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圓型의 傳說」에 나타난 張龍鶴의 作品世界

        정숙인 朝鮮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1975 國語敎育硏究 Vol.1 No.-

        작가적 출발과 함께 6.25라는 참상을 겪었던 이른바 1950년대의 작가들은 이제까지의 순수파 작가들이 지닌 목가적 안온성에 만족할 수 없었다. 해방 후의 혼란과 전쟁을 겪으면서 인간이 처한 극한 상황을 의식하게 되고 그래서 그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다분히 병적일 수밖에 없었다. <원형의 전설>의 이상이 자기의 출생의 비밀에 접한다는 정신적 외상에 의해 정신적 분열이 시작된 것처럼 이러한 실존의식에 눈을 뜬 사람들은 이제껏 보지 못했던 인간 존재의 우매성을 깨닫게 되며 그렇게 되어버린 근원을 추구하게 된다. 이에 <원형의 전설>에서는 그 근원은 인간의 언어-주문-헛된 이름의 병때문이라 규정짓는다. 이 이름이라는 것이 지어낸 모든 <인간적>인 것이 <인간>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주인공의 헛소리는 말의 비극을 고발하는 검사의 논고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 KCI등재

        매월당 김시습의 매화시 연구

        정숙인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After the Gyeyujeongnan revolt led by King Sejo, Kim Si-seup, who had chosen to be a wanderer and given up the desire to enter the political world, let go of his rogue life of ten years and retired to Gyeongju’s Namsan Geumo Mountain. During that period, when he was in his early thirties, Kim Si-seup created many Maehwa Poetry/ plum blossom poems. Plum is a prelude to overcoming the trials of snow, ice, cold, and bursting the bloom. Therefore, the plum is regarded as an image of ecological significance; it is considered a “spring messenger,” and it symbolizes “overcoming trials.” This implication also appears in the plum poetry of Kim Si-seup. Kim Siseup planted plum trees in Geumo Mountain and held expectations and hopes for the future. He projected himself onto the symbol of the plum and represented himself through it. The plum became the mediator through which he was able to sort out thoughts of his past life and years of wandering. In addition, he addresses the plum using the term “geudae” (thou) and thus treats it as a person. In this way, he reaches the state of Mol-a (沒我) through Mul-a-il-che (物 我一體). Moreover, it came to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when it became the act of seeking after truth on the road of himself. 세조의 계유정난 이후 정계 진출에 대한 생각을 접고 방랑의 길을 선택했던 김시습. 10여 년의 방랑 생활을 청산하고 경주 남산 금오산에 은거한다. 30대 초반 시절을 보낸 금오산에서 지내던 시기에 김시습은 다수의 매화시를 창작 하였다. 매화는 눈과 얼음, 추위라는 시련을 이기고 꽃망울을 터뜨려 봄을 전하 는 존재이다. 봄의 전령사라는 생태적 함의와 ‘시련과 극복’이라는 이미지로 읽 힌다. 이런 기본적인 함의가 김시습의 매화시에서도 나타난다. 김시습은 금오 산실에 매화를 심고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품었다. 그리고 매화에 지난날 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을 투영하였다. 지난날의 삶과 방랑에서 얻은 생각들을 정리하는 매개체가 매화였던 것이다. 또한 매화를 ‘그대’라고 인격체로 대하며 ‘探梅’ 행위를 통한 物我一體를 통해서 沒我의 경지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그것 은 자기 자신의 길에 대한 求道의 행위가 되어 내면 성찰과 관조까지 이르렀다

      • KCI등재후보

        아시아 지역 폐렴 구균의 항균제 내성 현황 및 변화 양상

        정숙인,고관수,김연숙,오원섭,백경란,이남용,송재훈,김나영,손준성,기현균,서지연,장현하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1

        Background:Emerg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became a global issue since 1990s. According to the ANSORP studies with clinical isolates and carriage isolates between 1996 and 1999, some Asian countries showed alarmingly high prevalence of resistance to penicillin and other antimicrobial agent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ends of pneumococcal resistance, ANSORP study group has performed a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s from Asian countries. Methods:All isolates from various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NCCLS procedures. Serotyping was performed by means of Quelling reaction with use of group-specific antisera. Results:A total of 685 isolates were collected. Overall, 52.4% of invasive isolates from Asian countries were not susceptible to penicillin (intermediate (I), 22.9%; Resistant (R), 29.5%). Vietnam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of penicillin non-susceptibility (I 20.6%, R 71.4%) followed by Sri Lanka (I 71.4%, R 14.3%), Hong Kong (I 24.1%, R 76%) and Korea (I 9.7%, R 54.8%). China (I 19.8%, R 23.4%) and Malaysia (I 9.1%, R 29.5%) also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penicillin resistance compared with previous ANSORP data, which were less than 10%. Vietnam (92.1%), Taiwan (87.7%), Korea (80.6%), and Hong Kong (76.8%) showed high prevalence of erythromycin resistance. MIC90s for ciprofloxacin were 4 µg/mL (Hong Kong) and 2 µg/mL (11 Asian countries except Hong Kong), respectively. Conclusion:Compared with previous data from ANSORP studies,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s has markedly increased in Vietnam, Sri Lanka, Taiwan, China, and Malaysia. Continuous surveilla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 is strongly warranted. 목 적 : 1980 년대부터 페니실린을 비롯한 β-lactam 계열과 비 β-lactam 계열 항균제에 대한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ANSORP 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과 그 변화 추이, 내성의 기전 및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본 국제 공동 연구를 시행하였다.재료 및 방법 :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2개국의 14개 기관에서 폐렴구균 감염증 환자의 임상 검체로 분리된 침습성 폐렴구균을 대상으로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을 이용하여 16개 항생제의 MIC를 구하였다.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하여 폐렴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Quellung 반응을 통해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총 685균주 중 52.4%가 페니실린에 대하여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2.9%, 내성 29.5%)을 보였고, 그 빈도는 베트남(92.1%), 스리랑카(85.7%), 홍콩(67.9%), 한국(64.5%)의 순이었다. Erythromycin에 대한 비감수성 비율은 베트남(92.1%), 대만(87.7%), 한국(80.6%), 홍콩(76.8%) 등에서 높게 나타났고, 베트남, 대만, 한국, 홍콩 등의 erythromycin의 MIC90이 32 g/mL를 넘는 고도내성을 보였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 인도에서는 fluoroquinolone에 대한 내성 균주가 출현하였다. 전체 균주 중 다제내성 균주의 비율은 47.7%였다. 혈청형은 19형과 23형이 가장 많았고, 그 외 6형, 14형 등이 있었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감염증의 위험인자로는 5세 미만 (OR=1.7; 95% CI, 1.2-2.4; P=0.002), 기관지폐질환 (OR=2.0; 95% CI, 1.3-3.1; P=0.003), 악성종양(OR= 2.3; 95% CI, 1.2-4.6; P=0.015), 스테로이드의 사용 (OR=2.8; 95% CI, 1.1-7.4; P=0.032)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