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 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 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 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 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 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utcome of MTA apexification in young permanent anterior teet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traumatized permanent incisors which were treated with MTA apexification, the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examined only for the patient who had follow-up examination at least 3 months after the treatment. Forty nine patients with 64 teet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mographic information, location and type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pre-treatment periapical lesion, clinical symptoms, status of MTA filling, healing of apical lesion and apical barrier formation after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e outcome based on clinical and radiographic criteria were asses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64 immature permanent incisors with MTA apexificati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rates were 89.1% and 73.4%, respectively. 2. The maxillary incis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s than the mandibular incisors.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s among the teeth with different types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4. The status of MTA filling did not influenc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 KCI등재
      • KCI등재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외부적 섭식과 정서적 섭식의 조절효과

        정서영,윤혜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훈련 이후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영향이 참가자들의 정서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실험에서 음식 갈망 유도 과제를 실시하였고 해당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음식갈망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하여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모의 맛 과제를 통해 초콜릿 섭취량을 측정한 후, 두 집단 간 초콜릿 섭취량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정서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수준의 조절 효과를 조절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 갈망 유도 과제 전, 후로 긍정정서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은 증가하였다. 둘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의 훈련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초콜릿 섭취량이 더 적었다. 셋째, 음식 갈망 유도 후 억제통제훈련이 초콜릿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정서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했지만 외부적 섭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 갈망 상황에서 부정정서로 인해 야기되는 정서적 섭식의 경우, 자동적인 수준에서 음식을 억제하도록 하는 억제통제훈련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주요국의 우주개발 계획 및 정책 현황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정서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본 논문은 주요국의 우주개발 계획 및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세계 우주개발은 지속적으로 확대·성장하고 있으며, 주요국은 우주개발을 국가전략 분야로 인식하고 우주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 우주개발 선진국은 우주탐사를 위한 연구개발과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은 달?소행성?화성 등 태양계 유?무인 탐사를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추진하는 한편, 미래 우주탐사 및 발사시장 점유 등을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과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 구축에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우주개발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우주발사 능력의 확보와 우주개발 영역의 확대, 우주산업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Space programs and policies of the major space powers, namely the United States, Russia, Europe, Japan, China, and India were reviewed, and their implications to South Korea"s space program were analyz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학습모델과 수업의 관계 연구

        정서영,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practice, and instructional evalu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were 3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The data were analyzed for 15 items about self-determination teaching and 15 items for instruction.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our factors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self-determin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dependently provided influence on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practice and instructional evaluation.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ensu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perform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en they are linked to factors such as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practice, respectively.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자기결정 교수학습모델과 수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317명이었다. 설문지는 자기결정 교수학습모델에 대한 15문항과 수업에 대한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 수업설계, 수업실행, 수업평가 등과 같이 네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은 수업설계, 수업실행, 수업평가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력을 제공한다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초등학교 교사에 의해 수행되는 자기결정 교수학습 모델이 수업설계, 수업실행 그리고 수업평가 등과 같은 요인으로 연계될 때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