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의 유아교육·보육 통합 정책 -유아의 권리와 삶의 관점에서-

        정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연구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weden’s integration poli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The integration policy is most often reviewed from structural and conceptual dimensions. The structural dimension includes departmental responsibility, staffing, funding and regulation, while the conceptual dimension includes principles, values, identity, approaches to practice. understandings of children and of learning, and ideas of care. This study mostly uses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 Swedish reform. The effort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ontinues to develop a pedagogy system which aims at integrating all the provisions-preschool, school, and leisure-tim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whole child and life-learning. In Sweden’s system, the provisions for 1 to 16 year old children are integ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experience. For successful integration, the teacher education for preschool, school, and leisure-time service is unified. In this way, three different teachers with the same credential work together so that they can coordinate children’s school-derived life experiences throughout their school years. The Sweden’s case highlights the kinds of discussion which must take place in Korea as it embarks on establishing a system for integrating two different syst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스웨덴의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정책 실행과정의 의미와 중요성을 부처의 결정, 직원 규정, 재정과 같은 구조화 측면은 물론 통합의 원칙, 가치, 정체성, 실천 접근방법, 그리고 유아의 학습에 대한 관점 정립과 같은 개념화 측면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웨덴의 유아교육·보육 통합 정책은 보육과 교육의 구조를 통합하기 위한 노력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태어나서부터 16세까지 아동의 연속적인 삶의 관점에서 그리고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보호, 양육, 그리고 학습이 일관되고, 통일성 있는 교육(pedagogy)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변화하였다. 육아휴직으로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돌볼 수 있는 생후 1년을 제외한 1세부터 16세까지 유아, 아동, 청소년에게 제공되고 있는 모든 서비스는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진다. 스웨덴의 통합 정책 사례는 매우 고무적이다. 특히 스웨덴의 사례는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의 통합을 위해 구조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만이 아닌 유아와 아동의 삶의 관점에서 그리고 통합에 대한 어떠한 철학과 가치를 가지고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해 갈 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덧없는 삶의 순간포착과 언어놀이 - 세실 메나르디의 『황금빛』에서

        정선아 한국불어불문학회 2018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3

        Dans La blondeur, Cécile Mainardi cherche à nommer l’innommable sous son faux-semblant d’élégie contemporaine. Etant inspirée de la neuvième élégie de Duino de Rilke, son écriture poétique porte sur l’éphémère, propre à toute existence terrestre. Comment se tenir face à ce qui nous fuit? A la question qui s’impose, le poète dit “a[voir] inventé [ta blondeur] pour que les choses aient un reflet”(La blondeur). Pour “nommer ta blondeur ex æquo”(ibid.), elle met en pratique une sorte de jeu de langage, suggéré par Wittgenstein dans ses Recherches philosophiques. Il s’agit de créer un sens instantané à partir de chaque usage des mots dans une phrase, qui seul ressemblerait à une apparition éphémère de la chose. Nommer l’innommable, Mainardi l’assume d’une manière bien singulière de penser, surtout de voir. Cela en faisant “le poème sur les pensée-étoiles-filantes, qui ne retient rien que du somptueusement disparu”(ibid.) et qui finit lui-même par “[se] porter poétiquement disparu”(ibid.). Sa démarche poétique ne s’en tient pas à une simple écriture expérimentale, mais tente de “se représenter une forme de vie” en “se représant[ant] un langage.” L. Wittgenstein, Recherches philosophiques, Collection Bibliothèque de Philosophie, Gallimard, 2005, § 19. Par là mème, le poète invite à reconsidérer le réel hors de tout préjugé moderne qui a voulu à tout prix lui donner figure. Et hors de toute négativité postmoderne, fascinée par son cô̂té imprésentable.

      • KCI등재
      • KCI등재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정선아,라릿,안정준,김영일,정철의,Jeong, Sun-A,Sah, Lalit Prasad,Ahn, Jeong Joon,Kim, Young-Il,Jung, Chuleu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Fruit borers such as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are major pests of plum in Korea. Population densities and seasonal occurrence were monitored using the synthetic sex pheromone trap in Uiseong and Gyeongsan, two important major plum growing area in Korea. In 2010 and 2011, adults of G. molesta were caught from mid April with the peak of late April, and then undergone three more generations in Gyeongsan. Grapholita dimorpha appeared from late April and they showed three peaks until late September. Both Grapholita species occurred a few days later in Uiseong than in Gyeongsan where the latitude is $1^{\circ}$ low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phenological occurrence of C. sasakii between Gyeongsan and Uiseong, showing the same patterns of two or three peaks. Population size was in order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with 63:16:20 and 47:35:18 in Gyeongsan and 51:18:31 and 46:13:36 in Uiseong,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Grapholita species caught in the trap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orchards.

      • GC-EAD를 이용한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의 냄새활성물질 탐색

        정선아,김지애,오현우,변봉규,박계청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베리류의 주요 해충인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는 주로 냄새감각을 이용하여 기주식물을 찾아 과실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벗초파리의 안테나에는 수많은 냄새감각기(olfactory sensilla)들이 존재하며, 이들 냄새감각기들이 벗초파리의 기주탐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곤충의 안테나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포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기술을 사용하여 체리, 딸기, 블루베리 등에서 포집한 추출물로부터 벗초파리에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을 동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2-pentanol, propyl acetate, 2-ethylhexanal을 포함한 18 여개 물질들이 벗초파리의 냄새감각기에 큰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인제 등 벗초파리의 방제에 친환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화학물질(semiochemical)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동성 및 이성 성인의 진술에 대한만 3-4세 아동의 신뢰성 판단

        정선아,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more than boys, girls have a stronger tendency to trust a testimony by an adult female.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is selective trust resulted from a same-sex preference that appears during preschool years, or to a general preference for a primary caregiver-like figure. In the experiment, children were first shown dishonest adult male playing games with another adult. They were then asked to play with this adult male. The children’s tendency to believe the adult male’s testimony was observed during this play session.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our results showed that 4-year-old girls were less prone to believe a dishonest adult male’s testimony whereas they were much more willing to believe the dishonest testimony given by the same-sex adult. However, this tendency was not observed among 3 and 4-year-old boy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girls tend to trust female adults based on a same-sex preference in situations requiring a judgment of accuracy or truthfulness. Furthermore, the results implied that 3-year olds might struggle to overcome the tendency to trust an adult’s testimony. 본 연구는 만 3-4세 아동이 성인의 말을 믿고 따르는 데에 있어 성인의 성별과 아동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여자 성인을 신뢰하는 경향이 동성의 선호에서 비롯된 것인지 주 양육자와 유사한 속성을 지닌 여성에 대한 선호인지를 검토하고자 부정직한 남자 놀이 진행자가 아동들과 함께 놀이를 할 때 만 3, 4세 여아와 남아들이 성인의 증언을 지속적으로 믿고 따르는 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세 아동은 남아, 여아 모두 성인의 성별에 무관하게 성인을 신뢰하는 경향을 보였다. 4세의 여아들은 여자 성인의 말을 더 믿고 따르는 경향을 보였으나 4세의 남아들은 성인의 성별에 무관하게 부정직한 성인의 진술을 빠르게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방의 진위를 판별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여아들에게는 동성 선호 편향성이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3세에는 아직 성별에 무관하게 성인의 진술을 신뢰하는 편향성을 쉽게 극복하지 못하고 있음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동대상연구의 아동보호 실태 -한국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선아,이혜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03 아동과 권리 Vol.7 No.3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따르면 연구 대상자로서 아동은 자신의 의견을 가질 수 있고 그 의견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하며, 연구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연구에서 아동의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하며, 아동이 연구의 목적, 절차 등에 대하여 알 권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아동의 권리가 어떻게 보호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북미의 연구대상보호를 위한 규정이 담긴 The Belmont Report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동의서를 준거로 삼아 최근 2년간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가운데 석․박사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유아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는 과정이 임의적이고 편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아동을 연구의 참여자로서 인식하고 아동 최우선의 원칙과 자율적 존재로서의 아동의 권리를 인식하고 아동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 모두의 윤리의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According to UN Convention of the Right of the child, children have freedom of expression. Children have right no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have rights to be informed research purpose and procedures, and their privacy should be protec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hildren's right is protected in conducting research. As a guideline, we use informed consent list in The Belmont Report. The Belmont Report, which issues human subject regulations, has been promulgated in the US. We collect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which involve children as research subjects and are published in the year 2001 and 2002. We find that most of research does not allow children'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of research procedure. In most research, children's right as human subjects is not protected. We suggest that research involving children as human subjects should acknowledge principles of children's best interest and freedom of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