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廣州 廣州安氏 宗契 조직과 운영의 재구성

        정수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장서각 Vol.- No.48

        이 글은 고문서와 일기를 활용하여 18세기 종계 운영의 내부 모습을 재구성했다.활용 자료는 광주 광주안씨 고문서와 안정복의 일기이다. 그 중 종계를 기록한 『宗契 日記』를 중심자료로 활용하되, 인물과 사건 관련 자세한 내용은 고문서와 일기를 이용했다. 1737년(영조 13) 종계 설립에서 1743년(영조 19) 운영이 한계에 이르는 과정을 서술했다. 이를 통해 고문서와 일기를 사료로서 의미를 부여하고 종계의 조직과 운영의 실제를 상세히 묘사했다. 종계 구성을 전후한 시기 계의 조직 배경과 운영 방향을 확인하고 재구성했다. 광주안씨는 1722년(경종 2) 즈음 광양군(안황)의 종통을 이종하는 과정에서 종가의 위상을 재확립하고 묘위전답으로 상징되는 경제적 기반의 확보가 필요했다. 이런 배경에서 안서우, 안극, 안정복은 족보의 편찬과 종계의 조직에 직접 혹은 간접 관여할 동기가 있었다. 종계 발촉은 1738년(영조 14) 광주안씨 초간보의 간행 준비과정에서 파생되었으며, 안성에서 안황으로 이어지는 종통을 강조하고자 했던 광양군 종가에서종계를 주도하면서 관련 기록이 종가에 남게 되었다. 고문서와 안정복의 일기를 통해재구성할 수 있는 종계 활동의 현장과 주변의 정황은 텃골의 광주안씨가 종계의 주체로서 그리고 광주안씨 종통의 중심이라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다.

      • KCI등재

        17세기 전반 趙克善의 賣買기록과 用錢경험-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 분석-

        정수환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0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lore personal financial practices in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as not much is known about the economics of this era. The main text that is discussed is the diary of Cho GukSeon (1595~1658), a distinguished Confucian scholar and officer, which was written between 1609 and 1635. The diary covers his daily life and contains details about his economic experiences. Cho GukSeon chose his words carefully when recording his activities in his diary. In particular, when it came to personal economics, he distinguished between gift exchanges and financial transactions. For instance, he used different verbs for exchanging gifts with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e words could be adapted to apply to superiors, equals, or inferiors. Also, Cho GukSeon differentiated buying and selling from trading. Details of economic activity found in the diary, whether personal or market-related, explain how economic life had changed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sixteenth century (especiall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personal financial dealings and exchanges were common even prior to the sixteenth century in Choson. The Choson government’s monetary policy affected Cho GukSeon’s economic activities. He received his officer’s salary in the form of coins made from copper or tin and purchased food in shops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al monetary policy. The coins did not reach the position of common currency, however, so Cho GukSeon eventually had to sell his clothes and crops to obtain his daily necessities. This indicates that governmental policy merely impacted personal economic activity, which led to policy failure until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Cho GukSeon experienced varying economic circumstance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currency types and changes in the customs of gift giving, and he recorded these phenomena in his diary with carefully chosen words. 이글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전반의 개인 경제생활 실태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다. 대상 자료는 조극선(1595~1658)이 17세기 전반기(1609~1635) 동안 기록한 일기(『인재일록』과 『야곡일록』)이다. 연구는 일기에 남겨진 매매 기록의 특징과 이 시기 단행된 국가의 전문유통 정책이 개인 생활에 끼친 영향에 대한 추적 방향으로 진행했다. 조극선은 일기 기술에 있어, 특히 경제생활과 관련해서는 선물의 수수와 매매 및 거래에 대한 단어 선택에 신중했다. ‘매매’의 경우는 ‘賣’와 ‘買’로 표기하면서 여타 경제행위와 구분했다. 이에 따라 그의 일기 중 ‘매매’와 관련한 기술을 추출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조극선은 교환, 선물과 차별화된 행위로서 ‘매매’를 규정하였으며, 매매를 통해 ‘利害’와 관련한 ‘人慾’을 표출했다. 행전책은 국가와 개인의 이익에 대한 추구를 전제로 인조조에 제도변화 차원에서 실시되었다. 1633년(인조 11) ‘조선통보’의 유통을 계기로 조극선은 한양에서 녹봉의 일부를 전문으로 받아 이를 매매에 이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用錢 사례는 국가의 행전정책에 대한 수동적 대응에 불과했으며, 기존의 곡물과 포목을 이용한 매매가 여전히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화폐제도의 변화 정책이 수용되어 성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 논문은 개인 경제생활의 양상에 대한 연구 중 공백기로 남아 있던 17세기 전반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行錢의 성패가 개인과 사회의 새로운 제도에 대한 합의 여부에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Wavelet 변환을 이용한 영상 트래픽 모델링

        정수환,배명진,박성준 한국음향학회 1999 韓國音響學會誌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Wavelet 변환과 Vector Quantization(VQ)을 이용한 VBR (variable-bit-rate) 비디오 트래픽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안된 방법은 영상 트래픽을 Wavelet 변환한 후 두 개의 요소로 분해하여 각각을 분리하여 모델링한다. 첫 번째 요소는 AR(1) 프로세스 모델로 이것은 트래픽의 비교적 장시간에 걸친 변화 특성을 표현한다. 두 번째 요소는 벡터 양자화(VQ)를 사용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의 트래픽 특성을 표현한다. 다른 VBR 트래픽의 모델 방법과 비교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세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영상 트래픽의 특성을 장시간과 단시간의 형태로 나누어 모델링을 할 수 있다. 둘째로 트래픽 데이터의 주기적 코딩 구조를 보존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 레벨과 슬라이스 레벨의 트래픽 모델링을 통합할 수 있다. 통계적 측정과 네트워크 성능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velet VQ approach to modeling VBR broadcast video traffic. The proposed method decomposes video traffic into two parts via wavelet transformation, and models each part separately. The first part, which is modeled by an AR(1) process, serves to capture the long-term trend of the traffic; the second part, classified via vector quantization, addresses the short-term behavior of the traffic. Compared with other VBR video models, our model has three advantages. First, it allows the separate modeling of long- and short-term behavior of the video traffic; second, it preserves the periodic coding structure in traffic data; and third, it provides an unified approach for the frameand slice-level traffic modeling. We demonstrate the validity of our model by statistical measurements and network performance sim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속도위반 단속 허용범위 개선안 제시 및 효과 추정

        정수환,한경희,이민호,이철기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2

        낮은 제한속도 환경에서 무인 교통단속 장비의 속도위반 단속 허용범위는 매우 높으며. 이 는 제한속도 준수율이 낮은 주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무인 교통단속 장비 의 속도위반 허용범위를 개선하여, 새로운 제한속도별 허용범위 기준을 제시하였다. 먼저 운전 자에게 과속을 유발할 수 있는 운영자·이용자 측면의 오차 실효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단속 장비 오차와 내비게이션 GPS 속도 오차를 적용하여 허용범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허용범위 개선 시 운영자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기대되는 사고율 및 사고 심각도 등 안전 성 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모든 제한속도의 도로구간에서 제한속도 준수율, 사고율, 속 도 변화에 따른 심각도별 사고건수 변화율,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률 모두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속도위반 단속 허용범위 개선안이 도입될 경우, 추정한 개선 효과와 같이 도로의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a low speed limit environment, the speed limit tolerance of automated traffic enforcement devices is very high,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for the low compliance rat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the improve the speed limit tolerance and to present a new standard. The effects of the operator and user errors that can cause speeding by driv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 improvement of the tolerance was proposed by applying an error in the enforcement device and GPS speed. In addition, long-term expected safety effects such as the accident rate and severity were estimated from the operator's perspective when improving the tolerance.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the speed limit compliance rate, accident rate, and change rate of a number of severe accidents due to speed change, and pedestrian traffic accident mortality rate were all improved in all speed limit environments. The introduction of the proposed improvement is expected to improve road safety significantly.

      • KCI등재

        일제강점기 현풍 도동서원의 현실과 대응

        정수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1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서원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서원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찾기 위해 연구 확장을 시도했다. 연구 대상 사례는 경상도 현풍의 도동서원이다. 도동서원은 조선시대 현풍의 으뜸 서원으로 지역 사회와 영남에서의 영향력이 높았다. 도동서원은 47개의 미훼철 서원 중 하나로 현대사회까지 운영을 위한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런 사유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서원의 유지와 중건을 위한 별도의 활동이 필요하지 않았다. 지역적 기반이 강했던 도동서원은 일제강점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서원은 여전히 현풍 일대에 세거하는 현풍곽씨와 서흥김씨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서원 운영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위해 별도로 보원계를 조직하였다. 보원계의 구성은 현풍현 일대 유력 사족들이 중심이었으나 경상도 일대의 유림도 참여하고 있어 확장성을 찾을 수 있다. 서원 운영을 위한 재정적 위기에 봉착하면서 堂會를 통한 의결을 시도했다. 당회에서는 도지의 매각이나 금융지원, 보원계 계금의 활용을 논의하였는데, 여기에는 교육 기능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향사의 지속성을 목적에 두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도동서원은 조선시대 서원 주도 세력이 여전히 서원의 핵심 구성원이었으며, 영남 일대 유림들의 출입으로 사회활동과 교유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다. 서원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교육의 기능을 상실하고 향사도 재정적 문제로 축소하였으며, 만성적 재정 위기에 봉착하면서 재산에 대한 매각과 금융차입 등을 통한 해결을 모색하고 있었다.

      • KCI등재

        동아시아 서원, 일반성과 다양성의 경계-조선시대 서원과 비교 관점에서-

        정수환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In order to track the meaning of Seowon among East Asian values, this stu 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owon in China, Japan, and Vietnam based on the Choson Dynasty in Korea. East Asia has educational institution traditions according to each country's historical backgroun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be included as a confucian academy. However, there is regional diversity in educational content, relevance to the past, and spatial composition. Paradox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in the connection between Seowon and modern education have become a background for the diversity of East Asia today. 이 연구는 동아시아의 가치 중 서원이 차지하는 의미를 추적하기 위해 한국의 조선시대를 기반으로 중국, 일본, 베트남의 같은 시대 서원에 대한 성격을 상호 비교 분석했다. 연구 범위는 대한민국 학계에 소개된 국내와 국외 학자들의 동아시아 서원과 관련한 성과와 조선시대 서원의 몇 가지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동아시아는 각국의 역사적 배경에 따른 교육 기관 전통을 갖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서원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할 가능성이 있다. 서원에서의 교육 내용이나 정부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중국, 일본, 베트남의 지역적 다양성은 존재한다. 서원 제도와 현대교육과의 연결성의 문제는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과 단절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부분은 오늘날 동아시아의 다양성을 위한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노상추(1746∼1829)의 토지 매매정보 수집과 매매활동 - 居間과 居間人 그리고 土地買賣明文-

        정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circulation of land information for dealing and trading. The main archive is a diary written by Noh Sang-Choo (1746–1829), which covers a period from 1763 to 1829. No Sang-Choo recorded daily economic notes, like the purchase and sale of crop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and he collected land information for dealing as well. Two main factors are analysed: the existence of agents and the detailed process of making contract documents. Of note, the former appeared only in diary entries from the nineteenth century. Purchasers acquired articles for sale by themselves or through elite Yangban, a wealthy class of nobility, who could take his role over his servants (slaves), who were called Su-noh (head servant) or Cha-noh (chosen servant)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se servants (slaves) made a contract instead of their owner before eighteenth century; however, they did not organize land information and dealing. Another discovery from this diary, written from 1763 to 1829, reveals that writing a contract takes several steps: purchasers had to collect information, bargain and investigate the rice paddies and dry fields they wanted. This cont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written contracts in detail, including the location of land, the context of sale, and other market considerations for land dealing in relation to the agent. This research reveals the state of the land dealing market in the late Choson period, improving the market lead to changing economic life ways in land trading like presence of land dealing agents. 이 논문은 개인의 경제생활 중 토지매매와 관련하여 토지 매매 정보의 수집과 이를 통한 매매활동의 실태를 일기 자료를 활용하여 추적했다. 연구 결과는 토지 매매시장의 성장과 매매활동의 변화 규명을 통해 조선후기 경제 환경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기여한다. 분석 자료는 노상추(1746∼1829)가 1763∼1829년 동안 작성한 『노상추 일기』이다. 그의 일기에는 곡물을 비롯한 생필품에 대한 물가와 경제생활 관련 기록이 산재하고 있으며, 이들 기록 중 토지와 관련한 매매 정보의 수집과 이를 활용한 매매활동도 있다. 일기 기록을 토대로 노상추가 주변에서 발생한 토지매매 내용을 수집한 사실과 19세기 초 일기에서 ‘居間’과 ‘居間人’의 실제를 확인했다. 이러한 매매정보의 유통 환경에서 거간인의 존재를 활용하여 노상추는 토지매매 시장의 매매동향을 파악했다. 노상추가 매매활동에 있어서도 시장의 매매정보에 대한 수집을 토대로 매매물에 대한 흥정, 매매명문 작성, 그리고 매득물에 대한 확인을 실시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매득 토지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매매명문을 토대로 적극적인 소유권 수호 활동을 전개했다. 연구 성과는 토지매매명문의 작성에 앞서 정보 수집, 흥정, 매매물 확인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존재하는 사실을 밝혀 매매양상과 매매관행의 변화 연구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19세기 초 居間 행위와 居間人이 존재하고 있는 실태를 규명하여 이 시기 토지매매 시장의 전개 양상의 일면을 규명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