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민영(Minyoung Jung),이주영(Juyoung Lee),배가나(Gana Bae),김현지(Hyunj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해당 분야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2009년~2020년 사이 국내 학술지에서 발행된 논문 중 분석 대상 수집 절차 1단계~3단계에 따라 82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여섯 가지로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사용된 연구 도구는 기술 통계 분석과 시각화 자료 생성이 용이한 EXCEL이다. 결과 첫째, 양적 변화 동향이다. 초기 구간(2009년~2013년)에 속하는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중기 구간(2014년~2016년)인 2014년부터는 정책 변화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후기 구간(2017년~2020년)에 들어서 다시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목적 동향이다.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이론 및 프로그램 적용 등 실증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주제 동향이다. 교육적 측면 연구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연구 대상 동향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을 단독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했다. 미취학 다문화가정 아동,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진행도는 낮은 수준에 있었다. 다섯째, 학교급 동향이다. 초등학교급 연구가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여섯째, 연구 방법 동향이다. 양적 연구 방법이 사용된 연구가 주로 발견되었다. 결론 첫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후기 구간(2017년~2020년) 연구물은 낮은 수준이다.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해당 분야 학계 연구자의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연구 목적과 연구 주제 설정이 기존보다 다양화될 필요가 있고, 교육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 촉진이 요구된다. 셋째, 연구 대상이 폭넓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급에 비해 미약한 현황에 있는 유아⋅중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급 연구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추후 연구 방법을 골고루 사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suggest the direction for reseach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adaptation-related research in line with the trends of changes in Korean society, which is enter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20, 82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tages of the collection procedure.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used is EXCEL, which facilitat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data creation.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creased rapidly from 2009. From 2014, which belongs to the mid-term period, it decreased along with the policy change. It increased again in the late perio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urpose trend, empirical studies such as actual condition analysis, improvement measures and application of theory and program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r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spect research was insuffici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exclusively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esearch progress on preschool multicultura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ere at a low level.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level research was intensively conducted.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rend, a number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firmed. Conclusions First, although the importance of studies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emphasized, the research in the late period is low and no change is found.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research. Second,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topics need to be more diversified than before and research that deals with educational aspects are required. Third, there is a need to set a wide range of research subjects. Fourth, research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which is weak compared to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uld be expanded. Fifth, a wide range of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research methods evenly.

      • KCI등재
      • 자폐스펙트럼장애(ASD)에 대한 뇌과학적 접근

        정민영(Minyoung Jung),Jian Kong(Jian Kong ),Hirotaka Kosaka(Hirotaka Kosaka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생물학특징(Biomarker)을 뇌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교육현장과 임상현장에서 응용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미국·일본·중국의 7-15세의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남아123명,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남아124명, ASDA·DHD와의 연령과IQ를 일치시킨 전형발달 남아 189 명을 대상으로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을 촬영하여 뇌기능·구조분석이 통계처리 되었다. 연구결과: ASD는 동일한 나이와 IQ를 가진 전형발달남아에 비하여 후두엽 (lateral occipital cortex)의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ASD는 동일한 나이와 IQ를 가진 ADHD에 비교하여 섭엽(insula)의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현장, 임상현장에서도 활용가능한 생물학적 진단기준과 특징을 명확히 하였으며, ASD와 ADHD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 KCI등재

        원격탐사를 이용한 재난 감시 및 예측과 GIS 분석

        정민영 ( Minyoung Jung ),김덕진 ( Duk-jin Kim ),손홍규 ( Hong-gyoo Sohn ),최진무 ( Jinmu Choi ),임정호 ( Jungho 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5

        대규모 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수립하여 국민의 안전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재난에 의한 피해는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 원격탐사 기술과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 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특별호에서는 우주-항공-지상을 아우르는 다양한 시공간 도메인을 가진 원격탐사 센서를 이용한 재난 예측 및 감시 연구와 이로부터 취득된 정보와 기존의 공간정보를 융합한 GIS 재난관리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술하였다. 소개된 기술은 풍수해, 산불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관리 기술로, 각 기술 간 연계를 통해 최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종합적 재난상황관리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eed for an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grown these days to protect public safety as the number of disasters causing massive damage increases. Since disaster-induced damage can develop in various ways, rapid and accurate countermeasures must be prepared soon after disasters occur. Numerous studies have continuously developed remote sensing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techniques for disaster monitoring and damage analysis. This special issue presents the research results on disaster prediction and monitoring based on various remote sensors on different platforms from ground to space and disaster management using GIS techniques. The developed techniques help manage various disasters such as storms, floods, and forest fires and can be combined to achieve an integrated and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