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습식 골재 생산 공정에서 모래 및 케이크 발생량 평가

        정영욱,이진영,홍세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4 자원환경지질 Vol.57 No.2

        본 연구는 국내 골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케이크의 발생을 줄이는 방안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8개 습식 골재 생산 업체의 케이크를 수집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다. A 골재 생산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입도 분석을 수행했다. 생산 공정을 모델링하여 모래 회수 장치 전후에서 물질 수지를 계산했다. 8개의 케이크 입도 분석 결과 하나의 시료에서 모래가 50% 포함된 사례도 있었고 나머지는 약 5~25% 포함하고 있었다. 케이크 내 다양한 모래가 포함하고 있다는 결과는 현장의 모래 회수 장치의 회수 효율이 다양함을 의미할 수 있다. A 업체 파쇄 공정에서 모래 입도는 2차 파쇄 때보다 3차 파쇄 때에 2.8배 증가했고 케이크 입자도 더 많이 발생했다. 모래 회수 공정을 모사한 결과 사이클론 및 탈수체의 분극점이 낮아질수록 모래 생산은 증가했고 케이크 발생은 적어지는 추세가 나타났다. 현장에서 케이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골재생산 공정에서 특히 모래 회수 장치의 적정 운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reduce the production of cakes generated in the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Cakes from 8 wet aggregate producers were collected and particle size was analyzed. Samples were collected step by step from an aggregate producer A, particle siz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aterial balance was calculated before and after an sand recovery unit by modeling the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eight cakes, one sample contained 50% sand, and the rest contained about 5% to 25% sand. The results showing that the cake contained a variety of sand in cakes may indicate that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sand recovery units in the field varied. Sieve analysis of the samples showed that the generation of sand particles increased 2.8 times during the third crushing compared to the second crushing, and more cake particles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sand recovery unit model, the lower the cut point of the cyclone and dewatering screen, the higher the sand production and the less cake production appeared.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of cake in the field, it was determined that an optimal operation of the sand recovery unit was necessary in the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 KCI등재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DDS 디스커버리 방법에 관한 연구

        정영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0

        The DDS discovery is a behind-the-scenes way in which DDS objects on different nodes find out each other in a same domain. If the DDS discovery takes a long time, the preparation time for DDS communication is also delayed. And if the DDS discovery between several nodes fails, DDS communication between nodes related to them would be also failed. This problems can be a big cause of overall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the DDS discovery gives the effect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In this paper, I propose an efficient new method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and reduces the time of DDS discovery. I simulate both the origin and the new proposed method for DDS discovery, and I compare the result of performance. This result will help for improving a DDS discovery in a large-scale system. DDS 디스커버리는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고, 다른 노드에 존재하는 DDS 객체를 찾는 과정이다. 한 노드에서 DDS 디스커버리 과정이 실패한다면, DDS 디스커버리가 실패한 노드에서 정상적인DDS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시스템 운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DDS 디스커버리의 성능을 향상시켜 DDS 디스커버리 과정을 빠르게 완료하고, 네트워크 부하와 컴퓨터 자원 사용량을 줄여서 DDS 디스커버리가 실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면 전체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시스템에서 DDS 디스커버리 시간과 네트워크 부하, 컴퓨터 자원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시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 KCI등재

        Acid Mine Drainage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tream Sediments in the Okdongcheon Stream, Sangdong Area, South Korea

        정영욱,Cheong, Young Wook,Thornton, Iain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4 자원환경지질 Vol.27 No.1

        강원도 상동지역의 옥동천 및 그 지류들을 대상으로 수질 파라메터(Eh-pH, 부유물질)의 측정과 하상퇴적물의 화학분석을 통하여 석탄광 및 금속 광산활동에 의한 옥동천의 수성 환경의 오염정도를 조사하였다. 옥동천의 조사유역을 상부와 하부 옥동천으로 구분할 때 상부 유역은 석탄광의 개발로 인한 황화물의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수질은 매우 낮은 pH를 나타내 광산 산성수(Acid Mine Drainage)로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상부 옥동천에 용존된 철이 지류들의 유입과 하천의 aeration으로 철 산화물(floc)의 발생과 이의 침전으로 하천 바닥은 황갈색의 철산화물이 퇴적되어 있다. 그러나 상부 옥동천의 유속에 의해 일부 철 산화물이 침전되지 못한채 부유되어 옥동천은 매우 탁하게 보인다. 상부 옥동천온 천평천의 유입으로 인하여 낮은 pH의 산성수는 중화되지만 부유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하부 옥동천은 계속 탁하여 광산 산성수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다. sediment quality criteria와 비교해 볼 때 하부 옥동천의 하상퇴적물, 특히 상동 텅스텐-모리브덴늄 광미 저장댐과 인접된 지점의 하상퇴적물은 Pb, Cu, Zn, Co, Cd, As 및 Bi 등의 유해금속에 의해 농축되어 있어 퇴적물의 질이 상당히 악화되어 있다. 수중 및 저서 생물에 대한 서식처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옥동천 상부에는 산성수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경제성 있는 수처리 장치의 도입과 중금속의 speciation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Geochemical investigations based on measurements of water parameters and sampling of stream sedi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Okdongcheon stream and its tributaries in the Sangdong area of South Korea. There are two main problems occurring in the Okdongcheon stream: an acid mine drainage in the upper reaches and toxic trace metal contamination of the stream sediments mainly in the lower reaches. Acid mine water originating from coal mining was neutralized at the confluence of the Cheonpyongcheon stream whilst suspended solids due to flocculation of iron in water caused turbidity which was undesirable. Sediments in the Okdongcheon stream have been contaminated by mining activites. Iron was heavily concentrated in sediments in the upper Okdongcheon whilst toxic trace metals including Pb, Cu, Zn, Co, Cd, As and Bi were accumulated in sediments at stations draining metallic mining areas and near the tailings dam. There is now a requrement to neutralise the acid mine drainage and to use site-specific analysis of biological communities to ensure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aquatic organisms.

      • KCI등재

        경남 양산 및 밀양지역 납석광상의 지구화학적 연구

        정영욱,전효택,Cheong, Young-Wook,Chon, Hyo-Tae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9 자원환경지질 Vol.22 No.4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five pyrophyllite deposits in Yangsan-Milyang area such as Cheonbulsan, Dumyong, Dongrae, Youkwang, and Sungjin mines were investigated. Pyrophyllite ores consist mainly of pyrophyllite, sericite, and quartz with some amounts of kaolinite and pyrite. Polytype of pyrophyllite is 2M. Sericite has two polytypes of 1M and 2M1. The ${\delta}^{18}O$ values of pyrophyllite from the Cheonbulsan and the Dumyong mines were measured as 0.23-0.60‰ and 3.40‰, respectively, and those of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from the Dumyong mine were in the range of 11.90-12.06‰. This low oxygen isotope composition provides conclusive evidence for hydrothermal activity in the studied area. Contents of major elements are more useful than those of trace elements to discriminate altered zones such as pyrophyllite, sericite, argillic, and andalusite zones from the surrounding rocks. Particularly, contents of $K_2O$, $Na_2O$ and CaO are helpful to identify alteration zones from the discriminant and the cluster analysis of multi-element data.

      • KCI등재

        공정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광산배수 중화침전 공정 평가

        정영욱,허원,임길재,지상우,서의영 한국자원공학회 2016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3 No.1

        An neutralization-precipitation process for treating an acid mine drainage (AMD) was set up with a process simulator. Flow rate of AMD was 100 m3/d. 150 kg/d of lime was used for neutralizing the AMD. 1 kg/d of polymer was used for coagulating the suspended solids. Solid removal rates of 90% and 95% were assumed for a clarifier and a thicker, respectively. The AMD with a pH of 2.69 contained Fe, Al, Cu and Zn. It was simulated that iron hydroxide could be produced at 32.2 t/yr, aluminum hydroxide at 6.4 t/yr and copper hydroxide at 3.3 t/yr. Simulation result showed that aeration process consumed the largest electricity than other process. It was evaluated that process simulation could play roles in making a better decision for AMD treatment options. 공정분석 시뮬레이터(simulator)를 이용하여 산성광산배수 중화침전공정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운전 조건으로 광산배수 처리 유량은 100 m3/d 이었고 소석회 및 폴리머 응집제 사용량은 각각 150 kg/d 및 1 kg/d 였다. 침전조 및 농축조에서 고형분 제거율을 각각 90%와 95%로 가정하였다. 수질은 pH가 2.69인산성수로서 Fe, Al, Cu, Zn 으로 오염된 광산배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철 수산화물은 30.2 t/yr, 알루미늄 수산화물은 6.4 t/yr 그리고 구리 수산화물은 3.3 t/yr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폭기 공정에 가장 많은 전력이소요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법은 산성광산배수 처리 계획 수립시 의사결정에 유용한 도구로 생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