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역량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미선(Mise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개발하는데 실제로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 유무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 해 창의역량 수업을 수강한 집단과 수강하지 않은 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문제발견, 해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가 문제발견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경북과 충북에 거주하는 대학생들 17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t-test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의역량 수업을 수강한 집단과 수강하지 않은 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로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는 문제발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창의융합성은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지만,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는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if classes designed to develop the creative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ctually effective in developing such skills, as well as to confirm the impact of creative in competency,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etween the students that take classes that emphasize creativity ability and those who do not take.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creative convergence, creative capacity courses of creative courses on creative problem resolution. There were 170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Chungcheong-do provinc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took the courses and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test analysi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of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by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by the class of creative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the expectation relation of relative effect which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creative convergence,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problem finding. Third, creative convergence w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an problem solving, but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problem solving.

      • KCI등재

        1960년대 도시 소설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

        정미선(Jeong, Mise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5

        근대의 도시 공간과 그 서사화 양상을 논할 때 ‘장소에서 공간으로’의 테제는 핵심적인 입론의 지점이다. 근대의 공간 이해는 구체적 ‘장소’ 개념에서 불안을 야기하는 추상적 ‘공간’ 개념으로 이동한다. 도시는 근대화 속에서 탄생하여 인간 삶을 구획하는 현실적 터전이자, 이와 같은 근대 공간론의 핵심적 표지로 있다. 따라서 공간과 장소는 우리에게 문제적 개념으로 있으며, 도시는 장소상실성을 함축하는 문제적 범주가 된다. 도시 서사의 주제를 탐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도시 서사는 장소상실의 의미항에서 머무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간-창출의 수행을 통해 장소성을 공간 속에 새롭게 이관하여 구현하려 한다는 점에서 기획 공간의 의미망에 근접한다. 소설의 서사 공간은 도시 공간에 처한 인간 삶의 양태를 문학적 기획과 구성을 통해 다각도로 형상화한다. 본고는 최인훈과 김승옥의 두 소설이 구현하는 모티프의 두 양상을 바탕으로 1960년대 도시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을 논한다. 최인훈의 경우 산책자 모티프의 변형을 통해 실향의 감각 속에서 도시 공간 내부의 이동을 관건으로 조망 공간의 서사적 기획을 드러낸다. 반면에 김승옥의 경우에는 고향/도시의 공간 구도를 순회하는 여로형 모티프를 통해 무진이라는 상징 공간을 마련하고, 고안된 장소 표지를 구성한다. 이들 각각의 기획 공간은 1960년대 도시 공간의 서사화 양상을 읽어낼 수 있는 두 단서로 자리한다. When we discuss the aspects of modern urban space and its narrative, the thesis of ‘from place to space’ is the essence point of the argument.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pace moves from the concept of specific ‘place’ to that of abstract ‘space’ that causes disturbance. The urban aspect, created in the modernization, is the realistic foundation that arranges human lives, and at the same time, is the essential landmark of the modern space theory. Thus, space and place exist as problematic concepts to us, and the urban aspect becomes a problematic category that implies placelessness. The reason why exploring the subject of urban narrative is meaningful resides here. Urban narrative gets close to semantic network of ‘projected space’ in that it, beyond semantic network of placelessness, intends to embody a ‘sense of place’ in space by executing ‘Ein-räumen’. Narrative space in novels formalizes aspects of human lives in urban space from various angles through literary plans and structures. This paper discusses placelessness and projected space appearing in novels of the 1960s based on two axes, Flàneur motif and journey type motif. Choi Inhoon, through change of the Flàneur motif, in the placeless sense, reveals narrative plans of ‘perspective space’ focusing on movements within urban space. On the other hand, Kim Seungok, through the journey type motif that circulates the space composition of countries/cities, provides ‘symbolic space’ called Mujin and creates the devised place landmark. To conclude, each ‘projected space’ exist as the two clues in the aspects of narrative figures to urban space in 1960s.

      • KCI등재

        예비 교사들의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정미선(Jeong, Mis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예비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창의력에 대한 신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창의적 신념은 창의력에 대한 암묵적 지식과 창의적 효능감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수행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위치한 대학들에서 교직과목을 전공하는 학생들 160명이었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4개의 개방형 질문과 창의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창의적 효능감 수준의 상위 25%와 하위 25%를 나누어서 이들의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예비 교사들은 창의력을 독창성으로 확인하고 있었고, 그뿐만 아니라 창의력은 학습을 통해서 개발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교사들의 창의적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창의적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창의적 행동을 취하는 방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창의적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프로젝트를 실제로 하기 전에 '사고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창의적 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관찰과 모방'을 가장 높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적 행동은 창의적 효능감의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which includes their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actual creative behavior in the sam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middle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Daegu and the greater Kyungpook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four open questions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ir perceptions of creativity. For analysis of the answers,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 top 25% and lower 25%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ir creative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d originality as the defining aspect of creativit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for efficient education. Secondly, many prospectiv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often use thinking skills as a way of achieving creative behavior. Third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low creative self-efficacy and the high creative self-efficacy groups in terms of creative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creative behavior is a function of creative self-efficacy. Therefore, the target of education of creativity should be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concept of creativity should be taught as to include not only originality but also usefulness.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창의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정미선(Jeong Mis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메타분석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학교급, 학습시간,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효능감 수준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2년 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연구에 포함된 논문은 총 20편이었다. 연구결과, 다양한 창의력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개발에 높은 효과(g=1.01)가 있었다. 학교급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아들에게 가장 효과적이었다. 학습시간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가장 효과적인 교육시간은 10시간 이상 20시간 이하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 간에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가장 효과가 높은 교수학습방법은 동기 및 창의적 기법을 활용한 방법이었다. 효능감 수준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특정 과제의 자기효능감을 개발하기 위한 창의력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력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in developing self-efficacy through a meta-analysis and understand if school level, studying time, teaching method and self-efficacy level work as controlling variables. Theses published between February 2012 and February 2021 in Korea were collect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a total of 20 theses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a variety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had high effectiveness (g=1.01) in self-efficacy development of learners. The effectiveness depending on school level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was the most effective for kid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depending on learning hour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time was more than 10 hours and less than 20 hours.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in across teaching method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was the method that used motivation and creative skills.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depending on self-efficacy level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for specific project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젠더화된 서사 전략과 남성성의 문제

        정미선 ( Miseon Jeo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김동인 소설에서 여성적인 것을 선별적으로 활용하는 젠더화된 서사 전략을 통해 생산되는 남성성의 문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젠더의 기호체계가 여성적인 것의 배치를 통해 남성성의 권력 구조 및 가치를 생산하고 차별화하는 데 주목하여, 김동인 소설에서 주요 인물이 여성이고 여성 인물 초점화자의 시각을 차용한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젠더화된 서사 전략의 양상을 살핀다. 연구 내용: 김동인 소설에서 여성 인물 초점화자를 표방한 소설적 사례들 중 각각 상층계급 여성과 하층계급 여성의 초점화 분석은 여성적인 것을 타자화하거나 주체화하는 두 양상을 통해 당대 남성성의 권력 구조를 생산하거나 남성성의 가치를 차별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론 및 제언: 김동인 소설들에 나타나는 다양한 여성 표상은 젠더화된 서사 전략의 문제와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으며, 남성성 연구의 헤게모니적 남성상 담론 외에도 여성적인 것을 경유하여 생산되는 서사 전략의 젠더화된 문제 양상에 대해 비판적 감수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essay focuses on analyzing the problem of masculinity produced through a gendered narrative strategy that selectively utilizes gendered marks in Kim Dong-in’s novels. The gendering symbol system produces the power structure of masculinity and differentiates values through the placement of gendered marks. This essay examines the aspects of gendered narrative strategy by analyzing cases in which females are the main characters and focalizers. Through this, the focalization analysis of upper class and lower class women shows that they produce the power structure of masculinity of the time or differentiate the value of masculinity based on the two aspects of othering or subjectifying gendered marks. In conclusion, the various female representations in Kim Dong-in’s novels need to be discussed along with the issue of gendered narrative strategies. In addition to the hegemonic masculinity discourse of masculinit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have a critical sensitivity to the problematic aspects of narrative strategies produced through gendered marks.

      • KCI등재

        전래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강도희 ( Dohee Gang ),채영란 ( Youngran Chae ),정미선 ( Miseon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두 학급 실험집단(15명)과 비교집단(15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은 총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영역인 ‘긍정-친사회적 행동’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전래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사회적 유능성을 발달 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ffects of math activities using pre-play on infa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social performance.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wirelessly to two class experiment groups (15 people) and a comparison group (15 people) aged 5.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infant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 activities utilizing pre-pla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infants. Second, math activities utilizing pre-pla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ability of infants. In the sub-area of social performance of ‘positive-pro-social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mproved than the comparison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mathematics activities utilizing pre-play a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social ability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