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 활동 관련 국악 제재곡 분석 및 개선 방향 -2007ㆍ2009ㆍ2015 개정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미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 활동 관련 국악 제재곡의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를 위해 먼저, ‘2007․2009․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창 활동 관련 내용’, ‘교과용도서 편찬 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제7차 및 2007 개정 국정 음악 교과서의 수록곡’ 등을 검토하였 다. 이후 본격적으로 음악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악곡은 전래 동요, 민요, 국악 창작 동요, 시조, 판소리 등의 갈래가 수록되 어 있었고 악곡으로는 쾌지나칭칭나네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가창 제재곡 악보의 형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악보의 형태는 여전히 오선보가 주 를 이루었으며 시조는 대부분 정간보와 가락선이 결합된 형태로 제시되었다. 악보의 내용에 서는 출처와 관련하여 ‘편보’라는 말이 중의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고 장단 표기 또한 같 은 곡이지만 다르게 표시된 곡들이 있었다. 민요의 지역권은 남도(전라도), 동부(경상도)의 순으로 많았으나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특정 지역권 집중 현상은 점차 해소되었다. 셋째, 학습 활동은 주로 ‘시김새 살려 부르기’,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 ‘메기고 받으며 부 르기’ 등이 많았다. 2015 개정에 들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 지만 여전히 정형화된 활동들에 집중되는 양상을 띠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다양한 갈래의 가창 제재곡 수록, 가창 활동에 적합한 악보의 구안, 갈래에 따른 학년 연계 학습 강화, 다양한 가창 학습 활동 제시, 정확하고 상세 한 악보 정보 기입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음악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바라며 본 연구가 차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집필 과정에 도움이 되기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pieces for class use associated with signing activities in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it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singing activities under the 2007․2009․2015 revis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standards for the compilation of curriculum books,’ and ‘music pieces in the 7th and 2007 revised national music textbook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usic pieces of the textbooks included several genres such a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folk songs, newly composed children's songs, sijo, and pansori. The most included music piece was Kwaejinachingchingnane.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orms and the contents of musical scores for vocal pieces revealed that the staff notation was still mainly used for the form of musical scores. As for sijo, a combined form of jeongganbo and garakseonbo(melodic contour notation) was mostly presented. In the content of the scores, the word ‘pyeonbo(編譜)’ was used in a vague sense in relation to the source. In some cases, the jangdan sign was differently marked for the identical song. The regions of folk songs that received attention the most were in the order of Southern area(Jeolla-do) and Eastern area(Gyeongsang-do), but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he concentration of specific regions gradually resolved. Thirdly, learning activities mainly consisted of ‘singing with expressing sigimsae (musical ornaments)’, ‘singing with changing lyrics’, and ‘singing in call-and-response’.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gan,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but they were still focused on standardized activities.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such as including vocal pieces of different genres as learning materials, creating music scores appropriate for singing activities, reinforcing learning through linkage across grades according to genres, and present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or singing, filling in accurate and detailed musical score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n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continue to carry on and that this study is helpful in the process of writing textbooks for the next curriculum.

      • KCI등재

        새우난초와 해오라비난초 종자의 기내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정미영,정재동,지선옥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3

        우리나라 야생란 중 원예적 개발가치가 인정되나 대량 증식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원예종으로 보급이 미흡한 새우난초 및 해오라비난초를 중심으로 종자의 기내발아와 유묘의 생장촉진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우난초의 발아 및 유묘 생장은 파종전 초음파를 30분간 처리한 후 MS배지에 파종하여 얻은 유묘를 H$_3$P$_4$배지에 이식하여 육묘했을 때 가장 적합하였다. 해오라비난초는 종자를 H$_3$P$_2$배지에 파종하여 형성된 구근을 H$_3$P$_1$ 배지에 이식하여 맹아시킨 후 H$_1$P$_2$배지에 옮겨 배양했을 때 우량종구의 기내생산이 가능하였다. The experiment was tried to identify culture media which was suitable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wild orchids, Calanthe discolor and Habenaria radiata. When seeds of Calanthe discolor, which was treated with ultrasonics for 30 minutes, were sowed in Murashige and SKoog(MS) medium, germination was much more promoted than other treatments. Seedling of C. discolor grew more rapidly in 3g/L Hyponex and 2g/L tryptone(H$_3$T$_2$) medium and 3g/L Hyponex and 2g/L peptone(H$_3$P$_2$) medium, especially in H$_3$P$_4$ medium among those media, pseudobulb became more corpulent. Habenaria radiata, whose tubers were obtained from seedlings, were sprouted more vigorously in 3g/L Hyponex and 1g/L peptone(H$_3$P$_1$) medium and 1g/L Hyponex and 2g/L peptone(H$_1$P$_2$) medium; but multiplication of tubers, growth of daughter tubers and its corpulence were well established in 1g/L Hyponex and 2g/L peptone(H$_1$P$_2$) medium.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정미영,차경숙,조옥희 한국성인간호학회 2015 성인간호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Cross-sectional method was used 671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developed by Rosenberg, the Fear of Death Scale revised by Lester and Abdel-Khalek, and Spiritual wellbeing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Results: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reveale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ath anxiety, an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In order for students of establishing identity to lead a healthy life, there is a need for studies aiming at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maintaining spiritual wellbeing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logotherapy at the university or regional community level.

      • 전통주거공간의 가변성을 갖는 전시시설의 계획 - 추사서예박물관 계획을 중심으로

        정미영,안재룡,이정수,송용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is study come direction for applicable alter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space to today's project of exhibit facility. In such a case calligraphy museum for calligraphy product show, It needs flexibility and alterability for Display plan and Space plan through product size. Design of the Calligraphy Museum is possible. Because free from Space of division and expansion of Korea traditional residence space. Therefore, Study is identified these immanent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space and these properties is applied to adaptable and variable plan for exhibit facility. Hence we considered possibility of exhibit facility plan that included plane expansion and systematic connection, disbandment and recombination of system, and flat and vertical adaptability, namely flat, constitutive. Namely, because plan of exhibit facility have intimate relation with exhibits and movement of spectators and this in turn determines different display type and necessary space, the element of traditional residence space must introduced properly.

      • KCI등재
      • KCI등재

        서울 북촌의 문화관광자원화 연구

        정미영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0

        현대인들이 학습과 체험, 성찰을 중시하는 문화관광객으로 변모하면서 오늘날의 박물관은 문화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관광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북촌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역사적 장소로, 다른 지역에 서는 보기 힘든 건축적 가치를 지닌 도시한옥지역으로, 실제 주민들이 살아가고 있 는 생활공간이다. 이러한 북촌의 역사와 문화는 이 지역을 문화예술의 장소로 거듭 나게 하고 있으며, 삼청동과 가회동을 중심으로 세워지게 된 박물관 집적지라는 고 유의 특성까지 갖게 하였다. 본 연구는 북촌의 문화적 특성과 맞물려, 북촌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잠재성 을 극대화시키고 적극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북촌지역의 박물관을 활용한 문화관광자원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 특히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살펴 보고 국내?외 박물관의 문화관광자원화 사례에 대한 시사점을 토대로, 북촌지역 박물 관의 문화관광자원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역량을 강화하고 주민의 적극적인 교류와 참여를 위한 지역공동체 프로 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북촌지역 박물관의 공동 프로모션으로 북촌 박물관 축제 등을 개발하여 북 촌의 장소성을 반영한 북촌 박물관의 브랜드화를 구축해 나간다. 셋째, 박물관과의 공유와 협업을 바탕으로 북촌지역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통합 운 영하고 마케팅한다. 넷째, 거점박물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옥박물관을 건립하여 상설 전시, 공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한옥복합공간으로 운영토록 한다. 다섯째, 박물관과 더불어 전시, 체험이 가능한 전통공방, 다양한 문화시설과 사적 지, 지역문화 등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코스 및 스토리텔링을 개발한다. 북촌지역 내 박물관이 문화관광자원화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유형, 무형 유산의 총 체적, 통합적인 활용과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심이 되어 지속가 능한 발전을 위한 커뮤니티 중심, 인간 중심의 스토리텔링, 인체공학적 디자인, 문 화생태 친화적 접근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증상을 동반한 후두개계곡 낭종 환자의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한 각성하 단계적 경구 기관내 삽관 -증례 보고-

        정미영,김창재,채준석,이명노,이병호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1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6 No.2

        Large symptomatic vallecular cyst is rare, but may cause difficulty or inability in conventional tracheal intubation during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A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e is the most useful general purpose aid to awake intubation in the patient with a known difficult airway. We experienced a case of flexible video image fiberoptic bronchoscopic awake orotracheal intubation in a patient with the large symptomatic vallecular cyst. A 35-year-old male suffered from foreign body sensation, voice change and dyspnea one month after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The two step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ic approach was performed in the management of a known difficult intubation due to a vallecular cyst. We had an uneventful general anesthesia for removal of large symptomatic vallecular cyst because we anticipated difficult intubation. (Anesth Pain Med 2011; 6: 146∼149)

      • KCI등재

        일측 무뇌증을 동반한 쌍태 임신 1예

        정미영,이지현,박인양,권인,문희봉,이종승,신종철,나종구,김수평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일반적으로 출산 신생아의 2-3%에서 선천성 기형을 동반하나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원인 규명이 어려우며 단태아보다 쌍태아 임신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므로 임신 유지에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쌍태임신의 일측 태아에서 기형이 발생하는 경우 임신의 지속을 위한 명확한 치료 지침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지만 먼저 동반된 염색체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선별 검사가 필요하고 염색체 이상의 위험성이 높으면 융모막 생검이나 양수천자 혹은 제대천자 등의 검사를 하여야 한다. 본원 산부인과에서는 무뇌아를 동반한 쌍태 임신에서 염색체 검사 결과 모두 정상이었으며 유전상담을 통해 정상아의 폐성숙이 완성될 때까지 임신을 유지하기로 하였으나, 지속적인 양수과다증으로 인하여 조기진통이 유발되어 간헐적인 양수감압술을 지속하며 임신을 유지하다가 임신 29주에 조기양막 파수가 발생하여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anomalies occur in 2-3% of neonates but this incidence increases in multiple pregnancies, especially when fetuses are monozygotic. when pregnancies are affected with one anomalous fetus combined to a normal one, the proper management and counseling is difficult. We experienced a twin pregnancy in which one anencephalic fetus was combined to a normal one. Karyotype analysis was normal in both fetus. After close counseling we decided to continue the pregnancy. Intermittent amnioreduction was done for persistent polyhydramnios. At 29 weeks of gestation membrane was ruptured prematurely and w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due to breech-cephalic presentation. The birth weight of the normal and anencephalic fetuses were 1070 gm and 1050 gm, respectively. The anencephalic fetus died immediately after birth but the healthy one showed good crying and movement and its Apgar score was 6 in 1 minute and 8 in 5 minute. Although the infant needed intensive care for 90 days in the nursery room finally discharged in good condition. We report a case of twin pregnancy in which anencephaly was associated with a normal fetus, so after close counseling we opted to continue the pregnancy resulting in the delivery of a viable fet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