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ouble-Acting Shock Absorber 내부 하중 예측을 위한 연구

        정선호,조진연,김정호,박찬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항공기 사고는 주로 이착륙시 발생하며 특히 착륙 시 경착륙과 같이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따라서 착륙 시 항공기의 구조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착륙장치로부터 기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착륙장치는 대표적으로 single-acting shock absorber와 double-acting shock absorber로 분류할 수 있는데 double-acting shock absorber가 상대적으로 무겁고 비싸지만 지상 주행 시 완충 특성이 증가하므로 전방착륙장치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보다 실제적인 착륙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double-acting shock absorber 내부하중을 계산하기 위한 수식을 유도하였으며 해석을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Most of aircraft accidents occur during takeoff and landing, and those accidents such as hard-landing threate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ircraft. Therefore, calculating forces from landing gear to aircraft is necessary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Landing gears can be typically classified into single-acting shock absorbers and double-acting shock absorbers. Double-acting shock absorbers are usually used in nose landing gears because they are more efficient during taxing on rough ground even if they are more expensive and heavy. In this paper, double-acting shock absorber equations are derived to calculate internal for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ouble-acting shock absorbers are confirmed by multi-body dynamic analysis.

      • KCI등재

        Thermal Analysis for Simulation o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Considering Temperature- and History-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정선호,박은교,강재원,조진연,김정호,김기철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 Vol.22 No.1

        Additive manufacturing (AM) technology is increasingly being used in the aerospace industry due to its advantages for aerospace components such as reduction of weigh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and properties of additively manufactured materials or parts is required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certification process which is inevitable for aerospace components. However, since AM has so many paramete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products, the help of high-fidelity process simulation techniques is essential to fu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ir effect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ew method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thermal analysis for process simulations of laser powder-bed fusion technique, a representative AM technique for metal materials, using existing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software. Thermal analysis for simulations of AM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melt pool size is compared with test result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In AM process simulations, material properties may vary significantly with temperature, and they are also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history of the material because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a powder or solid state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temperature value in the past temperature history. Therefore, in this paper, user-defined subroutines and field variables are implemented so that the temperature history of each integration point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can be properly tracked and appropriate material properties can be assigned accordingly. Using the proposed methods, thermal analysis for AM process simulations can be performed successfully with good accuracy compared with the existing test results.

      • KCI등재

        Estimation of Maximum Strains and Loads in Aircraft Land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정선호,이규범,함지훈,김정호,조진연 한국항공우주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 Vol.21 No.1

        Hard landing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aircraft accidents and are generally judged by the intuition of pilots. For this reason, there are frequent false judgments that lead to unnecessary and costly ground inspections. False judgments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if detailed load information is available, such as strains or loads on critical areas of aircraft structures. This study use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o develop a numerical model that can estimate the maximum strains for areas of interest and landing loads from basic flight parameters. The results can be used to provide the required detailed load information. An efficient and accurate landing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and used to build reliable datasets for training. Basic flight parameters from immediately after touchdown were used as input data for training, and the corresponding maximum values of strains and landing loads were obtained from the landing simulation model as target data for training. This information was used to train the ANNs with the Levenberg–Marquardt backpropagation algorithm. A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est data confirmed that the trained ANNs can successfully estimate strains and landing loads with sufficient accuracy.

      • KCI우수등재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정선호,양태석,박중규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3

        Baron and Kenny (1986) first proposed the term mediated moderation, to explore how and why the moderation effect occurs. Most researchers believe that Baron and Kenny (1986)’s model is the only mediated moderation method for analysis. In fac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s (Type I, II and III) that have each been adopted as most appropriate in various research areas of behavioral science. However, few are aware of existence of these three types and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and statistical definitions. Additionally, to date there has been no source that provides an integrated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ical, statistical analyses to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It is our intention in this manuscri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essible framework by which researchers examining mediated moderation models can effectively choose a valid conceptual model and statistical testing procedures. We first, define each of three types of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ceptual and statistical models and provide examples of each. Second, we discuss how the three types were derived from a single concept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via the approach of Baron and Kenny (1986). Third, we describe the analytic procedure by examining each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pproach with a real example, accompanied by a regression-based software, PROCESS (version 3.1). 행동과학 이론의 질적 성장에 따라 연구자들은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에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방법이 매개된 조절과 조절된 매개이다. 매개된 조절은 조절효과가 “왜” 또는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를 통해 밝히고자하며 통계적으로 매개효과 검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조절된 매개는 매개과정(mediation process)이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통계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정한다. Hayes의 PROCESS는 경로분석 접근법에 따른 조건부 과정분석(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위해 개발된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이다. PROCESS는 다양한 통합 모형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용이하게 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성장과 맞물려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매개된 조절의 활용이 저조한 대표적인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이 매개된 조절은 조절된 매개와 통계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PROCESS를 활용한 자료 분석 절차도 동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절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에 기반을 둔 세 가지 유형(TypeⅠ, Ⅱ, Ⅲ)의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소개한다. 매개된 조절을 최초로 제안한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접근법(causal steps approach)을 활용하여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의 통계적 정의 및 자료 분석 절차를 논의한다. 먼저, 이들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조절회귀모형에서 조절효과의 개념적 모형(conceptual model)과 통계적 모형(statistical model)의 차이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각 유형 별로 단계적 접근법에 따른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과정, 통계적 모형,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PROCESS(Version 3.1)를 활용한 Type III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예시한다. 연구자들이 연구 배경과 연구 문제에 따라 적합한 조절효과 모형과 매개된 조절효과 유형을 선택하고 타당한 절차에 따라 검정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에 대한 비교연구: 요인구조 복원 관점에서

        정선호,서상윤,Jung, Sunho,Seo, Sangyu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Common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present two technically distinctive approaches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ch of the psychometric literature recommends the use of common factor analysis instead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Nonetheless, factor analysts u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ore frequently because they believe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uld yield (relatively) less accurate estimates of factor loadings compared to common factor analysis but most often produce similar pattern of factor loadings, leading to essentially the same factor interpretations. A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se two approaches in terms of factor pattern recovery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of sample size, overdetermination, and communality.The results show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erforms better in factor recovery with small sample sizes (below 200). It was further shown that this tendency is more prominent when there are a small number of variables per factor. The present results are of practical use for factor analysts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the social sciences.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주성분분석이 얼마나 잘 요인 구조를 복원할 수 있는지를 공통요인분석과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요인 대 변수 비율, 공통성, 그리고 표본크기를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주성분분석은 표본의 크기가 200개 이하인 경우 공통적으로 공통요인분석에 비해 더 우수한 요인구조의 복원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요인 당 변수 수가 적은 경우, 주성분분석은 50개의 표본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의 요인복원능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공통성 수준 또한 낮은 경우 필요한 표본수는 100개로 늘어난다. 본 연구결과는 요인추출방법으로서 주성분분석의 선택의 근거를 제시하고 타당한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정선호,서동기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1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to (1) describ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2) provide conceptual overview of how to examine each type of integration between mediation and moderation, including analytical strategy and interpretation of numerical results; (3) demonstrate how to analyze each using real data sets. The authors focu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because it remain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ssessing mediation and moderation in behavioral research.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mitigate confusion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d thus can enhance the frequency of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literature. 행동과학 연구자들은 흔히 회귀모형을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질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이 이 통합모형의 개념적 구분과 분석절차의 적용에 있어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연구모형과 통계모형 측면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회귀분석 접근법은 이 통합모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방법을 따르므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본문에서 먼저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개념적 구분과 방법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처음으로 소개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James와 Brett(1984)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다회귀모형에 바탕을 두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둘을 단일분석모형으로 통합한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 접근법에 의해 각각의 분석전략과 검증방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연구방법에 따라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PROCESS(Hayes, 2012)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들은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통합모형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개발 단계에서 회귀분석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연구를 수행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그들이 이 논문을 기초로 경로분석 접근법(조건화 과정 모형)으로 연구방법의 폭을 넓혀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