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PASS: 스마트 기기 사용자 인증 기법 연구

        정유선(You Sun Jeoung),최동민(Dong Min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모바일 스마트 기기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스마트 기기의 활동 범위를 크게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기존의 모바일 기기와 달리 기기 사용자의 다양한 비밀 정보를 관리ㆍ사용하고 있어 높은 보안 요구사항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인증 기법들은 최근의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 공격 유형들 중 사회 공학 공격에 해당하는 엿보기, 레코딩, 스머지와 같은 공격에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는 사회공학 공격에 강인하면서도 충분히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그래픽 기반 인증 기법과 텍스트 기반 인증 기법을 혼합 적용하여 보안 안전성이 높으며 여타 그래픽 기반 기법과 달리 암호의 기억이 용이하다. The rapid increase in users of mobile smart devices has greatly expanded their range of activities. Compare to conventional mobile devices, smart devices have higher security requirements because they manage and use various kind of confidential information of the owners. However, the cation schemes provided by conventional smart devices are vulnerable to recent attacks such as shoulder surfing, recording, and smudge attacks, which are the social engineering attacks among the types of security attacks targeting the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uthentication method that is robust against social engineering attacks but sufficiently considering user’s convenience.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by using combination of a graphical authentication method and a text-based authentication method. Furthermore, our method is easier to memorize the password compare to the conventional graphical authentication methods.

      • KCI등재

        스마트 기기 사용자 적응형 가변 키보드

        정유선(You Sun Jeoung),최동민(Dong Min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6

        인터넷 이용과 정보활동의 주요 수단이었던 데스크탑 컴퓨터는 모빌리티와 단순화를 강조하는 스마트 기기에 의해 그 자리에서 밀려났다. 최근의 정보생산 및 소비 활동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통적 인 입력 수단인 키보드를 대체할만한 스마트 기기용 입력 수단이 없다. 스마트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상 키보드는 작은 크기로 인해 입력 오타가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는 기존의 가상 키보드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가변 가상 키보드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가상 키보드와 키의 배열에 차이는 없으나 사용자의 입력 오류의 발생 위치와 압력 정도의 누적 데이터에 따라 판단하여 가상 키보드의 각 키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시킨다. Desktop computers, which were the main means of Internet use and information activity, were pushed out by smart devices that emphasized mobility and simplicity. The recent informat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are performed through smart devices, but there is no input device for smart devices that can fully replace traditional input devices such as full-size PC compatible keyboards.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that uses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 device, typographical error occurs at a high r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 variable virtual keyboard that minimizes the typographical errors of the conventional virtual keyboards. The proposed method minimizes the user ’s input error by adjusting the size of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based on accumulated dataset of position and pressure of the user’ s input error even 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key position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virtual keyboards.

      • 다채널 컬러 모델을 이용한 얼굴영역 검출

        송선희 ( Sun-hee Song ),석경휴 ( Kyung-hyu Suk ),김철영 ( Chul-young Kim ),김문환 ( You-sun Jeoung ),정유선 ( Moon-hwan Kim ),배철수 ( Chul-soo Bae ),나상동 ( Sang-dong Ra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컬러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조명의 영향에 대응하면서 얼굴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 영역으로부터 다채널 스킨컬러 모델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외부 조명에 민감한 스킨컬러 특성을 고려해 색상정보와 광도를 분리할 수 있는 Y C <sub>r</sub> C <sub>b</sub> 색상모델을 이용하며, Green, Blue 채널의 정보를 Gaussian 확률밀도 모델로부터 C <sub>b</sub>- C <sub>g</sub>의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스킨컬러 영역 밀도를 모델링한다. 또한 얼굴영역에 Region Restricting과 임계값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눈 영역 검출 과정을 보이고, 실시간 복합 얼굴 검출 시스템 조명방식에 의해 결과를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