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중-분계점 ACD-GARCH 모형을 이용한 일중 고빈도 자료의 주식 수익률 변동성 분석
정선아,황선영,Chung, Sunah,Hwang, S.Y.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volatilities of stock returns based on high frequency data from stock market. Incorporating the price duration as one of the factors in volatility, we employ the autoregressive conditional duration (ACD) model for the price duration in addition to the GARCH model to analyze stock volatilities. A combined ACD-GARCH model is analyzed in which a double-threshold is introduced to accommodate asymmetric features on stock volatilities.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선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OECD 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 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 관점을 ‘충실도’, ‘상호적응’, ‘생성’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의 내용은 각국 영유아보육과정의 명칭, 문서의 목적, 학습 및 발달 목표, 적합성 검토 방법, 자체 영유아보육과정 수립의 자율성, 영유아보육과정 설계 과정, 실행자료 지원의 7가지 영역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국가의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은 ‘상호적응’과 ‘생성’의 관점에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상호적응’의 관점에서 실행을 지향하고 있으나현장에서는 ‘충실도’의 관점에서 실행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향후 개발될 0-5세 통합 국가수준영유아보육과정은 ‘충실도’의 관점을 벗어나 ‘상호적응’ 혹은 ‘생성’의 관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그 관점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프뢰벨 '아동중심 (child-centered)' 용어의 의미
정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0 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프뢰벨이 처음으로 사용한 아동중심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그의 사상에 영향을 미친 독일 이상주의와 기존의 교육 · 철학사상의 큰 맥락(larger context)과 그의 아동관과 유치원교육이라는 지역적 맥락(larger context)에서 구성하고 맥락화하였다. 독일이상주의와 기존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은 프뢰벨의 철학적 인식론은 프뢰벨의 아동중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교육에 구현되었다. 아동중심용어의 의미는 아동의 정신발달특성을 중요시하면서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아동이 주도하는 교육과는 다른 의미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Froebel's term, child-centered.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extualize Froebel's use of the term, child-centered and his educational ideas within a larger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context and the local context of early schooling. Froebel's notion of child-centered emerged from his view of childhood which was formed within the discourse of German Idealism. German Idealism valued human intuition, mystical experience, and the dialectic, which together were thought to comprise the human mind. In this context, Froebel formed his idea of the divine unity, which is fundamental to an understanding of his educational ideas. Divine unity was not a mystical belief but, rather, hi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 and human knowledge. Based on the idea of Divine Unity, Froebel explained development of knowledge of the divine world by the actions of human mi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of the world was congruent with children's mental development. According to Froebel, young children are not able to use reason in their effort to comprehend the world. Young children should be at the center of their immediate environ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sense or acting on objects. For Froebel then, the notion of child-centered was based on his view of early childhood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children's limited intellectual ability. Thus he saw kindergarten as a garden for children (only later did it become a garden of children). Development referred not to the unfolding of biological physical and mental structures but to the movement toward Divine Unity. Curriculum was to be designed to support this movement.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정선아,라릿,안정준,김영일,정철의,Jeong, Sun-A,Sah, Lalit Prasad,Ahn, Jeong Joon,Kim, Young-Il,Jung, Chuleu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Fruit borers such as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are major pests of plum in Korea. Population densities and seasonal occurrence were monitored using the synthetic sex pheromone trap in Uiseong and Gyeongsan, two important major plum growing area in Korea. In 2010 and 2011, adults of G. molesta were caught from mid April with the peak of late April, and then undergone three more generations in Gyeongsan. Grapholita dimorpha appeared from late April and they showed three peaks until late September. Both Grapholita species occurred a few days later in Uiseong than in Gyeongsan where the latitude is $1^{\circ}$ low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phenological occurrence of C. sasakii between Gyeongsan and Uiseong, showing the same patterns of two or three peaks. Population size was in order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with 63:16:20 and 47:35:18 in Gyeongsan and 51:18:31 and 46:13:36 in Uiseong,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Grapholita species caught in the trap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orchards.
환자-교차 대조군 연구를 적용한 산업재해 발생의 단기적 영향 요인
정선아,원종욱,노재훈,이종태,Jeong, Seon-A,Won, Jong-Uk,Roh, Jae-Hoon,Lee, Jong-Tae 대한예방의학회 2001 예방의학회지 Vol.34 No.1
Objectives : To elucidate the transient effects on the risk of occupational injuries as acute events and establish so alternative proposal.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a total of 302 workers randomly selected from applications for occupational injury compensation reported to the Inchon local labor office from January 1. 1999 to December 31. A case-crossover design, where each case serves its own control, was applied to this study. Through a telephone interview, workers provided useful data concerning five job related stressful events such as company transfer, work load change, overtime work, exchange duty, and work-part transfer. They were asked whether there were stressful events within a week of the occurrence of injury and the degree of stress. Exposure status from one year prior was used as control information. In the end, the data provided by 158 of selected persons was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quality of the data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A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iscover the transient effects on the risk of occupational injuries as acute events. Results : The effects a company transfer and work load change on occupational injur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isk of occupational Injuries as an acute event(RR=5.5, 95% CI=2.501-12.428; RR=3.1, 95% CI=1.963-5.017, respectively). Other stressful events were found to elevate the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jujury, but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ed that transient stressful events elevated the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injury.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 냄새감각기의 전자현미경관찰
정선아,김지애,오현우,변봉규,박계청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각종 베리류 과실에 피해를 주는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에 있는 냄새감각기(Olfactory sensilla)들의 종류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암, 수컷의 촉각(Antenna)과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i)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다. 직경 20–50nm의 작은 구멍(Pore)들이 표면에 존재하는 감각기(Sensilla)들을 냄새감각기 로 구분했을 때, 벗초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분포하는 많은 감각기들은 대부분이 냄새감각기로 판단되었다. 이들 냄새감각기들은 표면미세구조가 다른 귀모양감각기(Sensilla auricillica), 털감각기(Sensilla trichodea) 및 추상감각 기(Sensilla basiconica)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감각기 종류와 분포양상은 촉각과 작은턱수염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벗초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은 서로 다른 냄새감각기능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벗초파리의 냄새통신을 이해하고 유인제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