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 관련 활동 분석

        정애경,서윤희,지옥,조부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 관련활동을 생활 주제별, 환경교육 내용범주별, 활동 유형별, 누리과정 5개 영역별로 분석하여 유아환경교육의 경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으로 분석 기준에 따라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 관련활동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 관련활동은 생활 주제 ‘봄.여름.가을.겨울’,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환경교육 내용범주별로는 ‘환경구성 이해’ 영역에서 50%로 가장높은 빈도를 나타낸 반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시민의식 증진’에는 매우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활동 유형별로는 이야기나누기, 동화.동극.동시, 과학 영역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누리과정 5개 영역별로는 자연탐구영역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반면 예술경험에는 매우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유아기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모든 생활주제에서 다양한 활동유형을 활용하여 환경교육의 5개 내용범주를 골고루 다루는 균형 잡힌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정애경,김지심,김정화 한국공학교육학회 2013 공학교육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For this study, a web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who were in college of engineering at D college in Seoul. A total of 702 sampl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ignificantly. Secondly, self-respect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ersistence except career maturity. Thridly, the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Finall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had also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enhanc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design programs that support learning persis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정애경,김계현,김동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variable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 this study: Which variables are frequently used in research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How big of an effect size is each variable? For this analysis, ten variables was selected by considering frequencies. Next, 100 studies were collected and 283 effect sizes were produced. The selected studies had been conducted in Korea from 1993 to 2006. First, there are ten variabl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research: sex, school year, family income, vocational identity, ego-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efficacy, decision making styl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Second, small effect size exists for school year, family income, intuitive decision style and attachment; medium effect size for self-efficacy, dependent decision style in a negative direction; large effect size exists for vocational identity,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a negative direction. However, there are no relation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sex, rational decision style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Excep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the mean effect size distributions are heterogeneous.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moderating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to interpret the effect siz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iscussion of the synthetic conclusion about inconsistent outcomes of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its variables and to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designing empirical studies by examining the research tendency in career indecision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bout the theoretical postulates for career indecision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진로미결정과 관계가 있다고 추정되는 변인들에 대한 축적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진로미결정은 주로 어떤 변인들과 관련하여 연구되었으며, 각각의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메타분석을 위하여 국내 진로미결정 관련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10개의 주요 관련변인을 선정하였으며, 총 100편의 논문에서 28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연구에서 진로미결정과 관련지어 주로 다루어진 변인은 성, 학년, 가정형편, 진로정체감, 자아정체감,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의사결정유형, 애착, 심리적독립 등이다. 각 변인들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효과크기로 환산하여 분석한 결과, 진로정체감과 자아정체감,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미결정과 높은 부적상관이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중간 정도의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은 중간 정도의 정적상관이 있었다. 학년과 가정형편, 직관적 의사결정유형, 애착 등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매우 작은 효과크기만 발견되었으며, 성,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심리적 독립은 진로미결정과 관련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집자료에 대한 동질성 검정 결과, 애착과 심리적 독립을 제외한 다른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는 동일한 전집에서 표집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진로미결정 관련변인 연구들의 이론적 한계와 향후 진로미결정 연구의 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이성애자의 동성애 및 동성애자에 대한 태도: 탐색적 질적 연구

        정애경,윤은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South Korean heterosexuals’ attitudes towards same-sex relationships(SSR), lesbians, and gays(LGs). The authors of the study interviewed 12 adults who identify as cis-gender heterosexuals. After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1) Paths to learning about SSR and LGs, 2) Feelings of discomfort with SSR and LGs, 3) Beliefs in the origins of same-sex attraction, and LGs identities, 4) Expectations of hetero-based relationships, marriages, and reproduction as the norm, 5) Belief that discrimination of sexual minorities does not even exist, and not wanting to be aware, 6) Willingness to better understand SSR, and LGs, 7) Beliefs that Korean-specific cultural norms must be maintained, and 8) Opposition against violence and hate speech to sexual minorities, but beliefs that sexual minorities need to take more action to advocate for themselv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social justice context. 이 연구는 한국 20-40대 이성애자가 동성애와 동성애자(게이, 레즈비언)에게 가지는 다양한 범주의 정서․인지․행동 태도를 이해하고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세 이상 50세 미만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이성애자 12명(남 7, 여5)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02개의 의미진술문이 도출되었고, 이는 47개의 주제로 요약되었으며, 최종적으로 8개의 상위범주로 재정리되었다. 8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동성애 및 동성애자에 대해 알게 된 경로’, ‘동성애와 동성애자는 불편함’, ‘동성애를 하고 동성애자가 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음’, ‘이성 간 연애 및 결혼, 자녀출산이 당연함’, ‘동성애 차별은 없고, 나와는 관련 없음’, ‘동성애자를 이해하고 싶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름’, ‘폭력과 혐오발언은 잘못된 것이지만, 노력은 동성애자가 해야 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정의 맥락에서 성적 지향에 대한 다양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향후 연구 과제 및 관련 학계의 실천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정애경,홍유나,강정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 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 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 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 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 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among technology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stress that had impacts o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6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s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easy to use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echnology easy to use negatively affected technostr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technology intention to use while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ed it. From thi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various technology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provided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and less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stress. Further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utilizing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media should be develop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