사의 기술동향, 식물진단 및 식물환경응답해석과 식물 phenomics 연구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Remote Sensing (RS) is a technique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in a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ethod by using various sensors on the surface, water or atmospheric phenomena. These techniques combine elements such as sensors, and platfor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mounting the sensor. ICT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uccess of smart agriculture through qua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formation such as weather, crop and soil management to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age, as well as the production stage by the cloud computer. Remote sensing techniques, including non-destructive non-contact bioimaging (remote imaging) is required to measure the plant function. In addition, bioimaging study in plant science is performed at the gene, cellular and individual plant level. Recently, bioimaging technology is considered the latest phenomics tha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type and environment for distinguishing phenotypes. In this review, trends in remote sensing in plants, plants diagnostics and response to environment and status of plants phonemics research were presented.

      • MAC 계층 구현을 위한 통합 시뮬레이터 환경 제안 - NS-2, SystemC 관점

        정유진,이호응,박수진,박현주 한밭대학교 2009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7 No.1

        SoC(System-on-a-Chip) 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개발은, 개발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H/W, S/W, Network에 대한 통합 시뮬레이션 환경이 기존에 제 시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Socket Interface를 이용한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을 사용 하기 때문에, 시뮬레이터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많은 시간을 소모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Instruction Set Simulator( 이하 ISS) 를 사용하는 S/W 시뮬레이션은, 특정 MCU(Micro-Controller Unit) 에 대한 Instruction Level 단위의 시뮬레이션을 하기 때문에 수행 속도 저하를 유발하고 특정 MCU에 종속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터 간 메시지 송수신 처리 부하를 감소하고 ISS 의 단점을 보완하는 효율적인 통합 개발 환경을 제안한다

      • KCI등재

        틸팅차량의 네트워크 협업 엔진 구현

        정유진,한성호,송용수,Chung, Yoo-Jin,Han, Seong-Ho,Song, Yong-Soo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06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2 No.2

        Tilting technology is to tilt the train on the curve in order to minimize centrifugal force to passengers and to improve the speed within the limits of passenger's comfort and safety. According to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there is 15~30% spe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ins. Recently, the advent of World-Wide-Web(WWW)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the Internet gave birth to collaborative applications which were enabled by computers and networks as their primary media. The progress of 3D computer graphics enabled collaborative applications with 3D virtual environments 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explain our implementation of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which is for collaboration applications based on a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proposes a new Share network architecture for management of participants, and it provides some synchronization methods for 3D objects in virtual collaboration. TTX_PDM is an experimental application that tries to prevent wastes of human, material and time resources in networked virtual collaboration.

      • KCI등재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의 한방치료 치험례

        정유진,최아련,한동근,강아현,서혜진,성재연,송우섭,이형철,엄국현,김수연,Jung, You-jin,Choi, A-ryun,Han, Dong-kun,Kang, A-hyun,Seo, Hye-jin,Sung, Jae-yeon,Song, Woo-sub,Lee, Hyung-chul,Eom, Gook-hyun,Kim, Soo-ye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5

        Objective: Facial nerve palsy is caused by damage to the 7th cranial nerve. It is the main symptom of facial muscle paralysis on the affected side. Usually, recovery from this disease begins 2-3 weeks after onset and most patients recover in 4-8 weeks. If the patients cannot receive proper treatment, severe permanent impairments, both physical and mental, may remain, so this disease should be treated appropriately. In this study, a patient with facial nerve palsy was admitted to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treatment. We report on the patient's progress and the effects of treatment. Methods: We cur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ines,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We used a numerical rating scale, the House Brackmann grading system, and a weighted regional grading system to assess symptom changes. Result: The patient with facial nerve palsy was hospitalized for 23 days and recovered from symptoms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on the face or in motor function.

      • 폐굴껍질 및 천연제올라이트 연속흡착탑을 이용한 피혁폐수 중의 유기물·질소제거 특성

        정유진,하상안,최성문,성낙창,임영석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1 硏究報告 Vol.24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move the nitrogen from tannery wastewater using waste oyster shells and natural zeolites. In many cases, components of industrial process wastewater are non-readily biodegradable, but can be effectively removed from wastewater by means of adsorption process. The technologies of removing nitrog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ol nutrients causing eutrophication in various water bodies, have been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Through the continuous adsorption experience, waste oyster shells have effects to control COD and pH rising. And natural zeolites are found to have the good ability to adsorb NH₄^(+) ion in the wastewa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tinuous adsorption column filled with oyster shells and natural zeolite, especially the ratio of 1 : 2 by volume, is found to be effective in nitrogen removal and economic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